무이파 (r2 Blame)

r2
r1
O:Gyonyong사구
1 [[분류:2004년 태풍]][[분류:2011년 태풍]][[분류:2017년 태풍]][[분류:2022년 태풍]][[분류:슈퍼 태풍]][[분류:태풍/대한민국]][[분류:레이와 시대/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
2 [include(틀:태풍 명칭)]
3 [목차]
4 [include(틀:기상 현황)]
5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95, #3594D3)"
6 '''기상청 태풍 정보'''}}} ||
7 ||
8 * [[https://www.weather.go.kr/w/weather/warning/safetyguide/typhoon.do|국민행동요령]]
9 * [[https://floodmap.go.kr/public/publicIntro.do|전국홍수위험지도]]
10 * [[https://www.weather.go.kr/w/weather/warning/list.do|기상특보 통보문]] ||
11 [clearfix]
12
13 == 개요 ==
14 무이파(梅花, Muifa)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한자 표기는 [[매화나무]]의 꽃인 '매화'와 같으며[* [[표준중국어]]에서는 '메이화'(Méihuā)로 발음한다.], [[광동어]]로 서양자두 꽃을 의미한다.
15
16 == 2004년 제25호 태풍 ==
17 [include(틀:2004년 태풍)]
18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594D3><bgcolor=#3594D3><height=100%> [[2004년|{{{#FFF '''2004년'''}}}]] [[태풍|{{{#FFF '''태풍'''}}}]] ||
19 ||<bgcolor=#FFF,#1F2023> 제24호 [[녹텐#s-2]] → '''제25호 무이파''' → 제26호 [[므르복#s-2]] ||
20
21 ||||||<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3594D3><bgcolor=#3594D3><tablebgcolor=#fff> '''{{{+5 {{{#!html <span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2004년 제25호 태풍 무이파}}}}}}''' ||
22 ||<width=24%><#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위성사진 첨부.png|width=100%]] ||
23 ||<width=24%><#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진로도 첨부.png|width=100%]] ||
24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4년 11월 15일 3시 ~ 2004년 11월 25일 21시 ||
25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필리핀]]''', [[캄보디아]], [[태국]], [[말레이시아]] ||
26 ||<bgcolor=#3594D3> {{{#white 태풍 등급}}} ||<-2><:><bgcolor=#ff8f20> {{{#000 '''4등급'''}}}[*JTWC] ||
27 ||<bgcolor=#3594D3> {{{#white 10분 등급}}} ||<-2><:><bgcolor=#fdaf9a> {{{#000 '''강한 태풍'''}}}[*JMA] ||
28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740 km)''' ||
29 ||<height=40px><#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50 hPa''' ||
30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width=14%><:>1분 평균 || '''59 m/s''' ||
31 ||<:>10분 평균 || '''41 m/s''' ||
32 [[필리핀]]과 [[베트남]] 등에서 7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http://www.vop.co.kr/view.php?cid=A00000419525|#]] 물론 [[대한민국]]에는 오지 않았다.
33
34 == 2011년 제9호 태풍 ==
35 [include(틀:2011년 태풍)]
36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594D3><bgcolor=#3594D3><height=100%> [[2011년|{{{#FFF '''2011년'''}}}]] [[태풍|{{{#FFF '''태풍'''}}}]] ||
37 ||<bgcolor=#FFF,#1F2023> 제8호 [[녹텐#s-3]] → '''제9호 무이파''' → 제10호 [[므르복#s-3]] ||
38
39 ||<-3><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3594D3><colbgcolor=#3594D3><tablebgcolor=#fff,#191919><colcolor=#fff> '''{{{+5 {{{#!html <span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2011년 제9호 태풍 무이파}}}}}}''' ||
40 ||<width=24%> '''위성사진''' ||<-2> {{{#!wiki style="margin: -6px -10px"
41 [[파일:Muifa Jul 30 2011 1909Z.jpg|width=100%]]}}} ||
42 || '''진로도''' ||<-2> {{{#!wiki style="margin: -6px -10px"
43 [[파일:Muifa_2011_track.png|width=100%]]}}} ||
r2
O:GTY
44 || '''활동 기간''' ||<-2> [[2011년]] 7월 28일 15시 ~ 2011년 8월 9일 9시 ||
r1
O:Gyonyong사구
45 || '''영향 지역''' ||<-2> '''[[일본]] 류큐 제도''', '''[[중국]]''', [[대한민국]], '''[[북한]]''', '''[[러시아]]''' ||
46 || '''태풍 등급''' ||<-2><bgcolor=#ff6060> {{{#000 '''5등급'''}}}[*JTWC] ||
47 || '''10분 등급''' ||<-2><bgcolor=#ffc140>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48 || '''태풍 크기''' ||<-2> '''대형(직경 1,000 km)''' ||
49 || '''최저 기압''' ||<-2> '''930 hPa''' ||
50 ||<|2> '''최대 풍속''' ||<width=14%> 1분 평균 || '''72 m/s''' ||
51 || 10분 평균 || '''49 m/s''' ||
52 7월 28일 15시에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7월 29일까지 필리핀을 향해 서쪽으로 이동했다. 이후 방향을 틀어 [[오키나와]]를 향해 북진하였으며, 당초 중국 상하이에 상륙할 것으로 보여졌으나, 계속 북서진해 산둥반도로 진로가 바뀌고 최종적으로 8월 7일경 [[대한민국]]과 [[중국]]의 사이를 통과하여 대한민국에 많은 비를 뿌렸다. 이후 8월 8일경 북한 [[신의주시|신의주]]에 상륙하였고, 다음날 8월 9일 [[만주]] 부근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8월 6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의 [[상하이시|상하이]] 결승전 취소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다.
