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FM방송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FM DX == 원거리 FM 방송을 수신하는 행위를 FM DX라 하며, 이 경우 수신하는 사람을 FM DXer라 한다. 고지대(건물 고층, 산 정상), 해안에서 수신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래와 같은 특수한 현상에 의해 전파가 멀리 나가는 경우가 있다. * '''대류권 전파(라디오덕트, Tropospheric propagation)''' 섬이나 해안에서는 대기(정확히는 대류권)의 기온 역전으로 인해 봄 ~ 가을철에 전파가 굴절되는 덕팅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수십 ~ 수백 km 거리에 있는 전파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아래의 스포라딕 E층보다는 신호 세기가 안정적이고 지속 시간도 길면서 예측하기 쉽다.[br][br]부울경 해안[* [[태종대]]가 대표적이다.]에서 [[일본의 방송|일본]] [[규슈]] 등의 전파를, 전남/경남 남해안에서 북제주(견월악 등) 전파를, 충남 서해안에서 [[중국의 방송|중국]] [[산둥 성]] 등의 전파를 수신하는 것이 대표적이다.[br][br][[https://www.dxinfocentre.com/tropo_eas.html|이곳]]에서 일주일간의 예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대기권#s-3.2.4.1.2|'''스포라딕 E층''']]'''(Sporadic E Layer)''' 스포라딕 E층은 주로 5월 중순 ~ 7월 말, 간혹 5월 초나 8월 초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최소 800 ~ 900 km, 최대 2,000 ~ 2,500 km 거리의 전파(한국에서는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필리핀 전파)도 수신이 가능하다. 대류권 전파보다 도달 거리는 길지만 신호 세기 변화가 크고 지속 시간이 짧다.[br][br]참고로 중화권[* 대만은 방송국 호출 부호 체계가 있긴 하지만 중파와 TV에만 호출 부호가 있다.] 및 러시아 방송은 호출 부호가 없다. 또한 대만과 필리핀에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홀수 주파수만 사용하나 중국, 일본, 러시아에서는 홀짝 주파수 모두 사용한다.[br][br][[중파방송|중파]] 및 [[단파방송|단파]] DX보다 수신 시기가 제한적이고 안정성도 떨어지면서, 채널 및 송신소 수는 똑같이 스포라딕 E층을 이용한 아날로그 TV DX보다 훨씬 많기에 청취 및 방송국 식별이 복잡하고 까다롭다. * [[중파방송|중파]](MW) / [[단파방송|단파]](SW) DX와의 비교: 채널 수는 많지만, [[중파방송]]은 야간에는 전리층 반사 덕분에 무조건 원거리까지 전파가 도달하며,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단파방송]]마저도 계절에 상관없이 수신 시도가 가능하여 지속 시간이 훨씬 길기 때문에 여유롭게 수신할 수 있다. * 스포라딕 E층을 이용한 아날로그 [[텔레비전|TV]] DX와의 비교: 시청은 까다롭지만, 채널 수가 5개(VHF low 대역, ch.2 ~ 6)밖에 되지 않으며 방송사 로고가 표시되기에 식별이 용이하다. 다만 한국, 일본은 아날로그 TV를 2012년을 끝으로 모두 송출 종료했으며 2020년대 들어서는 개발도상국에서도 [[디지털 방송|디지털 TV]] 전환으로 아날로그 TV의 송출을 점차 줄여나가고 있어서 수신 가능한 채널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거기다가 아날로그 방송이 송출되었을 때는 멀티 시스템 VCR이나 Cable Ready 수상기[* NTSC-J의 VHF-Low 대역은 ch.1 ~ 3, High 대역 중 ch.4, 12는 NTSC-M 수상기에선 CATV ch.95, 96, 97, 22, 23으로 수신된다.]가 필요했다. 반면 FM은 국내에 시판되는 87.5 ~ 108.0MHz 호환 수신기 기준으로 200개가 넘으며, 일본 대역(76 ~ 95MHz), OIRT(러시아 등 구 공산권) 대역(65 ~ 74MHz)까지 포함하면 훨씬 많아진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기에 같은 주파수에서 2~3개의 방송이 번갈아가며 수신되는 경우도 있으며, ±0.1MHz 인접한 주파수의 방송이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영어 위키백과의 [[https://en.wikipedia.org/wiki/TV_and_FM_DX|TV and FM DX 문서]] 참조.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17.157.1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