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AAC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인코더 === AAC는 인코더의 문제가 상당히 큰데, 대충 이런 우열관계가 나온다. Apple AAC > Winamp Fhg Encoder(fhgaacenc)[*FhG Fraunhofer-Gesellschaft에서 만든 인코더이다. 윈앰프에 포함된 것은 fhg로, AOSP/ffmpeg에 포함되는 것은 fdk로 불리는데, 사실 같은 회사가 만든 인코더지만 둘은 다른 개발팀이 만들어서 특성 역시 다르다.] > Fraunhofer FDK Encoder(fdk-aac)[*FhG] > Nero AAC(NeroAACEnc) > ''[[LAME]] MP3'' > FAAC > Media Foundation AAC > [[FFmpeg]] 3.0 이상(2015년 12월 이후)[*F 영상 쪽 인코더라서 여러 음성 코덱을 사용 가능한데, 그 중 자체 코덱을 말한다.] > Libav(FFmpeg 3.0 미만)[*F] > VisualOn AAC(libvo_aacenc) ([[http://wiki.hydrogenaud.io/index.php?title=Advanced_Audio_Coding|출처1]], [[http://d.hatena.ne.jp/kamedo2/20111029/1319840519|출처2-1]], [[http://d.hatena.ne.jp/kamedo2/20110430/1304181738|출처2-2. 포스트 작성 시기가 2011년인 만큼 어디까지나 참고용이다.]], [[https://kamedo2.hatenablog.jp/entry/20120729/1343545890|출처3]], [[https://hydrogenaud.io/index.php?topic=120062.0|출처4]])[* Media Foundation AAC만 출처가 없는데 다른 인코더와 달리 인코딩 프로그램에서는 지원하지 않고 윈도우용 오디오·동영상 녹음·녹화·편집 프로그램에서만 지원하기 때문이다.] 2015년 12월 FFmpeg 내장 AAC 인코더가 대폭 개선되면서 FDK와 비슷하거나 좀 더 나아졌다고 주장하지만, 인코딩 속도는 더 느리고 여전히 동일 비트레이트 대비 치찰음(노이즈)이 여전히 FAAC보다 심하다. 특히 [[FFmpeg]]나 Media Foundation에 내장된 인코더나 FAAC로 인코딩한 AAC는 '''오히려 [[MP3]]보다 성능이 더 떨어진다.''' [[유튜브]]나 각종 동영상 제공 업체들이 보통 [[FFmpeg]] 기반으로 인코딩해서 서버에 저장하는데, 실제로 이렇게 사용되는 내장 AAC는 LAME [[MP3]]보다도 성능이 더 떨어진다. 이는 128kbps 비트레이트를, ffmpeg, FAAC, Nero, FDK와 Apple 인코더로 각각 인코딩 했을때 FAAC와 ffmpeg를 제외한 인코더들은 자세히 듣지 않으면 원본 wav와 차이를 느끼기 힘들지만 FAAC와 ffmpeg는 즉시 인지가 가능할 수준으로 [[https://hydrogenaud.io/index.php/topic,120062.0.html|품질이 떨어진다.]] 유튜브의 경우 [[HTML5]] 도입과 맞물리는 시기부터 [[WebM]]과 [[VP9(비디오 코덱)|VP9]] 코덱을 밀어주면서 오디오 파트는 [[Opus(오디오 코덱)|Opus]]나 [[Vorbis]]를 사용한다. 유튜브 AAC 음질이 불만이라면 [[WebM]]으로 보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Chrome|크롬]], [[Microsoft Edge|엣지]], [[파이어폭스(웹 브라우저)|파이어폭스]]처럼 [[WebM]] 지원 브라우저를 써야 하는데 2021년 기준 [[Internet Explorer|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고 VP9 코덱에 대한 MSE(Media Source Extension) 활성화 여부를 직접 설정할 수 있는 [[Microsoft Edge/레거시|엣지 레거시]]가 제거되었으므로[* 21H1 빌드부터 제거되었으며, 이전 빌드라도 2021년 4월 13일 배포된 정기 업데이트(KB5001330)를 설치하면 제거된다.] 별도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으면 무조건 [[WebM]]으로 보게 되어 별 의미가 없어졌다. 자세한 건 [[Chrome/문제점#s-5|항목 참조]]. 다만 이렇게 해도 음질이 엄청나게 향상되지는 않는데, [[MP4]]([[H.264]] + AAC)보다 [[WebM]]([[VP9(비디오 코덱)|VP9]] + [[Opus(오디오 코덱)|Opus]]) 쪽이 비트레이트를 낮게 써서 그렇다. 