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사이버 불링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개요 == {{{+1 [[사이버|Cyber]] [[집단괴롭힘|Bullying]]}}} 사이버 폭력이라는 카테고리에 속한 소수적 용어로 보편적으로는 '''인터넷 상의 [[집단괴롭힘]]'''을 뜻하는 신조어. '''불링'''은 학교폭력 연구의 선구자인 노르웨이 베르겐 대학교의 심리학 교수 올베우스가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 Aggression in the Schools: Bullies and Whipping Boys, was published in Scandinavia in 1973, and in the United States in 1978]으로, 한 학생 소속 집단 내의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또래에게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소외당하거나 배척당하고 부정적 명칭이 부과되며 구성원으로서 역할수행에 제약을 받는 등 신체적 또는 심리적인 해를 입히는 일련의 언어적 · 신체적 공격 행동을 말한다. 사이버라는 개념이 들어간 것은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1990년대부터 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앞서 말한 괴롭힘을 연결하여 사이버 불링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 통신매체를 이용한 모든 것이 사이버라고 할 수 있다. 일종의 힘의 불균형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권력형 범죄 행위'''[* 특별히 강조하는 이유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빈부를 막론하고 쉽게 벌어지고 근절하기 어려운 사회 문제기 때문이다.]라는 특성을 띄고 있어 주로 [[몰이]]가 동반되며 약하거나 소수고 입지가 적은 사람은 저지르기 힘들다. 사실 모든 범죄가 안 그런 게 어딨겠냐마는 절도, 폭행, 사기 등은 약자라도 얼마든지 성립될 수 있지만[* 배고파서 음식을 훔친다던가 등.] 사이버 불링은 힘의 불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가해하기 불가능한 행위다. 그리고 지식의 수준이 낮은 경우도 사이버 불링이 힘들다.[* 그러나 소문을 퍼뜨리는 대상 또한 수준이 낮거나 해당 사안을 잘 모를 경우는 크게 상관 없는 문제다. 사람 하나 매장시키는 데에 있어 팩트보다는 인해전술이 효과적인 법이다.] 인터넷을 잘 사용할 줄 모르는 고령층은 사이버 불링을 거의 못한다. 크게 두 가지 분류로 나뉘는데 하나는 다수의 네티즌이 특정 인물에게 '''과도하고 비이성적인 비난'''을 퍼붓는 행위다. 게시판, 댓글 등 의견을 발표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이용되지만 주로 [[SNS]]가 유동인구가 많은 터라 [[SNS]] 상의 폭력 인구가 많은 편이다. 또 다른 하나는 학교 폭력의 사이버 형태다. 이 경우 "떼카" "방폭" "카톡감옥"이라는 은어를 사용하며 아예 카페를 만들어서 한 명을 지정하고 비방하는 행위도 이루어지고 있다. 만약 대상의 잘못이 객관적으로 명확하고, 잘못에 대해 [[예절|인간으로서의 예의]]를 갖춘 뒤 욕설이나 비하표현이 아닌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하여 합리적인 비판을 가한다면, 다수가 한 명을 대상으로 발언한다 해도 사이버 불링이라고는 볼 수 없다. 연속성이나 지속성, 다수가 참여한 괴롭힘이 없을 경우 이는 형법에서도 단순 의사표현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누군가를 특정할수있는 통화 내역, 실명, 이름, 사진, 유튜브 방송 등으로 특정 사람에게 지속적으로 타격을 주는 행위를 하면 경찰이 온다. 2021년부터 법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사이트가 법이 개정된거나 마찬가지라 절대로 통하지 않는다. 특히 [[네이버]]는 위에서처럼 잘못에 대해 인간으로서의 예의를 갖춘 뒤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하여 합리적인 비판을 가해도 잘못을 저지른 쪽이 자살할 가능성이 있으면 그 글을 삭제하게 됐다. 물론 반대급부로 누군가를 괴롭히기 위한 글을 복구해달라는 요청은 묵살된다. 그리고 그런 부류의 글도 누적되면 계정이 정지될 수 있다고 한다. 진워렌버핏 사건 때문에 똑같은 일이 네이버에서 터지면 네이버도 큰 타격을 입기 때문에 절대로 안봐준다고 직접 공표했다. 이 사이버불링의 특징중 하나는 바로 30대, 심지어는 40대 이상인 성인들도 가담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21.40.24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