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작품 내외 === * 2013년 마치★아소비 뉴타입 어워드에서 캐릭터 디자인 상 1위를 수상하였다. 전체 부문에서는 5위. * 2014년 2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일본 [[피자헛]]과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를 진행했다. 행사 기간중 피자헛 칸다점이 오토노키자카점으로 일시 점포명을 변경했으며, 배달 차량과 박스에 캐릭터 일러스트를 첨부하였다. 특히 이 박스 일러스트 덕분에 이 기간 일본 피자헛의 매출은 급상승했다고. * 2014년 3월 18일부터 31일까지 [[로손]]과 콜라보레이션 행사를 진행. 열띤 반응에 힘입어 4월 29일부터 판매 상품 소진 시점까지 연장하였다. * 2014년 2월 초부터 거의 한 달동안 금영 및 태진 노래방에 러브 라이브 노래를 추천하자는 글이 각 관련 사이트에 올라왔고, 3월 13일 금영 노래방에 애니 1기 오프닝곡 僕らは今のなかで(43713번)가 수록되면서 속속 관련곡의 등록이 개시되었다. * [[구글 플레이]]에 한국의 어플 개발자가 제작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lovelivedictionary&hl=ko|러브 라이브 백과사전 어플]]이 등록되었다. 캐릭터에 관련된 정보와 공식 제작진의 소식을 접할 수 있으니 참고. * [[PS3]]용 게임 '신과 운명혁명의 패러독스(神様と運命革命のパラドクス)'은 뮤즈 멤버들의 성우 9명 모두가 담당하는 캐릭터의 명의로 등장 인물들의 성우를 맡았다. 덕택에 게임 자체의 평이 영 좋지 않았던 것과 달리 2013년 4월 24일에 발매한 캐릭터 송 앨범(天使たちの福音~feat.μ's)은 1기 애니메이션의 바람을 타고 본 게임과는 [[OST는 좋았다|딴판으로 왕성한 판매 실적을 보여주었다.]] * 선라이즈의 TVA 「[[혁명기 발브레이브]]」 4화에 μ's 멤버 전원이 [[http://tarowy.blomaga.jp/articles/12210.html|출연하였다.]] * 2014년 일본에서 레이싱 대회 SuperGT 및 D1GP(드리프트 대회)에 러브 라이브 이타샤 경주차가 참가한다. 굿스마일 레이싱 팀의 퍼스널 스폰서 형식을 도입, SuperGT GT300클래스 참전(굿스마일 레이싱 팀과 같은 클래스) 차종은 [[포르쉐]], [[D1 그랑프리]]는 [[토요타 86]]이다. D1은 3월말에 데뷔전을 치렀으며 SuperGT는 4월 5~6일 개막전을 진행. * [[팀 버튼]]이 좋아한다고 한다. 가짜가 아니다![* [[일본]]의 모 프로그램에 출연했을 때 패널 중 한 명이 준 선물을 받고 ""그림이 예쁘다""고 언급한 후, 감사의 제스처를 취하는 모습이다. [[팀 버튼|팀 버튼 문서 해당 문단]] 참조.] ||[[나무파일:lovelivetim.jpg|width=500]]|| * 국내에 퍼진 러브 라이브 음악 표절 top 10은 원래 표절 지적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티비플]]의 회원이 [[악마의 편집|표절곡이라는 단어를 붙여 올린 것.]] [[https://www.youtube.com/watch?v=FGs0f12mmZc|해당 영상]]을 보면 표절 동영상이라 되어 있는 반면 [[https://www.youtube.com/watch?v=ysE3ejtcv9Y|이 동영상]][[http://www.nicovideo.jp/watch/sm24874297|니코동 Ver.]]의 원작자 코멘트에는 첫머리에 '''""표절 규탄 영상은 아닙니다.""'''라고 적혀 있으며 전문을 들여다보면 표절에 관한 언급은 첫머리를 제외하고는 일절 없다 [* 원작자 코멘트 전문을 적자면 ""표절 규탄 동영상은 아닙니다. 러브 라이브!에 등장하는 μ's의 작곡 담당인 고 1인 니시키노 마키. 그런 그녀가 곡을 만들 때엔 분명 그때 듣던 여러 음악의 영향을 받았을 겁니다. 그런 곡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번외(A-RISE)는 μ's의 음악이 아니므로 예외로 취급하였습니다."" ] 물론 동영상 제작자의 의도가 표절 여부의 판단 근거가 될 수는 없다. 한편 이 영상에서 나오는 곡 중 하나는 비교 대상 곡과 작곡가, 작사가가 모두 같다[* [[純愛レンズ]]와 High powerd의 작사자는 하타 아키, 작곡가 및 편곡은 야마모토 유스케]. 이를 아는 사람들은 이 곡이 포함된 것에 황당하다는 반응. 같은 [[란티스|음악사]]에서 나왔거나 같은 [[하타 아키|작사가]]가 가사를 쓴 [[밀키 홈즈|일부 곡]]은 표절일 수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 한국에서는 표절이 맞다는 여론이 거셌던 반면 일본에서는 일부 곡을 빼고는 표절이라기보다는 닮은 정도라는 반응이 많았다. 음악 표절 여부는 멜로디, 리듬, 화음을 모두 고려하여 평균적인 경험과 지식을 갖춘 일반인이 유사성을 느낄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때로는 악보나 음악파일 분석 등이 필요할 수도 있는 작업이다. 아마추어 개인이 쉽게 표절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으므로 어느 쪽으로도 섣불리 단정짓지 않도록 하자. [* [[http://ccyouth.tistory.com/m/post/5]]] * 2014년 일본 경제효과에 423억 엔(한화 약 4100억 원) 이상의 효과를 가져왔다고 한다. [[http://theqoo.net/square/155253095|출처]] * SBS에서 접속애니월드라는 프로그램으로 [[러브 라이브! The School Idol Movie|럽장판]]을 소개하였다. 메인 애니메이션은 [[아이카츠!]]였지만.. BGM으로는 [[보쿠히카]]를 사용.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4.86.7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