대신 그만큼 버퍼링은 줄어든다. Media Foundati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AAC 인코더는 44.1·48kHz 샘플링 레이트와 96·128·160·192 kbps 비트레이트를 지원하는데, [[Microsoft Windows]]용 녹음·녹화·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사용하는 곳이 거의 없으며, 잡음이 끼기도 하는 등 효율은 그닥 좋지 않다. [[반디캠]]의 경우 [[MP4]] 포맷으로 저장시 음성 코덱을 AAC와 [[MP3]] 중에서 선택이 가능한데, AAC 192 kbps보다는 MP3 320 kbps로 저장하는 것이 음질이 더 좋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 가장 품질이 좋은 AAC 인코더는 [[Apple]]의 AAC 인코더이다. [[macOS]], [[iOS]] 등 애플 OS나 [[iTunes]]처럼 애플이 윈도우용으로 만든 앱들에는 기본적으로 라이브러리로 포함되어 있으며, 윈도우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쉽게 이용하는 방법은 아이튠즈를 통하는 것이다. 하지만 Apple AAC 인코더의 품질이 알려지면서 윈도우에서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이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다. 음원 인코딩에서는 [[foobar2000]] 등을 통해 [[https://github.com/nu774/qaac|qaac]]를 실행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이외에는 [[OBS Studio]] 이용자들의 수요도 있는 편이다. 본래 이런 것들은 iTunes, [[iCloud]], [[QuickTime Player]]에 내장된 Apple Application Support만 설치하면[* 애플의 윈도용 앱 설치파일은 개별 구성요소 msi 파일 여럿을 하나로 묶은 형태이다.] 잘 작동했으나, 최근에는 각자 사정으로 윈도우용 기존 앱들이 죄다 legacy화되면서 해당 라이브러리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AltStore]]도 끌어다쓰는 분야는 다르지만 이런 경우이다.] 경우 설치법이 좀 복잡해졌다. * iTunes는 기존 윈도우용 앱 구조가 바뀌었다. 해당 라이브러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아예 iTunes 본앱 패키지에 합쳐버린 것이다. 다만 그냥 합쳐버린 경우라 AAC 인코딩에 필요한 부분은 전부 있으니, 경로설정이나 파일 복사만 잘 해주면 된다. * QuickTime Player는 이미 문제가 많은 프로그램이라 하루빨리 삭제가 권장되는 상태. * iCloud는 iTunes와는 달리 아직 Apple Application Support를 설치한다. 그러나 iCloud 역시 Microsoft Store용으로 출시되었고, 이후 기존 설치파일형 링크는 애플 공홈에서 꽁꽁 숨겨져버렸다. 아예 legacy화되어 버린 것. 그러나 사전지식이 없다면 이게 가장 쉬운 방법인데, 기존 설치파일형 링크를 어떻게 구해서 설치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iCloudSetup을 그냥 설치하다가 중간에 뜨는 UAC 권한 상승을 거절하면 되는데, UAC 권한 상승이 없어도 Apple Application Support는 설치되기 때문이다. 또다른 방법으로, 퀵타임 내장 바이너리 일부만 복사해서 애플 관련 제품을 설치하지 않고도 애플 AAC 인코딩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https://github.com/wieslawsoltes/BatchEncoder/wiki/Tutorial-Using-qaac-without-iTunes|출처]], [[https://github.com/AnimMouse/QTFiles|GitHub]] [[Winamp]]의 라이브러리를 끌어다 AAC 인코딩을 하는 [[https://github.com/tmkk/fhgaacenc/|fhgaacenc]]도 있다.[*출처 [[https://www.foobar2000.org/encoderpack]] "AAC (fhgaacenc) - requires Winamp to be installed (read more...)"] fhgaacenc는 [[Winamp]]를 설치해야 제대로 작동한다. 블루투스 A2DP 코덱도 마찬가지인데, [[Android]] 단말기의 경우 레퍼런스 인코더가 없다보니 기기 제조사나 Android 버전에 따라 음질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삼성 갤럭시]]는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중국제 단말기들은 고주파 대역을 마구 깎아먹는 등 음질이 처참한 편이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18.105.9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