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팬덤 활동 === * 원래는 공식 명칭이 러브라이부원이었지만, 팬들이 부르던 [[러브라이버]]가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됐다. * 러브 라이브! 프로젝트는 여러가지 미디어로 전개되지만 일단 모체가 '아이돌 활동'이기 때문에 [[2ch]]에서는 성우판에 세워지는 러브 라이브의 스레드가 본진으로 취급되었다. 다만 게시판 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은 애니메이션판의 러브 라이브 스레드였는데, 스피리츄얼판 같은 곳까지 러브 라이브 관련 게시물을 올린다거나 하는 등의 극성 유저 격리를 위함인지 아예 독립된 러브 라이브판이 따로 개설되었다.[* 여기저기서 깽판을 치고 다니다보니 한창 절정인 시기에는 2ch에 '러브 라이브'라는 단어를 달고 세워지는 스레드가 '''하루에 300개'''나 되었다. 2ch 관리자인 Jim에 따르면 하도 여기저기에 세워지길래 결국 아예 판을 따로 만들어 주기로 했다고.] * 한국에서는 [[디시인사이드|DCinside]]의 경우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스쿠페스]]가 메인인지라 게임 카테고리 쪽으로 분류되었으나 이야기 주제는 대개 스쿠페스에 한정되기보다 캐릭터나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룬다. 덕택에 [[팬픽|럽갤 문학]]이라던가 [[동인지]] 번역이 올라오면 바로 개념글로 가기도. 이는 [[루리웹]] 러브 라이브 게시판 또한 마찬가지이며 이쪽은 유저 만화 게시판 등에 팬픽이나 패러디도 활발히 올라오는 편이다. * 애니메이션 1기가 막 방영됐을 때는 동인의 규모가 그다지 크지 않았으나, 2014년에 들어서며 200SP 규모의 작은 온리전이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 이후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2014년 가을에는 그 2배에 달하는 400SP 규모의 대규모 온리전 ""우리들의 러브 라이브! 5""이 [[아키하바라]] UDX에서 2층에 걸쳐 개최될 정도로 성장하였다. 심지어 87회 [[코믹 마켓]]에는 660부스 이상이 러브라이브로 참가하기도 했다. * 한국에서는 2014년 1월 19일에 처음으로 러브 라이브 사운드 온리전 ""START : DASH! #1 너와 나의 LOVELIVE""가 개최되었다. 행사는 보컬, DJ 활동을 하는 한국내 동인 러브라이버 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진행, 2014년 1월 11일에 입장권 예매가 마감되었으며 공연장의 관객 수용 한계에 따른 사고 방지 차원에서 현장 판매는 하지 않았다. 이 행사는 이후 라이브 뷰잉 이벤트와 연관되어 [[http://wowstar.wowtv.co.kr/news/view.asp?newsid=17143|기사화]]되기도 하였으며, 2회 사운드 온리전은 2014년 12월 27일 홍대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http://cafe.naver.com/muse9love/248|관련 공지]]와 [[http://cafe.naver.com/muse9love|주최 카페]] 참조. 마지막이기도 한 3회는 2016년 1월 30일 레진코믹스 V-HALL에서 개최되었다. * 사운드 온리전과 별도로 2014년 9월 21일에 한국내 러브 라이브 온리전이 개최되기도 했다. 명칭은 Love Live! ~Oh My μ's~. 다만 이 온리전은 주최자가 트위터 아이디와 로고를 'muse'로 적어 러브라이버들에게 비난을 받기도 했다. muse는 [[뮤즈(밴드)|이 그룹]]을 지칭한다. * 2013년 이후 프로젝트의 세가 대폭 확장되고 팬층이 늘어나면서 한편으로 한일을 막론하고 극성스러운 팬들도 증가했다. 주로 애니 관련 커뮤니티에 러브 라이브 관련 글과 [[짤]]들을 시도 때도 없이 올려 반감을 사거나 러브 라이브에 관련된 어떠한 비판에 대해서도 자신은 만족하니 싫으면 보지 말라는 식의 주장을 되풀이하는 식으로, 거의 현실의 전형적인 극성 아이돌 팬층을 방불케 하는 수준. 이러한 극성 팬들 중 일부는 2ch 등의 다른 성우 스레에서도 분탕질을 벌이기도 하며, 일부는 거기서 그치지 않고 다른 작품을 무조건 비하하는 등 [[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른다|러브 라이브 프로젝트 초기]] [[THE iDOLM@STER|타 아이돌 콘텐츠 팬덤]][[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른다|이 저지르던 잘못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더 나아가면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28/read?articleId=23383338&objCate1=&bbsId=G005&se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itemId=73&sortKey=depth&searchValue=WUG&platformId=&pageIndex=1|타 아이돌 콘텐츠의 캐릭터를 응원하는 메시지에 대놓고 해당 콘텐츠를 비하]]하는 말을 적거나 [[http://halkrine.egloos.com/5871793|자기들의 단합을 도모한답시고 타 아이돌 컨텐츠의 굿즈를 단체로 밟아버리는]][* 단 이 사건은 상호 허락하에 찍은 컨셉샷으로 밝혀졌으며, [[http://bbs1.