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무이파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98W 열대요란 → 13W TD #==== 8월 30일 0시, [[JTWC]]에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 위치한 98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로 지정하고 감시를 시작했다. 8월 30일 9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 위치한 98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JTWC]]에서 MEDIUM으로 격상하였다. 그리고 [[JMA]] 일기도에서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하고 있다. 8월 30일 15시, [[JMA]]에서 98W 열대요란에 대한 태풍발생예보를 내렸다. 발생하고 약 12시간만에 태풍 [[힌남노]]가 흡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8월 30일 16시 30분, [[JTWC]]에서 98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며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TCFA)를 발령하였다. [[파일:무이파(1).png]] 8월 30일 15시, [[대한민국 기상청|KMA]]에서도 [[열대저압부]] 예보를 시작했다. 8월 31일 3시, [[JTWC]]에서 98W 열대요란을 1분 평균 풍속 30노트의 열대저기압으로 분석함에 따라 13W TD로 지정하였다. [[파일:Muifa20220831.jpg]] ▲ 13W TD의 위성 사진[* 위에 있는 태풍은 힌남노이고, 아래 있는 구름덩어리가 13W TD이다.] [[파일:98W 소멸.png]] 9월 1일 9시, [[JMA]]과 [[대한민국 기상청|KMA]]의 태풍발생예보가 취소되었다. 그리고 [[JTWC]]에서도 13W TD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파일:힌남노 경로 위성영상 02.gif]] 9월 3일 15시, '''태풍 [[힌남노]]에 완전히 흡수되었다.''' 이로서 13W TD는 사라졌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18.103.19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