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공영방송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검열 정책 == 공영방송의 특성상 각종 유해 요소에 대한 [[검열]]이 기본적으로 이뤄진다. 다만, 검열의 기준은 나라마다 다르다. 한국의 [[KBS]]는 심야시간에 [[검풍전기 베르세르크|베르세르크 애니메이션]]을 방영하려다 불발되었으며, [[미소녀전사 세일러문]]에는 마스킹과 모자이크(블러) 처리는 기본이요 아예 [[통편집]]하기도 했다.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의 KBS판도 마찬가진데 특히 [[스모커]]을 [[포기]]로 명칭을 바꾸는 건 KBS식 검열[* 원피스의 방영 전에는 KBS가 자사 제작 드라마를 시작으로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382302|"아예 모든 방영 프로그램에 흡연 표현을 넣지 않겠다"]]고 선언한 참이였다.]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MBC]]도 마찬가지다. 일본의 [[NHK]] 또한 유해성이 다분한 프로그램들을 모두 심야 시간대에 편성하는 것도 모자라 폭력성이 조금이라도 보이는 장면마다 블러 처리 내지 통편집으로 대응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 때문에 TV [[성교육]] 프로그램의 방영은 꿈도 못 꾼다. 한국의 [[EBS]]조차 경영난도 있고 해서 [[딩동댕 유치원]]의 [[성교육]] 에피소드마저 자체 검열하여 특집 에피소드 형태로 내보낼 정도다. [[중국]]의 [[CCTV]]와 [[북한]]의 [[조선중앙텔레비전]]은 여기에 더 나아가, 아예 보도(뉴스)까지 검열한다. 아랍 국가의 공영방송에서는 이보다 더 강력한 검열 정책이 시행 중이다. 검열 정책에 이슬람교 교리가 적용되어 있어 외국 프로그램은 아랍권 공영방송 방영을 사실상 포기해야 할 정도로 매우 빡세다. 서양권 [[성진국]]의 공영방송은 선정성 한정으로 그나마 검열 기준이 널널한 편에 속하나[* 실제로 [[성교육]]이 유럽 국가의 대세가 되면서,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아예 공영방송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여 성교육 프로그램 한정으로 검열 대상 컨텐츠에서 제외하기도 한다. 다만 성교육 목적이 아닌 포르노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공영방송식 검열이 여전히 이뤄지는 편이다.], 이마저도 일부 프로그램의 선정성 논란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이다. 일례로 [[성진국]]에 속하는 독일의 [[ZDF]]에서는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3874|대낮에 대놓고 나체 인터뷰을 진행하여 시청자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에 MC(사회자)는 "[[망언|이 프로그램은 순전히 오락 프로그램일 뿐이다. 일반적인 저널리즘의 잣대로 평가하지 말라]]"고 못박았으나, ZDF의 대변인은 "편성에 문제가 있었다"며 난색을 표한 상태다. 같은 성진국인 [[덴마크]]의 공영방송 DR에서도 일부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선정성]] 혹은 성차별 논란이 일 정도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10710410003383|#]] [[스웨덴]]의 공영방송 [[스웨덴 텔레비전 주식회사|SVT]]에서도 자체 제작 성교육 애니메이션 'Snoppen och Snippan'이 방영중인데 누가 봐도 "저게 정말 공영방송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 맞나?" 싶을 정도로 사람의 [[성기|아주 중요한 곳]]이 적나라하게 묘사되어 있다.[[https://youtu.be/2XaOUF6eovk?si=K2ju9bTtj4ZcNZCx&t=344|#]]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36.108.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