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에반게리온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운용 === 네르프 본부의 운용 절차에 대해 설명하자면, 보통 [[지오프론트]]의 네르프 본부 케이지에 수납되어 특수합성수지(베이클레이트)에 물리적으로 묶여 있다가 [[사도(에반게리온)|사도]]의 침입을 탐지하고 파일럿이 탑승, [[슈퍼컴퓨터]] [[마기(신세기 에반게리온)|마기]]도 사도 판정(패턴: 청)을 내리면 에반게리온이 지상으로 발진, 전투를 벌인다. 물론 전투 전에 [[일본]]의 [[정부]]는 비상사태 선언을 발령, 지상은 깨끗이 정리된다. 따라서 일반인의 인명 피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단 [[사키엘]]과의 첫 전투 때는 워낙 갑작스러웠던 데다가 민간인의 대피 시스템도 완전히 구축이 되어있지 않아 일부 피해가 발생했다. 토우지의 동생 [[스즈하라 사쿠라]]도 이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다.] 아무리 철저한 훈련을 받았다고 하나 파일럿이 14세의 청소년인 관계로, 실시간으로 네르프 본부의 기술부의 지원과 작전부의 지시를 받아 전투를 벌인다. 사령관 [[이카리 겐도]]와 부사령관 [[후유츠키 코조]]도 중요한 사안일 경우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군대]]도 출동해 엄호한다. 물론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이렇게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승리를 거둔 경우는 드물다. * [[사키엘]]전: 초호기의 '''[[폭주]]'''로 승리 * [[샴셸]]전: 엄빌리컬 케이블은 절단되지만, 가동 시간 내에 정상적인 전투로 승리 * [[라미엘]]전: '''[[야시마 작전]]'''으로 승리. 워낙 스케일이 크기 때문에 해당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 [[가기엘]]전: 태평양 해상에서 미사토의 '''전함 자침 공격'''으로 승리 * [[이스라펠]]전: 유니존 킥(…)으로 승리 * [[산달폰]]전: 마그마다이빙 작전으로 승리 * [[마트리엘]]전: 정전 상황이지만, 통상 전투로 승리 * [[사하퀴엘]]전: '''AT필드 받아내기'''로 승리 * [[이로울]]전: [[아카기 리츠코]]의 [[해킹]]으로 승리 * [[레리엘]]전: 초호기의 '''[[폭주]]'''로 승리 2. * [[발디엘]]전: [[더미 플러그]]로 승리 * [[제르엘]]전: 초호기의 '''[[폭주]]'''로 승리 3. * [[아라엘]]전: [[롱기누스의 창(신세기 에반게리온)|롱기누스의 창]]으로 승리. * [[아르미사엘]]전: 영호기의 [[자폭]]으로 승리 * [[타브리스]]전: 통상 전투로 보기에는 좀 뭐하다. 타브리스의 정체부터가 스포일러이므로 해당 문서를 참조. 에반게리온의 운용 목적은 국제법에 의해서 대 사도용으로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듯 하지만,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에서 2호기가 몇 분밖에 안되는 짧은 시간동안 전략자위대를 전멸시키는 장면에서 알 수 있듯이 사실 무기로 이용하려고 마음만 먹으면 한 대만 보유하고 있어도 무지막지한 파괴력을 지닌 결전병기가 되므로 국제사회의 입장에서 상당히 위험한 존재이다. 에바 한 대가 지니는 값어치도 엄청난데 TV판에서는 2호기 한 대를 엄호한답시고 UN에서 미국 태평양함대, 러시아 태평양함대와 일본 해상자위대가 연합한 대함대를 파견한다.[* 함장은 UN 함대가 언제부터 배달서비스가 되어버렸냐고 되게 불만스러워하면서 저런 장난감에 쏟을 돈이 있으면 이 쪽에 좀 돌려달라고 투덜거린다... 사실 함장 입장에서는 충분히 불만스러워할 수 있는 상황. 반물질 무기가 상용화될 정도로 기술이 발달한 시대에 1942년에 건조된 68년된 노후함이 아직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걸 보면 에반게리온들에게는 '''수천억 달러'''가 쏟아부어지고 있는 동안 UN군 연합함대같은 재래식 군대에게는 얼마나 돈이 적게 내려오는지 짐작이 가능하다. 핵폭탄 이상으로 강력한 [[N2 폭탄]]을 물 뿌리듯이 뿌려대고 빔병기가 상용화된 세계관에서 재래식 무기는 별로 의미가 없어져 뒷전이 된 듯하다.] [[나무파일:attachment/umbilical_cable.jpg]] 저 거대한 플러그가 엄빌리컬 케이블의 접속 부분. [[AT 필드]]와 에바용 무장을 장비한 에반게리온은 매우 강력해 보이지만,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전력을 허리에 연결된 엄비리컬 케이블(Umbilical Cable)[* 우리말로 직역하면 [[배꼽]] 케이블. 우주나 심해같은 환경에서 우주복, 잠수복을 별도로 있는 본체와 연결시켜 산소나 전원을 공급하고 온도, 습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참고로 탯줄의 영어 명칭이 엄비리컬 코드(Umbilical Cord)이며, 상술한 장비의 명칭 역시 모체에서 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해주는 탯줄의 이미지를 따온 것이다.]으로 공급받는데, 이게 끊어지면 한계 시간 '''5분'''짜리 내부 전원으로 싸워야 한다. 물론 새 케이블을 접속하면 되지만 급박한 전투 상황에 그게 쉬울 리가 없다. 그리고 극중 대부분 이 상태가 된다(…). [*스포일러 작중 생명의 열매만을 지닌 사도들은 이 케이블을 노릴 생각 자체를 하지 못하지만 지혜의 열매를 지닌 마지막 사도인 릴림(인간)만이 이 케이블을 전략적으로 노려서 파괴한다.] 특히, PS2판으로 하면 이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활동을 중지하고 파일럿 생명 유지 모드로 전환하면 최대 16시간동안 버틸 수 있다.[* 에반게리온 TVA 16화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초호기가 [[레리엘]]의 허수공간 안에 갇혔을 때 사용.] 어깨 부분에 비상용 외장식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하면 30분간 움직일수 있다. 다만 등장은 구판 11화 [[마트리엘]]전 딱 한번 뿐이다. 근데 이 배터리 모양새가 크기만 무진장 컸지 꼭 에반게리온 방영 당시 휴대용 기기에 주로 사용하던 '''껌전지''' 모양이다.[* 부피를 줄이기 위해 납작한 사각형으로 만든 건전지] ~~+/- 극성 표시도 있는걸 보니 [[DC]] 전원인듯...~~ 그러나 이후에 [[S2 기관]]을 탑재하거나 [[각성]], [[폭주]]시에는 한계시간이 없어진다. 게임 신세기 에반게리온 2에서는 [[더미 플러그]]를 사용해도 없어지는 듯 하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17.158.71)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