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돌비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Dolby Digital / [[:분류:Dolby Audio 지원 음악|Dolby Audio]] === * [[:분류:Dolby Audio 지원 음악]]에서 지원하는 콘텐츠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height=50><width=33%> [[파일:Dolby Digital 로고.svg|width=100%]] ||<width=33%> [[파일:Dolby Digital Plus 로고.svg|width=100%]] ||<width=33%> [[파일:Dolby Audio.png|width=100%]] || [[1992년]] [[팀 버튼]]의 [[배트맨 2|배트맨 리턴즈]]에서 신개념 음향포맷인 돌비 디지털(개발 프로젝트명: AC-3, [[5.1채널|5.1ch]])을 도입하였다.[* 기존의 돌비 스테레오는 아날로그 음향이다.] 돌비 디지털은 현재도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HDTV(미국식 ATSC 지상파/케이블 및 위성방송), DVD, 극장영화의 기본 음향포맷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후 [[1999년]] 돌비 디지털을 업그레이드 한 돌비 디지털 EX(6.1ch, 7.1ch)를 발표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의 음향이 돌비 디지털 EX였기에 [[조지 루카스]]는 EX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극장은 영화 상영을 불허 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이에 [[대한민국]]의 극장들은 새로운 돌비 리더기를 들여오고 상영관 내 음향설비를 뜯어 고치기도 했다.[* 한국의 극장은 90년대 후반까지도 구 포맷인 돌비 스테레오 설비를 갖춘 극장이 많았다.] 돌비 디지털의 단점 이라면 내구성 문제인데 트랙이 [[필름]]에 입혀져 있어서 장기간 상영이 될 경우 트랙이 열화[* 이래서 영화 필름에는 돌비 디지털과 아날로그인 돌비 SR이 같이 입혀져 있다.]돼 아날로그 사운드인 돌비 SR(Spectral Recording)로 넘어가는 문제가 생긴다. 이럴땐 특정 음역대만 부각되어 들리거나 리어 사운드가 들쭉날쭉 불규칙해지고 심지어는 프론트 스피커에서만 들린다. 극장에서 필름 영화를 보는데 이런 현상이 있다면 일단 의심해보자. 그래서인지 DTS처럼 필름에는 CD, DVD, 블루레이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생기는 랜드와 홀을 필름에 똑같이 기록 후 그것을 읽어서 별도로 마련된 음성 디스크 재생기에 데이터를 전송해 재생기가 음성 디스크의 데이터를 읽게 해서 출력하는 방식도 있다. 외국의 영화는 돌비 말고도 음향을 [[DTS]]를 비롯해 [[SDDS]]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기에 한국의 웬만한 극장들 역시 이에 대비해 재생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어 놓았으나 활용을 못하고 있는데, 이유인 즉슨 한국영화의 음향의 상당 부분을 아직도 돌비 디지털에 의존[* 하지만 국내 영화 중 [[Runaway#s-5.1|런 어웨이]], [[진짜사나이]], [[체인지]], [[퇴마록]] 등은 DTS 음향으로 만들어졌으나 대부분 흥행에 실패했다.]하고 있고 SDDS는 소스가 부족하며, DTS는 재생시 싱크가 안 맞아 영사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기피되고 있다. 돌비 디지털은 [[DVD]]-Video 규격의 공인 음성 포맷 중 하나[* 나머지는 무손실 압축 포맷.]인지라 거의 모든 영화 DVD에는 돌비 디지털 포맷의 음성 데이터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한국/미국식 지상파 DTV([[ATSC]])의 기본 음성용 코덱이라고 한다. 이는 MPEG-2 오디오 레이어 II/III(MP2/MP3) 코덱을 사용한 유럽([[DVB]])[* [[프랑스]]를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는 DVB에 돌비 디지털이나 돌비 디지털 플러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은 스카이라이프가 DVB-S/S2에 돌비 디지털을 채택했다. 다만 UHD 방송부터는 MPEG-4 AAC로 선회.]이나 MPEG-2 AAC 코덱을 사용한 일본 방식([[ISDB]])과 다른 점.[* 한편 한국식 휴대용 DTV([[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에는 돌비 AC-3도, MPEG-2 AAC(Part.7)도, MP2(MPEG-2 Audio Layer II, III/MPEG-2 BC)도 아닌 MPEG-4 BSAC(AAC 코덱의 변형, Part.3)가 채택되었다.] 중국식 디지털 방송 규격인 [[DTMB]]에서도 (AVS가 기본 코덱이긴 하나) AC-3를 지원하여 [[홍콩]] 지상파 DTV에서도 사용 중이다. 돌비 디지털 라이브라는 규격도 있는데, 음성 데이터를 돌비 디지털 규격으로 실시간 인코딩해주는 기술. 