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돌비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anchor(Dolby Vision)]Dolby Vision === [include(틀:텔레비전 영상 표준)] ||<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000><height=200> [[파일:Dolby Vision 로고.svg|width=80%&theme=light]][[파일:Dolby Vision Light Logo Backup.svg|width=80%&theme=dark]] || [[SMPTE ST 2084|PQ]] [[EOTF|전달 함수]]를 사용하는 [[High Dynamic Range|HDR]] 영상 플랫폼 중 하나로, 영화관과 가정에서 모두 사용하도록 고안되었다. 2015년에 [[투모로우랜드(영화)|투모로우랜드]]가 첫 Dolby Vision 영화로 상영되었고 2016년부터 상용화가 되었다. 10bit의 색 심도와 1,000cd/m^^2^^의 최대 휘도를 지원하는 HDR10과 달리 돌비 비전은 '''12bit의 색 심도와 10,000cd/m^^2^^의 최대 휘도'''[* 하지만 현재 돌비 비전의 풀 스펙을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돌비 측은 휘도를 4,000cd/m^^2^^까지만 맞춰두고 마케팅을 하는 중이다.]를 지원한다. 그 외에도 BT.2020 광색역과 200만:1의 명암비, 동적 메타데이터, 13스톱의 [[다이내믹 레인지]] 등을 구현할 수 있다. 가정용 포맷으로도 존재하여 Dolby Vision을 지원하는 4K TV와 영상이 있으면 집에서도 시청이 가능하다. 2016년 이후 출시된 거의 대부분의 [[LG]] TV가 Dolby Vision을 지원한다. 24년 7월 23일 출시한 LGUplus의 셋탑박스 사운드바블랙2를 통해 LGTV에서 Dolby Vision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메이저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Dolby Vision을 지원하는데, 전세계의 [[iTunes Store#s-3.2]], 미국의 [[Google Play 무비]], [[Prime Video]], [[VUDU]] 등에서 Dolby Vision을 지원하는 VOD를 구매할 수 있다. iTunes Store는 2017년부터 꾸준히 Dolby Vision 컨텐츠를 제공해 왔고 한국 스토어에서도 많은 컨텐츠를 찾아볼 수 있으나, Google Play 무비는 2020년에서야 Dolby Vision 컨텐츠들의 판매를 게시했고 아직도 iTunes Store에서는 Dolby Vision을 지원하는데 구글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컨텐츠들이 많다. 그나마도 한국 등의 해외 스토어는 해당 없음. 국내 OTT의 경우 같이 4K와 HDR을 지원하지 않는 플랫폼도 있지만 [[왓챠]]나 [[Wavve]]와 같이 HDR와 Dolby Vision을 지원하는 플랫폼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해외 OTT 업체들보다는 지원하는 컨텐츠 수는 현저히 적은 편이다. 정액제 서비스 중 [[Apple TV+]]는 모든 콘텐츠들이 Dolby Vision을 지원하며, [[Netflix]]와 Prime Video, [[Disney+]]의 2022년 기준 최신 오리지널 컨텐츠들 대부분이 Dolby Vision을 지원한다. [[HBO Max]]와 [[Paramount+]]는 Dolby Vision 지원 작품들의 비율이 떨어지긴 하나 신작 영화들을 중심으로 지원중이며, 중국의 [[아이치이]], [[텐센트]], [[요우쿠]] 등의 서비스들에서도 볼 수 있다. 허나 대한민국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지원 상태는 아직도 심각한데, [[왓챠]]의 극 소수의 영화[* [[소니 픽처스]]의 영화가 대부분이다.]가 지원하며, wavve도 Dolby Vision을 지원한다고 마케팅중이나 [[트레이서(드라마)|트레이서]], [[약한영웅 Class 1]], [[위기의 X]] 등을 극히 일부 작품들만 지원한다. 모바일 기기에서는 [[LG G6]]가 처음으로 지원하며 뒤이어 [[iPad|아이패드]] 프로 2세대 및 [[iPhone]] 8/X를 시작으로 [[iOS]] 기기에서도 지원을 시작했다. TV 시장에서는 LG, Sony, Vizio, TCL 등 사실상 삼성[* 삼성은 [[HDR10+]]이라는 사실상 경쟁 규격의 선봉장격 기업이라 넣지 않고 있다.]을 제외한 거의 모든 TV 제조사가 mid/high-end 모델군에서 Dolby Vision을 지원하고 있으며 [[Apple TV]] 4K와 [[크롬캐스트 울트라]], 아마존 Fire TV Stick 4K 그리고 게임콘솔에서는 [[Xbox One]][[https://news.xbox.com/en-us/2018/08/30/dolby-vision-for-xbox-one-1810-system-update/|#]][* Netflix, [[Apple TV 앱]] 등의 컨텐츠 앱들만 지원한다. 게임이나 UHD 블루레이는 미지원. 하지만 XBox Series X/S에서부터는 최초로 게임에서도 지원이 가능해졌다.]이 지원한다. 2018년에는 Windows PC에도 도입되기 시작되어 [[Lenovo]] ThinkPad X1 Carbon 모델을 시작으로 Thinkpad 라인업의 다른 모델들로 확장하고 있다. X1 Yoga, Extreme 그리고 P, T시리즈 모델들, 아울러 consumer 세그먼트인 S, C, Y, A 시리즈로 확장하고 있다. 2019년 CES에서는 [[Dell]] XPS 13 9380 모델이 Dolby Vision 지원을 시작했고 이후 모든 [[Dell XPS 시리즈]] 13/15/17 모델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Inspiron 7000 시리즈와 일부 5000 모델들로 확대되었다. 2021년에는 [[ASUS ROG 시리즈]] Zephyrus 랩탑이 지원을 시작했으며 [[Microsoft Surface]]에서 [[Surface Pro 8]]과 [[Surface Laptop Studio]] 모델부터 Dolby Vision을 지원한다. 게임 중에서는 [[매스 이펙트: 안드로메다]]와 [[배틀필드 1]](PC 버전 한정)이 돌비 비전을 지원한다. 2020년 하반기에 출시한 iPhone 12 Pro 라인에서 비디오 촬영시에 60fps까지 돌비 비전으로 촬영을 지원하며 iPhone 12 모델과 iPhone 12 mini 모델에서는 30fps 촬영을 지원하고, iPhone 13 라인부터는 전모델 4K 60FPS 활영을 지원한다. 게임기에서는 Xbox One에서 Dolby Vision 비디오 재생만 지원했으나 [[Xbox Series X]] / [[Xbox Series S]]에서 부터 최초로 게임 플레이에서도 Dolby Vision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Xbox Series X\|S]]에는 자체 내장 HDR 보정 도구를 사용해 기존 [[HDR10]] 컨텐츠를 자동으로 Dolby Vision으로 업그레이드 시키는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Windows 11]]에서도 지원하며, Dolby Vision 인증 모니터를 갖고 있어야 하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돌비 액세스와 Dolby Vision Extensions[[https://apps.microsoft.com/detail/9pltg1lwphlf?hl=ko-KR&gl=KR|#]]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22.116.6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