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특허청 시절 === [[청년실업|실업자가 된]] 아인슈타인은 대학 동창으로 절친한 친구였던 마르첼 그로스만에게 도움을 청했다. 그로스만의 아버지[* 유서깊은 가문 출신이자 방직 공장을 운영하고 있었다.]가 [[낙하산 인사|특허청 고위공무원에게 부정청탁]]해서 아인슈타인은 간신히 위기를 탈출했다. 1902년 아인슈타인은 베른으로 이주했다. [[특허청]] 심사관은 그 시절이나 지금이나 출원된 특허 서류를 검토하면서 이게 특허 출원이 가능한 건지 아닌지 판정하고 허가를 내리는 일을 한다. 심사관 한 사람이 연간 300여 건[* 1997년 한국 기준. 아인슈타인 시절 유럽의 특허 심사관에 대해 아시는 분은 수정바람.]의 특허를 처리하는 데다 심사관 한 사람이 다양한 분야의 특허를 처리해야 하므로 심사관으로 근무하면서 자투리 시간에 연구를 해서 연구자로서 성과를 내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그걸 해내서 1905년에 5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같은 해에 취리히대학교[* ETH 취리히는 당시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없는 기술 교육기관이었다. 오늘날은 ETH 취리히에서 박사를 받을 수 있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것만 해도 놀라운 일인데, 더욱 놀라운 것은 그 논문의 주제는 [[광양자 가설]], 특수[[상대성 이론]], [[브라운 운동]]인데[*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질량과 에너지의 등가성에 대한 논문도 이때 발표한다. 뭐 일반인들은 E=mc^^2^^ = 상대성 이론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도 꽤 있지만...] 이 세 편의 논문은 [[아이작 뉴턴]]으로 대표되던 근대의 물리학을 뒤엎으면서 천지 개벽을 일으켰고, '''그 각 논문은 [[현대 물리학]]의 주요 테마인 [[양자 역학]], 상대성 이론, [[통계역학]]의 시초가 된다.''' 이럴 수 있었던 이유는 아인슈타인이 당시 심사관으로서 시계들의 동기화(synchronisation)를 하는 기계에 대한 특허를 많이 접했기 때문이다. 19세기 말은 현대화가 가속되는 시점이었기 때문에 여러 시계들(이를테면 전국의 기차역들에 있는 시계들)을 동기화하는 것은 사업가들에게 중요한 문제였다. 또, 19세기 말은 제국주의의 시대였고 본국과 점령지들 사이의 시계를 동기화 시키는 것(시간을 지배한다는 것)은 정치적으로도 의미가 있었다. 이런 시대적 배경이 있었기에 시계들을 동기화하는 것에 당시 사람들의 관심은 컸다. 당연히 그중에는 전자기현상(빛)을 이용해 시계를 동기화하겠다는 아이디어도 있었고 아인슈타인은 특허청에서 일하면서 이런 아이디어들에 자연히 노출되었다. 때문에 아인슈타인에게 있어 절대 시간, 여러 관찰자들 사이의 변환 등의 개념은 단순히 추상적 사고 대상이 아니라 여러 특허들을 보며 현실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였던 것이다. 아인슈타인은 이런 특허 서류들을 보면서 전자기학에 대한 사고 실험을 많이 했고, 시간이 남을 때마다 도서관에 갔으며 그것이 굉장히 즐거웠다고 한다. 1909년 아인슈타인은 특허청에 사표를 냈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19.68.121)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