주로 [[엑스박스]]같은 게임기나 PC에서 광출력 대역폭으로 멀티채널 오디오[* SPDIF 광출력은 기본 PCM 2채널 이지만 패스스루를 통해 손실 압축 포맷인 돌비 디지털, DTS만 최대 5.1채널 까지 출력할 수 있다.]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한다.[* 엑스박스 뿐만 아니라 크리에이티브의 외장 사운드카드 중 하나인 사운드 블라스터 시리즈에도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으로 종종 들어갔던 기술이다.] 돌비 디지털 이후로는 돌비 오디오, 돌비 디지털 플러스, 돌비 트루HD, 돌비 애트모스, 돌비 헤드폰 등이 있다. 돌비 디지털 플러스(E-AC-3/Enhanced AC-3, 15.1ch)는 돌비 디지털과 호환이 되는 포맷이지만 [[HD DVD]]에서만 쓰고 말았다가, [[OTT]]가 대세가 되면서 스트리밍 동영상의 표준 포맷화 되어가는 중이다. 높은 오디오 대역폭을 요구하는 돌비 트루HD는 무손실 압축 포맷이며 현재도 계속해서 [[블루레이]] 등에 쓰이고 있다.[* 다만 라이센스비를 왕창 불렀다가 블루레이 제조사들이 [[DTS]]-HD로 넘어가서 점유율이 낮다.] 돌비 헤드폰은 [[넷북]]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일부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플레이어는 팟플레이어 (가상 헤드폰) 유료 플레이어는 PowerDVD 정도가 대표적이다.] 대표적으로 [[노키아]]는 [[노키아 N8|N8]], [[노키아 N9|N9]]에서 돌비 헤드폰을 지원하고, 일부 윈도우폰 모델에서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면 [[Lumia 520]], [[Lumia 630]] 등의 기기이다.][* 당연하지만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꽂아야 작동한다.] 돌비 디지털 플러스도 일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데, 2012년의 일부 LG전자 스마트폰, 노키아의 [[Lumia 930]]가 그 예시다. [[http://www.nokia.com/global/products/phone/lumia930/specifications/|참고]] > Dolby Audio 기술은 홈 씨어터 제품, 태블릿, 스마트폰, PC에 적용되어 있습니다. > > Dolby Audio는 최대 7.1 디스크리트 서라운드 채널과 최대 9.1 사운드 채널을 제공하여, 홈시어터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운드의 출력 성능, 선명도, 현실감을 향상시킵니다. > > 업계 표준이며 모든 DVD, 블루레이 디스크™, HDTV 방송 대부분에 적용되는 서라운드 사운드를 통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원본 스튜디오 마스터를 복제한 오디오를 가정에서도 즐길 수 있습니다. > Dolby Audio는 향상된 사운드 전달을 위해 첨단 오디오 포맷 및 신호 처리를 사용하는 기술의 집합체입니다. >---- > 한마디로, 돌비 디지털을 포함한 모든 돌비 사운드에 포맷 형식이 많다 보니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돌비 포맷을 통합 시킨것이 Dolby Audio다.[* 돌비 애트모스 제외] 사실상 Dolby Audio는 기존 돌비 디지털 플러스의 변형 포맷이다 [[https://professional.dolby.com/technologies/dolby-digital-plus|Dolby Audio 1]] [[https://professional.dolby.com/technologies/dolby-audio/|Dolby Audio 2]] [[iOS]]에서도 2016년 3월 [[iOS 9]].3 업데이트부터 Dolby Digital Plus의 지원이 추가되어 [[iPhone]], [[iPad]]에서도 Dolby Digital, Dolby Digital Plus 포맷의 재생이 OS 레벨에서 가능해졌다. PC에서도 지원하는 경향이 진행되고 있는데, 고질적으로 마이크가 활성화되면 강제로 돌비 디지털이 꺼지는 오류가 있다. 일일이 수동으로 켜줘야 되는 불편함이 있지만 고칠 기미는 보여지지 않는다. 2017년 3월 20일 돌비 디지털 코덱(AC-3 코덱)에 관련된 모든 특허가 만료되었기 때문에, 오픈 소스 기반 돌비 디지털 코덱 인코더, 디코더 등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http://web.archive.org/web/20170322023843/https://ac3freedomday.org/|관련 사이트(아카이브)]] 요즘에는 대부분 무손실이나 [[Dolby Atmos]]를 쓰는 추세라 Dolby Audio로 되어 있는 음원은 상당히 찾기 힘들다. 그나마 [[애플 뮤직]]에서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Surrealistic Pillow와 [[마빈 게이]]의 [[Sexual Healing]]을 [[:파일:마빈게이돌비오디오.jpg|Dolby Audio로 지원한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22.116.6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