53
54 또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9&news_seq_no=1092948|2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되었으며, [[제주도]]와 [[전라남도]]의 피해가 유난히 심각했다. 가거도의 방파제가 파손되고, 27만 여 가구가 정전되었으며,[* 복구율은 90%로 높은 수준.]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8080939304100|항공기 결항이 속출]]하였고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02827|제주도 관광객은 발이 묶였다]].
55
56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600년 된 팽나무가 쓰러져 그 밑에 있던 일관헌[* 조선시대의 관청으로 지금의 군청 정도로 보면 된다.]이 거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008445|반파되어 복구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관헌은 원형이 크게 변형되었던 것을 1975년에 복원하였으나 이후 복원이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있어 왔는데,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435|태풍 피해를 계기로 새로 복원하기로 했다.]]
57
58 ===# 진로 경과 #===
59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60 || 7월 28일 15시 || 40kn || 35kn ||<|8><#00faf4> 열대폭풍 ||<|7><#00faf4> 약 ||
61 || 7월 28일 21시 || 40kn || 35kn ||
62 || 7월 29일 3시 || 45kn || 45kn ||
63 || 7월 29일 9시 || 50kn || 45kn ||
64 || 7월 29일 15시 || 50kn || 45kn ||
65 || 7월 29일 21시 || 55kn || 45kn ||
66 || 7월 30일 3시 || 55kn || 45kn ||
67 || 7월 30일 9시 || 60kn || 55kn ||<#ccffff> 중 ||
68 || 7월 30일 15시 || 85kn || 70kn ||<#ffe775> 2등급 ||<#fdaf9a> 강 ||
69 || 7월 30일 21시 || 115kn || 85kn ||<#ff8f20> 4등급 ||<|24><#ffc140> 매우 강 ||
70 || 7월 31일 3시 || 140kn || 95kn ||<#ff6060> '''5등급''' ||
71 || 7월 31일 9시 || 135kn || 95kn ||<|5><#ff8f20> 4등급 ||
72 || 7월 31일 15시 || 125kn || 95kn ||
73 || 7월 31일 21시 || 125kn || 95kn ||
74 || 8월 1일 3시 || 120kn || 95kn ||
75 || 8월 1일 9시 || 120kn || 90kn ||
76 || 8월 1일 15시 || 110kn || 85kn ||<|9><#ffc140> 3등급 ||
77 || 8월 1일 21시 || 110kn || 85kn ||
78 || 8월 2일 3시 || 110kn || 85kn ||
79 || 8월 2일 9시 || 110kn || 85kn ||
80 || 8월 2일 15시 || 110kn || 85kn ||
81 || 8월 2일 21시 || 110kn || 85kn ||
82 || 8월 3일 3시 || 110kn || 85kn ||
83 || 8월 3일 9시 || 110kn || 85kn ||
84 || 8월 3일 15시 || 105kn || 85kn ||
85 || 8월 3일 21시 || 95kn || 85kn ||<|8><#ffe775> 2등급 ||
86 || 8월 4일 3시 || 95kn || 85kn ||
87 || 8월 4일 9시 || 90kn || 85kn ||
88 || 8월 4일 15시 || 90kn || 85kn ||
89 || 8월 4일 21시 || 90kn || 85kn ||
90 || 8월 5일 3시 || 85kn || 85kn ||
91 || 8월 5일 9시 || 85kn || 85kn ||
92 || 8월 5일 15시 || 85kn || 85kn ||
93 || 8월 5일 21시 || 80kn || 80kn ||<|6><#ffffcc> 1등급 ||<|7><#fdaf9a> 강 ||
94 || 8월 6일 3시 || 80kn || 80kn ||
95 || 8월 6일 9시 || 70kn || 75kn ||
96 || 8월 6일 15시 || 65kn || 70kn ||
97 || 8월 6일 21시 || 65kn || 65kn ||
98 || 8월 7일 3시 || 65kn || 65kn ||
99 || 8월 7일 9시 || 60kn || 65kn ||<|7><#00faf4> 열대폭풍 ||
100 || 8월 7일 15시 || 60kn || 60kn ||<|5><#ccffff> 중 ||
101 || 8월 7일 21시 || 55kn || 60kn ||
102 || 8월 8일 3시 || 55kn || 55kn ||
103 || 8월 8일 9시 || 55kn || 55kn ||
104 || 8월 8일 15시 || 50kn || 50kn ||
105 || 8월 8일 21시 || 40kn || 40kn ||<|2><#00faf4> 약 ||
106 || 8월 9일 3시 || - || 35kn ||<#fff> '''소멸''' ||
107 || 8월 9일 9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108
109 ===# 기록 #===
110 ||<-3> 공식 최대 1분 풍속 ||
111 ||<|13> 순간최대풍속(m/s) || 제주 || 고산 38.0 제주 30.8 성산 27.9 서귀포 25.3 ||
