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마이클 조던/플레이 스타일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스태미나와 내구성 == 넘사벽의 운동 능력, 기술 때문에 많이 부각되지 않는 내용이지만 그의 가장 무시무시한 점 중 하나는 그의 끝을 모르는 체력과 내구성이었다. 그는 만 35세였던 97-98시즌까지 평균 38.8분, 만 40세를 넘긴 마지막 시즌엔 '''전경기 출장에 평균 37분'''을 기록했는데, 이 정도 출장 시간은 젊은 선수들 사이에서도 드물다. 부상을 잘 안 당한 것도 있지만, 부상을 당하고 참는 능력도 대단했다. [[워싱턴 위저즈]] 시절 복귀 후 첫 시즌에 그는 시즌 후반, 새크라멘토 킹스 전에서 동료와 부딪혀 반월상연골 파열이란 부상을 당했음에도 해당 경기에서 41분을 뛰고, 부상이 더 심해져 수술을 해야 할 때까지 무릎 통증을 참고 7경기 동안 35.9분이나 뛰었다. 심지어 수술 이후에도 시즌 아웃되기 전까지 벤치에서 7경기를 더 뛰었다.[* 이 시기 위저즈에 신인으로 입단해 백업센터 역할을 수행한 이탄 토마스라는 선수가 라스트댄스 방영에 맞춰 위저즈에서의 조던과 관련된 일화를 몇 가지 밝혔는데, 개중에 조던의 무릎 통증이 너무 심해서 의료진이 큰 주사로 무릎 속에 찬 걸 빼는 걸 보면서 '왜 이렇게까지 하나요?'라고 묻자 조던이 '나도 모르겠다'라고 하더라는 일화도 있다.[[https://mania.kr/g2/bbs/board.php?bo_table=nbatalk&wr_id=7455760&sca=&sfl=wr_subject&stx=%EC%9D%B4%ED%83%84&sop=and&scrap_mode=&gi_mode=&gi_team_home=&gi_team_away=|#]]] 즉, 조던은 다른 80년대의 레전드들, 버드나 아이제아 토마스 등과 마찬가지로 '''뛸 수 없을 때까지''' 뛰는 선수로, 그의 놀라운 출장 경기 수는 여기서 오는 것이다. 뒤집어 보면 공수에서 몸을 사리지 않는 플레이 스타일임에도 저 늦은 나이까지 기량을 유지했다는 것이 더 놀라운 것.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6.50.16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