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돌비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Dolby Stereo / Surround === ||<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height=50><width=33%> [[파일:Dolby Stereo 로고.svg|width=100%]] ||<width=33%> [[파일:Dolby Surround 로고.svg|width=100%]] ||<width=33%> [[파일:Dolby Pro Logic 로고.svg|width=100%]] || 돌비 스테레오는 1975년에 등장한 극장 상영용 다채널 음향 포맷이다. 특정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좌, 우 채널에 센터 채널과 서라운드 채널을 합쳐서 인코딩하고, 이를 재생할 때 디코딩하여 분리함으로써 여러 개의 스피커로 보내는 방식이다. 당시 메이저 영화 중에서는 돌비 스테레오로 녹음된 작품들이 있어서, 훗날 리마스터할 때 다채널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더 씽(1982)]]이 있다. 이 돌비 스테레오를 가정용으로 만든 것이 돌비 서라운드이다. 사실 이름만 다를 뿐 작동 원리 자체는 거의 같다. 이후 1980년대 말에 디코더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디코딩 기술 한정으로 '돌비 프로 로직'으로 변경하였다. 돌비 프로로직 기술은 이를 고려하지 않은 2채널 음원 소스에서 멀티채널을 추출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만약 음원 자체가 돌비 프로로직을 고려하여 만들어졌다면 더욱더 또렷하게 멀티채널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 돌비 서라운드/프로 로직은 [[VHS]]나 [[LD]] 같은 초기의 영상 매체에 채용되었으며, [[슈퍼패미컴]]이나 [[PC엔진]]을 시작으로 [[게임기]]에서의 활용도 늘어나게 되었다. 2000년에는 인코더와 디코더의 성능 향상으로 새로운 버전인 '돌비 프로 로직 II'가 선보여졌는데, 모노였던 서라운드 채널을 스테레오로, 또 서브우퍼 채널을 포함시켜 2채널로 인코딩할 수 있게 되었다. 프로 로직 II는 이미 완전한 멀티 채널 포맷인 돌비 디지털이 채용된 DVD 등의 영상 매체 보다는 [[플레이스테이션 2]][* PS2 자체는 돌비 디지털 출력을 지원하지만 DVD 재생이나 게임 내 동영상의 음향 한정이며, 실제 게임 내의 소리는 프로세싱 파워의 한계로 돌비 디지털 포맷 출력이 불가능하다.]나 [[게임큐브]] 등의 게임기에 더 많이 사용되었다. 예로부터 수많은 영화와 VTR 등에 이러한 기술이 쓰여 영화 [[엔딩 크레딧]]과 제품에 돌비의 로고도 같이 각인되어 이 로고만큼은 어디서 많이 본 기억이 있는 사람들이 많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22.116.6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