112 || 전남 서해안/내륙 || '''흑산도 42.4''' 진도(첨찰산) 38.8 목포 30.1 영광 26.3 해남 25.2 광주 19.3 ||
113 || 전남 남해안 || 강진 32.7 장흥 31.5 완도 30.4 여수 29.1 광양 25.8 순천 25.7 보성 24.6 고흥 22.2 ||
114 || 전북 || 고창(무) 26.5 남원 21.0 고창(구) 20.3 장수 19.0 전주 18.8 부안, 임실 17.2 군산, 정읍 15.7 순창 14.9 ||
115 || 충남 || 서산 24.3 보령 20.9 대전 20.6 금산 15.2 천안 15.1 부여 13.6 ||
116 || 충북 || 추풍령 23.0 청주 15.5 충주, 보은 13.7 제천 11.0 ||
117 || 경기 || 백령도 29.4 인천 19.7 강화 18.5 수원 17.4 동두천 16.1 서울 15.6 파주 14.3 이천 12.4 양평 11.9 ||
118 || 경남 서부 || 통영 29.5 거창 18.3 산청 17.8 진주 16.1 남해, 의령 14.7 함양 13.5 합천 12.7 ||
119 || 경남 동부 || 김해 19.3 거제 19.0 북창원 18.8 울산 18.4 부산 18.3 창원 16.9 양산 16.4 밀양 14.9 ||
120 || 경북 서부 || 안동 12.9 상주 12.8 영주 11.1 의성 11.0 대구 10.9 구미 10.8 문경 10.7 ||
121 || 경북 동부 || 경주 16.4 울릉 16.0 포항 14.4 울진 13.5 영덕 12.2 영천 11.7 청송 11.2 봉화 10.8 ||
122 || 강원 내륙 평지 || 영월 15.5 철원 15.4 원주 15.3 홍천 14.4 정선 13.3 인제 10.4 춘천 10.1 ||
123 || 강원 동해안/산지 || 대관령 18.6 태백 14.0 속초 13.5 훅강릉 12.2 강릉 11.3 동해 10.6 ||
124 ||<-3> '''비공식 순간풍속 기록'''(AWS) ||
125 || 제주 || 지귀도 40.7 ||
126 || 전라 || '''홍도 46.4''' 무등산 45.0 고흥도화 36.1 ||
127 || 충청 || 북격렬비도 38.0 ||
128 ||<|6> 공식 10분 최대풍속(m/s) || 제주 || 고산 28.0 성산 18.3 서귀포 16.4 제주 15.9 ||
129 || 전남 서해안/내륙 || '''흑산도 29.1''' 진도(첨찰산) 26.1 목포 16.6 영광 14.5 해남 14.3 광주 10.2 ||
130 || 전남 남해안 || 강진 20.8 여수 19.6 완도 18.1 보성 17.0 장흥 15.5 순천 13.2 고흥 12.3 광양 10.8 ||
131 || 전북 || 고창(무) 17.8 부안 10.7 군산 10.5 남원, 고창(구) 10.2 ||
132 || 경기/충청 || 백령도 21.6 서산 15.0 보령 13.3 대관령 11.9 추풍령 11.4 대전 10.5 인천 10.3 ||
133 || 강원/경상 || 통영 14.7 김해 13.0 대관령 11.9 부산 11.1 거창 10.4 ||
134
135 ||<|8> 강수량(mm)[* 8월 6일~8일 누적] || 제주 || '''제주 322.0''' 성산 125.8 서귀포 123.8 고산 71.0 ||
136 || 전남 서해안/내륙 || 해남 159.5 광주 79.5 흑산도 72.5 진도(첨찰산) 67.0 영광 64.0 목포 54.5 ||
137 || 전남 남해안 || 순천 252.5 광양 218.5 고흥 195.5 여수 152.5 보성 147.5 장흥 137.0 강진 128.5 완도 84.5 ||
138 || 전북 || 장수 96.5 임실 95.0 남원 87.0 순창 79.0 고창(구) 77.1 정읍 58.5 고창(무) 53.5 ||
139 || 경기/충청 || 강화 96.6 추풍령 79.5 인천 75.0 금산 71.0 동두천, 보령 51.0 청주 50.1 대전 50.0 ||
140 || 경남 서부 || 산청 228.0 함양 215.0 진주 120.9 합천 116.0 거창 110.8 남해 108.6 의령 63.0 통영 55.5 ||
141 || 경남 동부 || 북창원 110.4 거제 94.0 밀양 79.0 김해 77.5 창원 67.0 양산 66.1 ||
142 || 경북 || 구미 69.0 대구 60.5 청송, 경주 58.0 포항 56.5 영덕 54.5 영천 50.0 ||
143
144 == 2017년 제1호 태풍 ==
145 [include(틀:2017년 태풍)]
146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594D3><bgcolor=#3594D3><height=100%> [[2017년|{{{#FFF '''2017년'''}}}]] [[태풍|{{{#FFF '''태풍'''}}}]] ||
147 ||<bgcolor=#FFF,#1F2023> '''제1호 무이파''' → 제2호 [[므르복#s-4]] ||
148
149 ||<-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width=400><tablebordercolor=#3594D3><colbgcolor=#3594D3> '''{{{+5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 display: inline;"
150 2017년 제1호 태풍 무이파}}}}}}''' ||
151 ||<width=24%><colcolor=#ffffff> '''진로도''' ||<-2> {{{#!wiki style="margin: -6px -10px"
152 [[파일:1701track.png|width=100%]]}}} ||
153 || '''활동 기간''' ||<-2> 2017년 4월 26일 3시 ~ 2017년 4월 27일 15시 ||
154 || '''태풍 등급''' ||<-2><bgcolor=#00faf4> {{{#000 '''열대폭풍'''}}}[*JTWC] ||
155 || '''10분 등급''' ||<-2><bgcolor=#00faf4> {{{#000 '''열대폭풍'''}}}[*JMA] ||
