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FM방송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일본 === 일본의 경우 76~95MHz 사이에서 100kHz씩 나눠서 쓴다.[* 당초에는 60~68Mc, 87~90Mc가 할당되었다. 그러나 3Mc 간격은 너무 좁다는 말이 나왔고 결국 80~90Mc, 이후 76~90Mc까지 확대했다. 60~68Mc는 방송용에서 방재 무선 용도로 전환.] 그래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생산된 일본 내수용 FM 라디오는 한국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다.[* [[일본 내수용#라디오|'일본 내수용' 문서의 라디오 문단]]에 나오듯 일본과 구소련권 일부는 국제 표준과 어긋나는 대역을 쓰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일본 내수용 FM 라디오 중에서는 외국으로 가져갈 때를 대비하거나 TV의 음성부를 청취할 수 있도록 76~108MHz까지를 모두 커버하는 기종이 많다. 과거 일본에서 90~108MHz 대역은 아날로그 TV에서 사용했기 때문에 덤으로 TV 일부 채널(일본식 TV 채널 1~3번) 음성 청취용으로도 썼었고. 또한 마찬가지로 한국을 비롯한 외국에서 생산된 라디오는 76MHz~87.5MHz 범위를 수신할 수 없는 라디오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역시 이를 일본에 갖고 가면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87.5 이상부터 사용하는 FM 방송만 청취 가능하며 그 이하는 불가능. 86.0 ~ 89.9MHz 대역은 아날로그TV 방송과의 혼신을 막기 위한 가드밴드였기 때문에 소수의 지역(고베 Kiss FM 89.9, 군마 FM GUNMA 등) 을 제외하면 사실상 청취는 불가능했다고 보면 된다.] 카오디오라면 FM/DMB(원세그) 수신 기능이 있는 내비게이션 겸용 외부 셋톱이나 [[주파수 변환기]][* 원래 카오디오용이긴 하지만 홈 튜너나 붐 박스에서도 쓰인다.]를 이용하면 수신할 수 있긴 하다. 그리고 해당 악세사리는 동남아나 오세아니아, 영국 같은 일본 내수용 차량 / 카오디오를 직수입하는 국가에서 보편화되어 있다. 2013년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하고 나서 남는 대역을 'FM보완중계국'이란 이름으로 AM 방송을 FM 주파수로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시행되어 이 경우 기존 FM 대역보다 조금 늘어난 94.9MHz까지 사용하고 있다.[* 2020년 99~108MHz 대역을 사용했던 모바일 멀티미디어(디지털 라디오) 방송이 사업 난항으로 송신을 중단했기 때문에 차후 108MHz까지 늘어날 여지가 있다. 마침 FM 주파수 포화를 걱정하는 업계에서도 해당 대역까지의 확장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 이에 맞춰 2011년 아날로그 방송 종료와 함께 대역을 76~90MHz로 줄여 생산했던 일본 라디오 제조사들도 다시 76~108MHz까지 대역을 늘려 생산하기 시작했다. 방송 주파수 목록은 [[라디오 주파수/일본]] 참조.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88.43.141)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