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공영방송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세계의 공영방송 === 전 세계적으로 볼 때 공영방송은 [[영국방송공사|BBC]], [[일본방송협회|NHK]]처럼 [[수신료]]를 거하게 받아서 세계 수준의 전천후 매체로 성장하거나 미국의 [[공영방송서비스|PBS]]처럼 경영난의 무한 경로로 빠지거나[* 이 때문에 PBS의 뉴욕 계열국인 WNET은 기부금 모금광고 및 연방정부의 지원 촉구를 가장 공격적으로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캐치프레이즈가 Thirteen is worth fighting for(채널 13은 싸워서 지켜낼 가치가 있다).], 이 두 가지 흐름을 보이고 있다. 물론 나라마다 사정이 달라서 MBC와 똑같게 [[뉴질랜드]] [[TVNZ]][* 1998년까지는 수신료를 받았지만 1999년부터 수신료를 폐지했다.], 영국 [[채널 4]]처럼 수신료를 안 받고 [[광고]]로 운영하는 경우가 있고, KBS, EBS와 비슷하게 [[독일]]의 [[ARD]]나 [[ZDF]], [[이탈리아]]의 [[RAI]], [[프랑스]]의 [[프랑스 텔레비지옹]], 오스트리아의 ORF, 폴란드 TVP, 남아공 [[남아프리카 방송공사|SABC]]처럼 수신료도 받고 광고도 하는 경우도 많이 있으며, [[호주]]의 [[ABC(호주)|ABC]]처럼 [[세금]]으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세금과 광고로 운영하는 네덜란드 NPO, 벨기에 [[RTBF]](프랑스어권 방송사), [[VRT]](네덜란드어권 방송사), 캐나다 [[캐나다 방송 협회|CBC]] 같은 경우도 있다.[* 부작용으로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의 경계가 없다는 소리를 듣는다. 중계권도 로저스, 벨 계열 방송사에서 관리해 사실상 [[NHL]]을 필두로 한 스포츠는 민영방송에 아웃소싱을 하는 중이다.]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경우, 원래는 수신료가 있었지만, 수신료를 폐지하고 세금으로 대체했다. 영국의 [[영국방송공사|BBC]]는 [[영국 국왕|왕]]이 [[http://www.bbc.co.uk/bbctrust/governance/regulatory_framework/charter_agreement.html|직접 방송 허가를 내주는 형태이지만]] 정치적 독립성을 가진 관계로 신나게 영국 정부를 욕한다. 반면 한국의 [[한국방송공사|KBS]]와 일본의 [[일본방송협회|NHK]]는 상대적으로 정치적인 독립성이 약한 편이라 국영에 가깝다는 야유를 듣는 편. 물론 이는 현재 MBC도 듣는 평가다. 다만 NHK도 예전에는 유럽 쪽 공영방송 못지않게 독립성이 좋았지만 [[아베 신조]] 내각 2기 이후로 [[낙하산 인사|낙하산]]들을 대거 앉혀버리는 바람에 한때 KBS 못지 않은 국영방송 소리를 듣게 될 뻔했다. 2020년 아베 퇴임 후 스가 내각 시기를 거쳐 2021년 기시다 내각(실용주의 성향)이 들어서면서 NHK는 다시 독립성을 어느 정도 되찾아가고 있다. 일본의 경우, [[민영방송]]국도 지방자치단체가 공시대상인 10대 주주 중 하나로 지분을 보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형식적으로라도 공영방송의 형태를 띄게 된다. 그래서 도도부현정, 시정 홍보 프로그램이 5~30분 분량으로 방송을 타는 경우가 있다.[* 예외가 [[이바라키현]] 홍보 프로그램. 이바라키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자체 지상파방송국이 없어서 도쿄 방송국에서 방송한다.] 허나 기본적으로 민영방송국이라 [[선 텔레비전]]의 경우 지상파에서 AV배우가 벗고 나오며 [[섹드립]]을 치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2020년부터 [[유튜브]] 공영방송 공식채널에는 'oo국가의 공영 방송 서비스입니다'라는 표시가 나간다. [* 참고로 [[KTV 국민방송]]이나 [[USAGM]], [[중국 중앙 텔레비전]], [[러시아 투데이]] 등 [[국영방송]]은 'OO국가의 정부가 전체 또는 일부 지원합니다'가 나간다. 초창기에는 공영방송도 동일한 멘트였으나 2020년 하반기쯤 교체되었다.] 그런데 NHK의 경우 본채널에서는 이 문구가 안 나가는데 NHK World에서는 이 문구가 나간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1.44.17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