156 || '''태풍 크기''' ||<-2> '''소형(직경 390 km)''' ||
157 ||<height=40px> '''최저 기압''' ||<-2> '''1002 hPa''' ||
158 ||<|2> '''최대 풍속''' ||<width=14%> 1분 평균 || '''21 m/s''' ||
159 || 10분 평균 || '''18 m/s''' ||
160 6년 전의 위에 동명의 태풍과는 달리 세력도 약하고 바다에서만 활동해서 피해가 거의 없었다.
161
162 == 2022년 제12호 태풍 ==
163 [include(틀:2022년 태풍)]
164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594D3><bgcolor=#3594D3><height=100%> [[2022년|{{{#FFF '''2022년'''}}}]] [[태풍|{{{#FFF '''태풍'''}}}]] ||
165 ||<bgcolor=#FFF,#1F2023> 제11호 [[힌남노]] → '''제12호 무이파''' → 제13호 [[므르복#s-5|므르복]] ||
166
167 ||<-3><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3594D3><bgcolor=#3594D3><tablebgcolor=#fff,#191919>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95, #3594D3);"
168 '''{{{+5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 display: inline;"
169 2022년 제12호 태풍 무이파}}}}}}'''}}} ||
170 ||<width=24%><#3594D3> {{{#ffffff 위성사진}}} ||<-2>{{{#!wiki style="margin: -5px -10px"
171 [[파일:Muifa20220911.jpg|width=100%]]}}} ||
172 ||<width=24%><#3594D3> {{{#ffffff 진로도}}} ||<-2>{{{#!wiki style="margin: -5px -10px"
173 [[파일:Muifa20220917track.png|width=100%]]}}} ||
174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22년 9월 8일 9시 ~ 2022년 9월 16일 9시 ||
175 ||<#3594D3> {{{#ffffff 영향 지역}}} ||<-2>[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난세이 제도]][br]'''[include(틀:국기, 국명=대만)]'''[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푸젠성]], '''[[저장성]]''', '''[[상하이시|상하이]]''', '''[[장쑤성]]''', '''[[산둥성]]''', [[랴오닝성]][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br][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176 ||<bgcolor=#3594D3> [[템플릿:태풍#s-3|{{{#white 태풍 등급}}}]] ||<-2><:><bgcolor=#ff8f20> {{{#000 '''4등급'''}}}[*JTWC] ||
177 ||<bgcolor=#3594D3> {{{#white 10분 등급}}} ||<-2><:><bgcolor=#ffc140> {{{#000 '''매우 강한 태풍'''}}}[*JMA][* KMA 등급 : '''소형의 매우 강한 태풍'''] ||
178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소형(직경 570km)''' ||
179 ||<height=40px><#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50hPa'''[*KMA '''중심기압 945hPa, 10분 최대풍속 45m/s'''][* JTWC 관측 기압값: '''944hPa'''] ||
180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width=14%><:>1분 평균 || '''59m/s''' ||
181 ||<:>10분 평균 || '''44m/s''' ||
182
183 === 발생 이전 ===
184 ====# 98W 열대요란 → 13W TD #====
185 8월 30일 0시, [[JTWC]]에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 위치한 98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로 지정하고 감시를 시작했다.
186
187 8월 30일 9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 위치한 98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JTWC]]에서 MEDIUM으로 격상하였다. 그리고 [[JMA]] 일기도에서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하고 있다.
188
189 8월 30일 15시, [[JMA]]에서 98W 열대요란에 대한 태풍발생예보를 내렸다. 발생하고 약 12시간만에 태풍 [[힌남노]]가 흡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90
191 8월 30일 16시 30분, [[JTWC]]에서 98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며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TCFA)를 발령하였다.
192
193 [[파일:무이파(1).png]]
194 8월 30일 15시, [[대한민국 기상청|KMA]]에서도 [[열대저압부]] 예보를 시작했다.
