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연체분급관리판법
(비교)
r1 vs r2 | ||
---|---|---|
1 | [include(틀:문서 주제, 주제1=단체, 주제2=유희연체분급관리판법)] |
|
2 | [include(틀:게임 심의 기구)] |
|
3 | ---- |
|
4 | ||
5 | ||<-2><:><table bordercolor=#0086cd><colbgcolor=#ffffff><color=#fff><tablealign=right> || |
|
6 | ||<-2><colbgcolor=#0086cd><color=#fff><tablealign=right> {{{+1 '''유희연체분급관리판법'''}}}[br]GSRR || |
|
7 | ||<colbgcolor=#0086cd><colcolor=#fff> '''정식 명칭''' ||遊戲軟體分級管理辦法 || |
|
8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
|
9 | ||<-2><colbgcolor=#ffffff><:> [[http://www.gamerating.org.tw/|[[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 |
|
10 | ||
11 | [목차] |
|
12 | [clearfix] |
|
13 | ||
14 | == 개요 == |
|
15 | [[대만]]의 게임 [[심의]]기구. [[2006년]] 동명의 법률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2012년]]에 현재와 같은 내용으로 개정되었다. |
|
16 | ||
17 | 실제 담당 행정기관은 대만 경제부 공업국 산하의 "수위내용산업응용 여 건전환경추광계획 전안위판(數位內容產業應用與健全環境推廣計畫專案委辦 ''Shùwèi nèiróng chǎnyè yìngyòng yǔ jiànquán huánjìng tuīguǎng jìhuà zhuān'àn wěibàn'')".[* 한국어로 다듬어 옮기면 "디지털 콘텐츠 산업 응용 및 건전 환경 추진 계획 특별 위원회" 정도 된다.] |
|
18 | ||
19 | 한국의 [[게임물관리위원회]], 일본의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 유럽의 [[범유럽 게임 정보]], 미국과 캐나다의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와 같은 곳이라고 보면 된다. 자체 평가 등급이며 제공되는 규정내용을 참고로 판단하여 자체적인 등급을 정하고 해당 등급 이미지를 출력해서 활용한다. |
|
20 | ||
21 | [[홍콩]] 및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도 이 기준을 [[사실상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
|
22 | == 등급 == |
|
23 | [[파일:유희연체분급관리판법.svg]] |
|
24 | ||
25 | GSRR의 분류는 총 5단계로 나뉜다.[* [[2012년]] 개정 이전에는 普遍級(보편급), 保護級(보호급), 輔導級(보도급), 限制級(한제급) 이렇게 총 4단계로 나눠졌으나, 개정 이후에는 보도급이 輔12級(보12급)으로 변경되고 輔15級(보15급)이 추가되어 총 5단계로 나뉜다.] |
|
26 | ||
27 | [[분류:게임 심의]][[분류:대만의 단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