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FM방송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나라별 방송 == 한국과 미국의 경우 혼신 방지를 위해 87.7~107.9MHz 사이에서 200kHz씩 나눠서 사용하지만[* [[https://news.v.daum.net/v/20170914181909574|[황규인의 잡학사전]FM 주파수는 왜 전부 홀수로 끝날까?]]] 전 세계적으로는 87.5 ~108MHz 사이에서 100kHz씩 나눠서 쓰는 것이 일반적이며, 태국 등 일부 국가의 경우 250kHz 단위로 나누어 사용하기도 한다. 디엠파시스 값이 75μs인 국가는 200kHz, 50μs인 국가에서는 100kHz 내지 그 이하의 간격으로 주파수를 배정한다고 보면 된다. 일본은 76~90[* 2013년까지.]/76~95MHz[* 2013년 이후.] 사이에서 100kHz씩 나눠서 쓰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며[* 다만, 차후 확장될 여지는 있다.], 러시아에서는 원래는 OIRT 대역에 속하는 65.00MHz부터 74.00MHz까지 30kHz씩 나눠서 FM 라디오 대역으로 사용해 왔는데, 요즘은 국제 표준인 87.5~108MHz 대역도 혼용하고 있다. 정반대의 경우도 있는데, 브라질에서는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된 데다가 AM 방송의 FM 방송 전환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FM 대역을 기존 88~108MHz에서 76~108MHz로 확장했다. 정확한 국가별 표준 주파수 대역은 [[라디오]] 문서 각주 참조. VHF 대역의 일부를 활용하는 데다 송출 방식 또한 아날로그라서 아날로그 TV(VHF) 방송과도 연관이 깊다.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전 세계 대부분 지역을 대상으로 생산된 FM 라디오는 대부분이 수신 범위를 87.5~108.0MHz로 두고 있는데, TV 채널 6번의 음성 주파수가 87.75 MHz였기 때문에 87.75 혹은 87.8MHz로 라디오 주파수를 맞춰놓으면 채널 6번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SBS]], 대전, 창원에서는 KBS1[* 1981년 6월 일본인이 녹음한 자료가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있다.[[https://youtu.be/zp1ba8_sQj4?si=HRomK69O6HPGBQK2|#]] 계룡산에서 송신하고 출력이 높은 대전 1TV 혹은 일본이랑 가까운 창원 1TV 전파를 수신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정확한 사항은 불명. 또한 2000년 8월 16일 마산시 합성동(현 창원시)에서 녹음된 KBS창원 제1텔레비전 송출(87.8MHz) [[아리랑 환상곡]] KBS교향악단+조선중앙교향악단 협연 서울공연실황 자료[[https://youtu.be/s-tQOfLqQps?si=YGdPR633Zo0wquNV|#]]도 유튜브에 있다.], 강릉에서 KBS2, 포항에서 포항MBC TV의 수신이 가능했다던가. 이 외에도 [[금성사]] 등은 아예 VHF TV 방송(5~13번, 76~216MHz)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대역의 오디오를 생산, 판매하기도 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일본에서도 일본식 VHF TV 전 채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를 아날로그 TV 송출이 종료된 2011년까지 발매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FM라디오와 TV의 음성 채널 간 변조지수가 달라서 완벽하게 호환되지는 않았으며, TV쪽이 더 적은 FM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었다. 물론 아날로그 TV 방송이 완전 종료된 [[2012년]] [[12월 31일]] 이후엔 이것도 추억으로만 남게 되었지만.[* 그래도 이런 라디오들은 FM 라디오 방송 대역을 대부분 청취할 수 있어서 완전히 쓸모없어진 건 아니다.] 이런 라디오는 일본으로 들고 가거나 구매할 경우 국내와 일본의 FM 방송 전 대역(76~95MHz, 88~108MHz)을 청취할 수 있다. 나라마다 FM 라디오 방송의 디엠파시스 값이 다른데, 한국과 북미는 75μs, 유럽, 일본(과거 아날로그 TV 음성부는 75μs) 등 대부분의 국가는 50μs이다. 수신하는 전파의 디엠파시스 값과 수신기의 디엠파시스 값이 다르면 고음부에서 약간의 왜곡이 발생한다. 중국산 라디오 상당수가 고음부를 고의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수신기의 디엠파시스 값을 지나치게 낮춘 의혹이 있는 듯하다. 그런데 [[막귀]]한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같은 일본 내수용 라디오라 해도 소니 ICF-M55는 소니 SRF-S27, 파나소닉 RF-ND188RA에 비해 고음부가 좀 강조된 감이 있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23.215.126.25)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