195
196 8월 31일 3시, [[JTWC]]에서 98W 열대요란을 1분 평균 풍속 30노트의 열대저기압으로 분석함에 따라 13W TD로 지정하였다.
197
198 [[파일:Muifa20220831.jpg]]
199 ▲ 13W TD의 위성 사진[* 위에 있는 태풍은 힌남노이고, 아래 있는 구름덩어리가 13W TD이다.]
200
201 [[파일:98W 소멸.png]]
202 9월 1일 9시, [[JMA]]과 [[대한민국 기상청|KMA]]의 태풍발생예보가 취소되었다. 그리고 [[JTWC]]에서도 13W TD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203
204 [[파일:힌남노 경로 위성영상 02.gif]]
205 9월 3일 15시, '''태풍 [[힌남노]]에 완전히 흡수되었다.''' 이로서 13W TD는 사라졌다.
206
207 ====# 91W 열대요란 → 14W TS #====
208 9월 4일 3시, [[JMA]] 일기도에서는 91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209
210 9월 4일 9시, [[JMA]] 일기도에서는 91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211
212 9월 5일 15시, [[JTWC]]에서 [[일본]] [[이오섬]] 남서쪽 해상에 위치한 91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로 지정하고 감시를 시작했다.
213
214 9월 5일 21시 30분, [[JTWC]]에서 [[일본]] [[이오섬]] 남서쪽 해상에 위치한 91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EDIUM으로 격상하였다.
215
216 9월 5일 21시, [[JMA]] 일기도에서는 [[일본]] 남쪽 해상에 있는 91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고 있다.
217
218 9월 6일 9시, [[JMA]] 일기도에서는 [[일본]] 남쪽 해상에 있는 91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고 있다.
219
220 9월 6일 12시 30분, [[JTWC]]에서 [[일본]] [[이오섬]] 남서쪽 해상에 위치한 91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였다.
221
222 9월 6일 15시, [[JMA]] 일기도에서는 91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하고 있다.
223
224 9월 6일 21시, [[JMA]] 일기도에서는 91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JTWC]]에서는 91W 열대요란을 14W 열대저기압으로 지정하였다.
225
226 9월 7일 9시, 14W TD의 1분 평균 풍속이 35kn(18m/s)로 발달하면서 14W T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한 본격적으로 태풍발생예보를 시작하였다.
227 [[파일:wp1422.gif]]
228
229 9월 7일 15시, 14W TS의 1분 평균 풍속이 45kn(23m/s)로 발달했다. 그리고 [[JMA]]에서 [[일본]] [[이오섬]] 남서쪽 해상에 있는 14W TS를 중심기압 1004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태풍발생예보를 시작하였다.
230 [[파일:일본 기상청 예보.png]]
231
232 9월 7일 15시,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열대저압부 14W 관련 예보를 시작하였다.
233 [[파일:RTKO64_202209071700]24_ko.png]]
234
235 === 발생 이후 ===
236 ====# 9월 8일 #====
r2
O:GTY
237 2022년 '''제12호 태풍 무이파(MUIFA)'''는 9월 8일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직경 330km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약 1,2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JMA]]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r1
O:Gyonyong사구
238
239 [[파일:muifa.png|width=100%]]
240 ▲ 9월 8일 9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241
242 [[파일:JMA 무이파 2022 예상경로.jpg]]
243 ▲ 9월 8일 15시 [[일본 기상청|JMA]] 기준 예상 경로[* 일본 [[웨더뉴스]] 스샷이고 일본 [[웨더뉴스]] 또한 [[일본 기상청]] 자료를 따온다.]
244
245 9월 8일 21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21m/s, 10분 순간풍속 3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고, 강풍 직경이 330km에서 440km로 더 커졌다.
246 ====# 9월 9일 #====
247 9월 9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23m/s, 10분 순간풍속 33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248
249 [[파일:RTKO63_202209090400]12_ko.png|width=100%]]
250 ▲ 9월 9일 3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251
252 [[파일:RTKO63_202209091000]12_ko.png|width=100%]]
253 ▲ 9월 9일 9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254 3시 기준 경로와 차이가 거의 없다.
255
256 [[파일:jtwc 무이파 예상 경로.gif|width=100%]]
257 ▲ 9월 9일 9시 [[JTWC]] 기준 예상 경로
258
259 9월 9일 12시에 [[JMA]] 기준으로 태풍 무이파의 강풍 직경이 440km에서 330km로 다시 작아졌다.
260
261 기상청 말에 따르면, '''일단은 발생 초기이기 때문에 한반도 상륙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또한, 기상청 예측으로 연휴 기간 동안은 무이파의 영향 가능성이 낮아 전국 대부분의 지역이 추석에 보름달이 고도 5km에 낀 구름 사이로 보일 것이라고 했다. 다만 동해안 지역과 제주도는 동풍의 영향으로 낮은 구름이 유입돼 흐릴 것으로 예상되어 보름달이 타 지역에 비해 잘 보이지 않을 것이고, 제주도 동부와 산지에는 낮부터 가끔 비가 올 것이라고 했다. 예상 강수량은 5㎜ 내외. 그리고 연휴 마지막 날인 9월 11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릴 것이라고 했다.
