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러브 딜리버리 (r4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기타 == * 국산 미연시 게임치고는 매우 고퀄리티의 여운을 남기는 달달하고 감동적인 스토리, 매력적인 히로인들로 스팀에서 96%가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 박실장을 포함한 남자 엑스트라 목소리는 성우 [[김희승(성우)|김희승]][* 갓 프리랜서가 된 상태이다.]이 참여했다. * 작중 분위기가 [[썸썸 편의점]]과 꽤 유사하다. BGM의 분위기도 비슷하고, 두 작품에서 나온 적이 있었던 성우들도 2명[* [[신온유]], [[이명호(KBS 성우)|이명호]]. 신온유는 썸썸 편의점에서는 [[천연지]], 러브 딜리버리에서는 권라떼로, 이명호는 썸썸 편의점에서는 [[방예나]], 러브 딜리버리에서는 반주희로 출연했다. 두 성우는 실제로 KBS 성우극회 선후배 사이(신온유는 42기, 이명호는 40기)이며 신온유는 이명호를 선배로서 존경하고 있다고 한다.]이 나왔다. 러브 딜리버리의 히로인 3인방과 썸썸 편의점의 히로인 3인방의 포지션도 비슷하다. 반주희와 [[편수희]]는 얌전하고 상냥한 성격에 겉으론 씩씩해 보이지만 눈물을 자주 흘리거나 심리적으로 나약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게임의 상징(카페, 편의점)과도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심지어 둘이 이름도 비슷하다. 권라떼와 [[아델라 프로하스카|아델라]]는 연예인(배우, 아이돌)을 꿈꾸는 밝은 성격의 인물로 스토리에서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하지만 암울한 현실에 좌절하고 고생한다는 점이 동일하다. 옷차림이 상당히 파격적인 것도 비슷한 점이다. 신승아와 [[방예나]]의 경우 각각 소녀 캐릭터와 성숙한 캐릭터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크지만 주인공에게 독설을 퍼붓고 다소 4차원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이 유사하다. 여러모로 노린 게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 깊게 파고들면 서로 대척점이 있다. 반주희는 주인공보다 연상에 카페 점장이지만 편수희는 연하에다가 편의점 알바생이다. 권라떼는 일진 출신이고 인성과 입담이 거칠지만 아델라는 [[유학생]] 출신이며 성격은 털털하고 콩글리시를 많이 섞어 쓴다. 신승아는 히로인 중 가장 어리고 예의도 바른 편이지만 방예나는 히로인 중 연장자에다가 술고래다.] 실제 개발자 C.park는 라디오에서 밝히길 본 게임을 개발하기 위해 미연시를 미친듯이 플레이했고 여기서 영감을 얻은 작품은 [[썸썸편의점]]과 [[기적의 분식집]]이라고 설명한다. 해당 작품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러브 딜리버리는 없었다고 언급한다.[[https://youtu.be/MInnZVBkEKg|관련영상]] * 권라떼 역을 맡은 [[신온유]]의 연기가 파격적인데 가감없는 욕설과 울음 연기에서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 다만 수위 높은 욕설들이 검열없이 너무 적나라하게 더빙으로 나와서 당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다보니 팬덤에서는 매운맛 [[아델라 프로하스카|아델라]]라는 별칭도 더러 쓰일 정도.[* 바로 이 점 때문에 학창시절 PTSD를 호소하는 플레이어도 꽤 있는 편이다.][* 그런데 성우 라디오에 따르면 이것조차도 [[신온유]]가 지시받은 것보다 자체적으로 더 순화해서 연기한 것이라고 한다. 자기한테 침을 뱉는 여자와 사귀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여겨 라떼가 사랑받을 여지를 좀 더 남기기 위해 의도적으로 지시받은 것 보다 순하게 연기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술한 스팀 공지에서 밝히길 이 부분에서 욕 많이 들어먹었단다. 하지만 절대 게임을 순하게 만들진 않겠다고 못을 박았다.] * 권라떼 루트에서는 중후반부터 급격히 비중이 줄어 연기력을 크게 보일 일이 없던 반주희 역의 [[이명호(KBS 성우)|이명호]]는 반주희 루트에서 역시 상당히 좋은 연기를 보이며 스토리에 몰입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썸썸 편의점]]에서 맡은 [[방예나]]와는 많은 점이 다른 캐릭터임에도 전혀 어색하지 않고 뛰어난 연기를 보여줬다. 썸썸 편의점에서 주목받은 취한 연기도 살짝 보여준 것은 덤.[* 다만,라떼 에프터스토리에서 라떼의 과거사에 등장하는 엄마역도 이명호성우였는데, 썸썸편의점에서 방예나 목소리에 익숙하다면 중간중간 방예나 목소리톤이 살짝들린다] * 게임을 시작하면 스트리밍의 여부를 물어보는데 만약에 스트리밍 모드로 하게 되면 옷을 덧입히는 식으로 기존의 [[CG]]와 일러스트의 수위가 낮아진다. 예로 주희의 부탁으로 주인공이 라떼의 대본을 가져다 주러 라떼의 집에 갔을 때 나오는 CG는 라떼가 브래지어와 트레이닝 바지만 입고 반기는 장면이지만 스트리밍 모드에서는 브래지어 위에 시스루 셔츠를 하나 더 입은 채 반긴다. 그리고 갤러리에선 이런 차이가 있는 CG들도 별개로 취급된다. * 앞서 해보기로 먼저 출시된 게임이라서 권라떼 루트 기준 게임 내 사용되지 않은 더미 파일이 존재한다. 