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3101/read?articleId=7889327&bbsId=G001&itemId=81035&pageIndex=1|참가자 전원이 사과문을 작성하였다]]] 질 나쁜 경우까지 있다. 이러한 소수 극성 팬들의 영향으로 한일을 막론하고 안티층 역시 점차 왕성하게 늘어나는 추세.[* 비슷한 예로 [[My Little Pony|마이 리틀 포니]]와 [[리그 오브 레전드]]가 있다. 포니는 [[포확찢]] 같은 안티 드립이 대놓고 유행했고, 롤은 일부 동호회에서 관련 드립을 아예 금지하거나 글 제목에 '롤 주의' 등의 표시를 넣게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제하는 상태.] 급기야는 극성 팬 못지 않은 극성 [[까]] 성향의 안티도 나타나 충돌을 조장하는 수준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들은 대개 상술한 극성스러움과 거리가 있는 [[러브라이버]]들도 극성 팬과 함께 싸잡아 비난하거나, 러브 라이브 자체에 대해 [[극과 극은 통한다|극성 팬의 찬양에 못지않은 수준의 비난]]을 퍼붓기도 하며 심지어는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3555/read?articleId=1820777&bbsId=G006&itemId=552&pageIndex=1|확인되지 않은 유언비어를 무책임하게 퍼트리기도]] 한다. * 하지만 일반적인 러브라이브 팬덤은 한일을 막론하고 다른 가상 아이돌 콘텐츠도 옹호하거나 객관적으로 평하는 경향이 크다. 일례로 아니멜로 섬머 2014와 같이 [[Wake Up, Girls!|유사 장르 작품]]이 러브 라이브와 함께 출연하거나 하는 행사에서도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28/read?articleId=23466928&objCate1=&bbsId=G005&se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itemId=73&sortKey=depth&searchValue=WUG&platformId=&pageIndex=1|해당 팬덤이 정한 야광봉 신호색도 함께 맞춰]] 응원해주기도 하고, 다른 가상 아이돌 팬사이트와 [[http://wug.co.kr/freeboard/7891|제휴하기도 하는 등]][* 자매사이트로 지내는데다, 서포터 활동에 자금까지 지원했다] 본문에 예시한 배척 성향과 거리가 있다. * 국내 한정으로 극성 팬들을 비하하는 '''[[럽폭도]]'''[* 다만 디시 [[러브 라이브 갤러리]] 한정으로는 반자조의 의미로 애칭처럼 사용된다. 심지어 특정 멤버를 좋아하는 경우 각각마다 폭도 호칭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러브 라이브 갤러리]] 문서 참조. 참고로 어디까지나 사용된다 뿐이지 해당 사이트 유저들이 만든 말은 아니다. 여담으로 국내에선 지나칠 정도로 오용·남용되는 말이기도 하다. 극성 팬만을 가리키는, 다분히 비하적 의도가 포함된 말이니 상대의 기분이 상하지 않도록 무분별한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라는 말이 있으며, 일본 내에서는 이들에 대한 반감으로 생겨난 안티 층을 두고 '러'''브 라이'''브 '''안'''티(ラ'''ブライ'''ブ'''アン'''チ)'를 줄여 '브라이안(ブライアン)' 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단순한 지칭이든 까려는 표현이든 위에 상술한 공식 명칭인 러브라이버보다 이쪽이 더 많이 쓰이는 편. * 여담으로 일부 계층이 알고 있는 것과 달리 일본에서는 극성 팬 층에 대해 확실히 정립된 멸칭 자체가 없다. 가장 널리 쓰이는 멸칭은 라부타(ラ豚)인데, 직역하면 럽돼지. 컨텐츠 앞글자에 돼지를 붙여서 흔하게 만드는 멸칭으로, 앞글자만 바꾸면 모든 컨텐츠에 다 적용되므로 딱히 러브 라이브 극성팬만의 멸칭이라 보기는 힘들다. 참고로 극성 성우빠는 声豚(성우빠 돼지로 번역할 수 있다) 라고 부르기도 하므로 그냥 접미어에 돼지만 붙이면 뭐든 다 멸칭.[* 흔히 '럽쿠자'로 국내에 알려진 '러브 라이브 야쿠자(ラブライブやくざ)' 라는 표현은 과거 일부 매상 스레에서 사용된 이후 아는 사람만 쓰는 사어 수준의 말이 되었고, '러브라이버(웃음)(ラブライバー(笑))'이라는 말은 일본에서 조롱 용도로 자주 사용되는 [[(웃음)]]을 러브라이버에 붙인 것에 불과하다. 굳이 따지자면 국내에서 종종 억지스럽다는 말을 듣는 브라이안 쪽이 확실히 정립되어 있을 정도.]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4.86.7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