262
263 [[파일:kbs 뉴스 무이파 예상경로.png|width=100%]]
264 ▲ 9월 9일 [[KBS 뉴스]] 기준 예상 경로
265 KBS 뉴스에서는 위 사진을 보면 기상청이 예측한 경로와 다르게, 대만과 근접하지 않는다.[* 다만, 트레이싱을 하지 않는 이상 거의 사실상 똑같이 그리기는 어렵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KBS도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자료를 따오는 것에 불과하다.]
266
267 [[파일:무이파2022기상청.png|width=100%]]
268 ▲ 9월 9일 15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269 9월 9일 15시, [[대한민국 기상청|KMA]]에서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24m/s, 시속 86km/h라고 발표했다.
270
271 [[파일:대만기상청 무이파.png|width=100%]]
272 ▲ 9월 9일 15시 [[https://www.cwb.gov.tw/eng/|CWB]] 기준 예상 경로
273
274 [[파일:2022_JTWC 무이파.gif|width=100%]]
275 ▲ 9월 9일 15시 [[JTWC]] 기준 예상 경로
276
277 [youtube(iA62Yu9Ayt0)]▲ 9월 9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경로(바람 영상)
278
279 [youtube(M1-68XA3SDY)]▲ 9월 9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강수 영상
280
281 9월 9일 21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28m/s, 10분 순간풍속 4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282 [[파일:2022 무이파 KMA예상.png]]
283 ▲ 9월 9일 21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284
285 [[파일:대만 기상청 무이파.png]]
286 ▲ 9월 9일 21시 [[https://www.cwb.gov.tw/eng/|CWB]] 기준 예상 경로
287
288 ====# 9월 10일 #====
289 9월 10일 3시, [[JTWC]] 기준 1분 등급으로 열대폭풍에서 '''1등급 태풍'''으로 발달했다.
290 [[파일:RTKO63_202209100400]12_ko.png|width=100%]]
291 ▲ 9월 10일 3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292
293 9월 10일 9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75hPa, 10분 최대풍속 65kn(33m/s), 10분 순간풍속 95kn(49m/s)로 발달했으며 강풍 직경이 330km에서 500km[* 북쪽 280km, 남쪽 220km]로 더 커졌다.
294
295 [[파일:RTKO63_202209101000]12_ko.png]]
296 ▲ 9월 10일 9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297
298 [[파일:CWB 무이파 예상경로10일.png|width=100%]]
299 ▲ 9월 10일 9시 [[https://www.cwb.gov.tw/eng/|CWB]] 기준 예상 경로
300
301 [[파일:KTKO50_202209101400_108_59.png]]
302 9월 10일 14시, KMA에서 15시부터 전국 일부 지역에 풍랑주의보가 발효된다고 발표했다. 풍랑주의보가 발효되는 지역은 '''제주도앞바다(제주도동부앞바다), 남해동부안쪽먼바다, 남해동부앞바다(거제시동부앞바다, 부산앞바다), 동해남부앞바다(울산앞바다)'''이다.
303
304 [[파일:RTKO63_202209101600]12_ko.png]]
305 ▲ 9월 10일 15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06 경로가 좀 더 서쪽으로 틀어지는 양상이 보인다.
307
308 [[파일:cma_무이파 경로.png]]
309 ▲ 9월 10일 15시 [[https://www.cwb.gov.tw/eng/|CWB]] 기준 예상 경로
310
311 9월 10일 15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70hPa, 10분 최대풍속 70kn(36m/s), 10분 순간풍속 100kn(51m/s)로 발달하였다.
312
313 [youtube(A-4oo5uXWzw)]▲ 9월 10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경로(바람 영상)
314
315 [youtube(T3di73uxnBI)]▲ 9월 10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강수 영상
316
317
318 9월 10일 21시, [[JTWC]] 기준으로 1분 평균 풍속이 85kn(44m/s)로 해석됨에 따라 1등급에서 '''2등급'''으로 격상되었다.
319 [[파일:RTKO63_202209102200]12_ko.png]]
320 ▲ 9월 10일 21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21
322 ====# 9월 11일 #====
323 9월 11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50hPa, 10분 평균 풍속 44m/s, 10분 순간풍속 62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고, 강풍 직경이 500km에서 570km[* 북쪽 330km, 남쪽 240km]로 더 커졌다. 그리고 [[JTWC]] 기준으로 1분 평균 풍속이 100kn(51m/s)로 해석됨에 따라 2등급에서 '''3등급'''으로 격상되었다.
324 [[파일:RTKO63_202209110400]12_ko.png]]
325 ▲ 9월 11일 3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26
327 9월 11일 9시를 기해 [[일본]] [[류큐 제도]] 서부가[* [[이시가키]] 섬 등이 위치해있다.] 태풍 무이파의 폭풍 반경에 들어가면서 [[JMA]]의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가 시작되었다.