권라떼 CG 중 상의와 하의를 하나씩 더 벗은 CG[[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vedelivery&no=307&exception_mode=recommend&page=1|#]]와 반주희가 비를 맞고 팬티가 살짝 보이는 CG[[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vedelivery&no=300&exception_mode=recommend&page=1|#]][* 이 CG는 얼리 엑세스 시절에는 사용되지 않았다가 이후 복장이 수정되어 반주희 루트에서 사용되었다.] 등 두 종류의 CG가 더 있고 개발 중의 권라떼의 모습으로 보이는 스프라이트[[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vedelivery&no=302&page=5|#]]가 존재한다. 또 미사용 CG로 트루 엔딩 일러스트의 팬티가 제거된 버전이 있다.[* 해당 CG는 스토브 버전의 일반 모드에 실장되었다.] * 권라떼 항목의 포스트모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스트리머들의 방송을 고려해서 만든 부분이 많다. 인터넷 방송에서 스트리밍을 하고 있으면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닉네임으로 한 개발진이 와서 인사를 해주기도. * 공략아닌 공략으로, 돈을 버는 방법중에 [[암호화폐|코인]] 트레이딩[* 말이 코인 트레이딩이라고 고급스럽게 포장한거지, 쉽게말해 코인가져다 시세차익으로 돈 번거다.]을 통해서 돈을 순식간에 불려버리는 방법이 존재한다. [[세이브 로드 신공|세이브&로드 신공]]으로 '''NO리스크''' 하이리턴 [[리셋 노가다|리세마라]]로 시작할때 주어진 시작금 900원이 3~4주만에 4만원이상으로 불려서 시작하고, 매주마다 피규어구매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를 조절하면서, 자기관리 상품 3단계만 구매하면서 플레이하는것이 가능하다.[* 대략 스케줄에서 월요일=피규어 구매, 나머지 6일=투자하는 자기관리 3단계. 이렇게 플레이하면된다. 하다가 중간에 돈이 모자라겠구나 싶을땐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스트레스 지수를 0으로 만들어주고 약 2~3주정도를 코인으로 박으면 사용한 돈이 원상복구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펼쳐진다.--[[밥 로스|어때요 참 쉽죠?]]--] * 코인 트레이딩을 실행할 시에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드립이 존재하는데, [[일론머스크]]가 [[트위터]]를 통해 [[Shibe doge|도지사진]]을 올리면서, 인터넷상에서 장난으로 만들었던 [[도지코인]]을 순식간에 급등시켜버리는 사태를 묘사하는 내용으로 존재한다. 내용은 대략 '''"도지는 떡상한다!"''', '''"일론 개XX"'''라는식의 내용.[* 전자는 [[떡상|성공]]할때, 후자는 [[떡락|실패]]할때 나온다.--그리고 플레이하면서 실제로 몇만원이 [[떡락|실패 2번만에 순식간에 사라져버리는 마법]]을 겪으면 [[미연시|가상의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은근히 욕이 나온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5ba6>[[파일:우용곡 권라떼.jpg|width=10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5ba6> [[파일:우용곡 반주희.jpg|width=10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5ba6> [[파일:한복 신승아.png|width=100%]] || 한복 관련 작품으로 유명한 한국의 만화가 [[우용곡]]은 러브 딜리버리 히로인 테마로 한복 일러스트를 그리기도 했다. 그 외에 반주희 루트 출시 후 팬만화도 그렸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vedelivery&no=33188&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head=10&page=1|#]]. 꽤나 러브 딜리버리를 좋아하는 것으로 보인다. * 이유는 불명이나 스팀 태그에 [[LGBTQ+]]가 등록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온갖 추측이 난무하는 중.[* 권라떼 트루 엔딩 애프터 스토리에서 라떼가 오타쿠인 주인공을 위해 코스튬 플레이를 해준다. 이때 [[BDSM|라떼가 채찍을 들고 있어 어떤 것을 겸했을 것으로 보이므로]] 이 태그가 붙은 것으로 추정된다.] * 작품에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아스카 랑그레이]]의 이불, [[AT 필드]]와 같이 [[에반게리온]] 관련 요소가 일부 있다. * 2022년 1월 27일 구글 플레이에 발매된 본작이 결제오류로 인해 구매가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지금은 결제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 2022년 12월 3일 반주희역을 맡은 [[이명호(KBS 성우)|이명호]] 성우가 결혼을 했다. 이때 온파이어게임즈에서 반주희 웨딩 일러스트와 축전을 보냈다고 한다. 이 축전은 후속작인 [[러브인 로그인]]에서 반주희가 결혼식 하는 장면으로 사용되었다. * 같은 제작사가 만든 후속작 [[러브인 로그인]]과 세계관이 연결되는데, 작중 주인공 일행이 반주희의 결혼식에 참석한다. * 러브 딜리버리2가 2023년 12월 출시 예정이라고 한다 [[https://indie.onstove.com/ko/games/1639|#]]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74.80.208.11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