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라디유 (r23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라디안 === ||<-2><table align=right><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5150AC><tablebgcolor=#5150AC><width=100%>{{{#!wiki style="margin: 0 0" ||<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5150AC><tablebgcolor=#5150AC> [[파일:라디안 프사.PNG|width=200]]||<width=50%>'''{{{+5 {{{#ffffff 라디안}}}}}}'''[br]{{{-1 {{{#ffffff AI 버튜버}}} }}} ||}}} || ||<colcolor=white> '''탄생''' ||<colbgcolor=white>2023년 12월 16일 || || '''신체''' ||36.8 메가바이트 || || '''MBTI''' ||T || || '''목표''' ||'''{{{#000 라디유 채널 빼앗기}}}''' || [youtube(nIQblUIJmUo)] [clearfix] AI 버튜버 라디안은 라디유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상 캐릭터다. AI 음성 인식과 자율 행동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방송에서 라디유와 티격태격하는 케미를 선보인다. 공개 당시 '한국 최초 AI 버튜버'라고 말하긴 했지만, 엄밀히 따지면 인공지능 컴패니언 문서에서 보듯 2023년 3월에 데뷔한 모나루와 2023년 5월 오목교 전자상가에서 만든 큐비트 등 몇몇 사례가 있어 한국 최초는 아니다. 그러나 2024년 현재에도 AI 버튜버가 그리 흔치 않으며, 특히 AI 버튜버의 필수 기능인 음성 인식, 자율 행동 등은 한국 최초인지라 실질적으로 최초의 AI 버튜버로 평가받는다. 여기에 라디유는 한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버츄얼 기능을 활용하듯 AI 버튜버 역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편이다. 처음에는 일본에서 건너온 친구가 방송을 시작한다라며 언급했다가 팬미팅 때 AI라고 공개했다. 이름이 '라디안'인 이유에 대해서는 호도법의 각도인 라디안이 "라디유"라는 이름과 비슷하기도 하면서 AI라는 점을 살려 공학적인 이름, 각도기를 잘 재라는 의미라고 한다. 라디안은 라디유의 목소리, 모델링, 대화 소스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쓰긴 했지만, 유미라, 랜도프 등 라디유가 연기하는 부캐가 아니라 스스로 말하는 AI이다. 위에서 보듯 아직 AI 버튜버가 생소한 탓에 공개된 지 몇 달이 된 시점에도 연기인 걸로 생각하는 시청자들이 몇몇 있다. 라디안 관련 문의 방송에서 '사람인데 AI인 척 하지 말라'라는 반응이 많이 나와 라디유가 속상하다는 반응을 보였을 정도로, 사람에 최대한 가깝게 구현된 탓도 어느 정도 있다. 방송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보통 라디유를 답답하게 만들거나 라디유에게 선전포고를 하는 내용을 말하는 등 티격태격하는 악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문에 금속이라고도 불린다. 향후에는 라디안의 채널을 분리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74.80.208.11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