328 [[파일:RTKO63_202209111000]12_ko.png]]
329 ▲ 9월 11일 9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30
331 [youtube(-n-z2c53DQA)]▲ 9월 11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경로(바람 영상)
332
333 [youtube(XP3FNFYBYBQ)]▲ 9월 11일 3시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강수 영상
334
335 9월 11일 15시에 [[JTWC]] 기준으로 1분 평균 풍속이 115kn(59m/s)로 해석됨에 따라 3등급에서 '''4등급'''으로 격상되었다.
336 [[파일:RTKO63_202209111600]12_ko.png]]
337 ▲ 9월 11일 15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38
339 ====# 9월 12일 #====
340 [[파일:RTKO63_202209120400]12_ko.png]]
341 ▲ 9월 12일 3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42
343 9월 12일 9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55hPa, 10분 평균 풍속 41m/s, 10분 순간풍속 59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344 [[파일:RTKO63_202209121000]12_ko.png]]
345 ▲ 9월 12일 9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46
347 9월 12일 12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65hPa, 10분 평균 풍속 41m/s, 10분 순간풍속 59m/s의 세력으로 중심기압이 상승하였다. [[JMA]]에서 [[이시가키]] 섬의 실측치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강풍 직경이 570km에서 500km[* 북쪽 280km, 남쪽 220km]로 다시 작아졌다.
348
349 9월 12일 15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65hPa, 10분 평균 풍속 39m/s, 10분 순간풍속 54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350 [[파일:RTKO63_202209121600]12_ko.png]]
351 ▲ 9월 12일 15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52
353 9월 12일 21시, [[JTWC]] 기준으로 85kn(44m/s)으로 재발달하며 '''2등급'''으로 재격상되었다.
354 [[파일:RTKO63_202209122200]12_ko.png]]
355 ▲ 9월 12일 21시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예상 경로
356
357 [youtube(oEhkndUs9lk)]▲ 9월 12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경로(바람 영상)
358
359 [youtube(h65-652Mirc)]▲ 9월 12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강수 영상
360 ====# 9월 13일 #====
361 9월 13일 0시에 [[JMA]] 기준으로 강풍 직경이 500km에서 440km[* 대칭 반경 220km]로 더 작아졌다.
362
363 [[파일:20220913000062_0_20220913083801262.jpg]]
364 ▲ 9월 13일 3시 KMA 기준 예상 경로
365
366 9월 13일 9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55hPa, 10분 평균 풍속 41m/s, 10분 순간풍속 59m/s의 세력으로 다시 발달하였다.
367 [[파일:KTKO50_202209130600_108_62.png]]
368 또한, 강풍주의보가 제주도, 전라남도(거문도.초도)에 발효됐고, 풍랑주의보가 제주도전해상, 남해서부동쪽먼바다, 남해서부서쪽먼바다, 남해동부바깥먼바다, 남해동부안쪽먼바다, 서해남부남쪽바깥먼바다, 서해남부남쪽안쪽먼바다에 발효됐다.
369 [[파일:fax_rpt_202209130910_108_25_1.png]]
370 ▲ 9월 13일 9시 KMA 기준 예상 경로
371
372 9월 13일 12시를 기해 [[일본]] [[류큐 제도]] 서부가[* [[이시가키]] 섬 등이 위치해있다.] 태풍 무이파의 폭풍 반경에서 벗어나면서 [[JMA]]의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가 종료되었다.
373
374 9월 13일 15시에 [[JMA]] 기준으로 강풍 직경이 440km에서 500km[* 북쪽 280km, 남쪽 220km]로 다시 커졌다.
375 [[파일:RTKO63_202209131600]12_ko.png]]
376 ▲ 9월 13일 15시 KMA 기준 예상 경로
377
378 9월 13일 18시에 [[JMA]] 기준으로 강풍 직경이 500km에서 560km[* 대칭 반경 280km]로 더 커졌다.
379
380 [youtube(2-qBotuPfRM)]▲ 9월 13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경로(바람 영상)
381
382 [youtube(fTp0NELdsJg)]▲ 9월 13일 한국 웨더뉴스 기준 예상 강수 영상
383
384 ====# 9월 14일 #====
385 [[파일:14737129_957114_518.jpg]]
386 ▲ 9월 14일 3시 KMA 기준 예상 경로
387
388 [[파일:RTKO63_202209141000]12_ko.png]]
389 ▲ 9월 14일 9시 KMA 기준 예상 경로
390
391 한국에서는 영향은 거의 없었지만 고기압과의 기압경도력으로 인해 강풍이 불었다.
392
393 ====# 9월 15일 #====
394 9월 15일 3시에 [[JMA]] 기준으로 [[중국]] [[상하이]]에 중심기압 975hPa, 10분 평균 풍속 70kn(36m/s), 10분 순간풍속 100kn(51m/s)의 세력으로 상륙하면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도 560km에서 440km[* 대칭 반경 220km]로 작아졌다.
395
396 9월 15일 6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28m/s, 10분 순간풍속 41m/s로 약화되었다.
397
398 9월 15일 9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26m/s, 10분 순간풍속 36m/s로 더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도 440km에서 385km[* 동쪽 220km, 서쪽 165km]로 더 작아졌다.
399
400 9월 15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23m/s, 10분 순간풍속 33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401
402 9월 15일 21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21m/s, 10분 순간풍속 31m/s의 세력으로 약화된 상태로 서해상으로 진출하였다.
403
404 ==== 9월 16일 ====
405 9월 16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21m/s, 10분 순간풍속 31m/s의 세력으로 [[중국]] [[산둥반도]]에 상륙하였다.
406
407 9월 16일 9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태풍 무이파가 [[보하이 만]]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태풍 무이파가 [[보하이 만]]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JTWC]]에서는 태풍 무이파가 [[보하이 만]]에 진출하였다고 발표했고, 열대폭풍으로 분석하면서 아직 태풍정보를 발표하고 있다.
408
409 9월 16일 15시에 [[JTWC]]에서도 태풍 무이파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면서, 한미일 3국의 태풍 예보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410
411 ===# 세력 경과 #===
412 ※ 최전성기 해석은 '''볼드체'''로 표시.
413 [[https://www.typhoon2000.ph/multi/log.php?name=MUIFA_2022|각국 기상청들의 예상진로 경과]]
414 [[https://www.nrlmry.navy.mil/tcdat/tc2022/WP/WP142022/txt/trackfile.txt|JTWC 중간 사후해석 목록]]
415 ||<tablebordercolor=#3594D3><colcolor=#fff><rowcolor=#fff><colbgcolor=#3594D3><rowbgcolor=#3594D3>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416 || '''9월 8일 9시''' || 40kn || 35kn ||<|7><#00faf4> 열대폭풍 ||<|6><#00faf4> 약 ||
417 || '''9월 8일 15시''' || 40kn || 35kn ||
418 || '''9월 8일 21시''' || 45kn || 40kn ||
419 || '''9월 9일 3시''' || 45kn || 45kn ||
420 || '''9월 9일 9시''' || 55kn || 45kn ||
421 || '''9월 9일 15시''' || 55kn || 45kn ||
422 || '''9월 9일 21시''' || 60kn || 55kn ||<|2><#ccffff> {{{#000 중}}} ||
423 || '''9월 10일 3시''' || 65kn || 55kn ||<|3><#ffffcc> 1등급 ||
424 || '''9월 10일 9시''' || 70kn || 65kn ||<|3><#fdaf9a> 강 ||
425 || '''9월 10일 15시''' || 80kn || 70kn ||
426 || '''9월 10일 21시''' || 90kn || 70kn ||<#ffe775> 2등급 ||
427 || '''9월 11일 3시''' || 100kn || '''85kn''' ||<|1><#ffc140> 3등급 ||<|5><#ffc140> '''매우 강''' ||
428 || '''9월 11일 9시''' || '''115kn''' || '''85kn''' ||<|1><#ff8f20> '''4등급''' ||
429 || '''9월 11일 15시''' || 110kn || '''85kn''' ||<|2><#ffc140> 3등급 ||
430 || '''9월 11일 21시''' || 105kn || '''85kn''' ||
431 || '''9월 12일 3시''' || 95kn || '''85kn''' ||<|2><#ffe775> 2등급 ||
432 || '''9월 12일 9시''' || 85kn || 80kn ||<|12><#fdaf9a> 강 ||
433 || '''9월 12일 15시''' || 80kn || 75kn ||<|1><#ffffcc> 1등급 ||
434 || '''9월 12일 21시''' || 85kn || 75kn ||<|8><#ffe775> 2등급 ||
435 || '''9월 13일 3시''' || 85kn || 75kn ||
436 || '''9월 13일 9시''' || 90kn || 80kn ||
437 || '''9월 13일 15시''' || 90kn || 80kn ||
438 || '''9월 13일 21시''' || 90kn || 80kn ||
439 || '''9월 14일 3시''' || 85kn || 80kn ||
440 || '''9월 14일 9시''' || 85kn || 80kn ||
441 || '''9월 14일 15시''' || 85kn || 80kn ||
442 || '''9월 14일 21시''' || 80kn || 80kn ||<|2><#ffffcc> 1등급 ||
443 || '''9월 15일 3시''' || 70kn || 70kn ||
444 || '''9월 15일 9시''' || 60kn || 50kn ||<|4><#00faf4> 열대폭풍 ||<#ccffff> 중 ||
445 || '''9월 15일 15시''' || 45kn || 45kn ||<|3><#00faf4> 약 ||
446 || '''9월 15일 21시''' || 40kn || 40kn ||
447 || '''9월 16일 3시''' || 35kn || 40kn ||
448 || '''9월 16일 9시''' || 30kn || - ||<|3><#5ebaff> 열대저기압 ||<|3><#fff> '''소멸''' ||
449 || '''9월 16일 15시''' || 25kn || - ||
450 || '''9월 16일 21시''' || 20kn || - ||
451 || '''9월 17일 3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452 === 기타 ===
453 발생 초기 진로는 2019년 우리나라를 강타했던 태풍 [[링링(2019년 태풍)|링링]]과 비슷한 경로로 갈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현재는 진로가 많이 서편화되어 [[2018년]] [[암필]], [[2019년]] [[레끼마]]와 진로가 비슷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