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HD(해상도)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현재 == ||<tablewidth=100%>[[HDTV]] 규격 ||명칭||해상도||1장당 픽셀 수||주사방식||초당 프레임 수|| ||HD||720p||1280×720||921,600||순차주사방식||23.976, 24, 25, 29.97, 30, 50, 59.94, 60, 72|| ||<|2>FHD||1080i||1920×1080||1,036,800||비월주사방식||25 (50), 29.97 (59.94), 30 (60)|| ||1080p||1920×1080||2,073,600||순차주사방식||23.976, 24, 25, 29.97, 30, 50, 59.94, 60|| 본래 1080p 30fps를 초과하는 규격은 실질적으론 존재하지 않았으나 2008년 7월 [[ATSC]]에 [[H.264|H.264/AVC]] 코덱과 1080p50, 1080p59.94, 1080p60 규격이 추가되면서 생겨났다. 하지만 애초에 대다수의 리시버가 H.264를 지원하지 않으니 IPTV나 디지털 케이블 TV처럼 컨버터로 변환해서 보여주는 방식이 아닌 한 거의 쓰이지 않는다. [[MPEG]]-2에서 1080p60는 스펙상 존재하지만 비트레이트 문제인지 지원이 잘 안 되는지라 사실상 1080i60이 최대 스펙.[* 비트레이트 문제가 맞는 것 같다. MPEG-2 기준으로 1080i60이나 1080p30은 초당 17 Mbps 정도가 필요한데 1080p60이면 그 두 배니까 최소 25~30 Mbps... 이걸 소화할 수 있는 전송방식으로는 ATSC와 ISDB는 무리고 DVB-T2나 케이블, 위성방송 정도밖에 없는데, 대부분 국가의 방송사들은 이 정도 전송량이면 차라리 HEVC 코덱으로 4K 화질을 선호한다. 돈 들이고 장비 새로 바꾸는 건 똑같으니 비용 대비 효과가 큰 쪽으로 가려는 것이다.] [[ATSC]]나 [[ISDB]] 방식으로는 1080p60이 아직 도입되지 않았으나, [[DVB|DVB-T2]] 방식으로는 독일에서 2016년 지상파 세계 최초로 1080p50 화질을 제공하고 있다. [[HEVC]] 코덱으로 대역폭은 6~8 Mbps이다. 하지만 (2020년대 현재) 한국과 일본, 그리고 다른 유럽 국가들이 UHD(4K/8K)로 직행하는데 독일 혼자 HEVC 코덱으로 풀 HD를 도입하는 건 오히려 삽질일지도.[* 다만 독일은 사정이 좀 있는 게 황금 주파수대인 700 MHz 대역을 전부 통신사들이 가져가는 바람에 높은 대역폭으로 방송을 할 수 없게 되었고... 궁여지책으로 H.265 코덱을 이용해서 HD 방송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저 700MHz 대역을 통신사들에게 나눠주려다 --지상파들이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다 압력을 넣어서-- 지상파 쪽에도 배분했다.] 일반적으로 HD급이라 하는 영상들은 720p, 1080i, 1080p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들을 말하며, 이 중에서도 1080p는 Full HD[* FHD]라고 한다. HD와 Full HD를 마케팅적으로 다르게 취급하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HD나 Full HD나 같은 HD 규격이다. 우리나라의 HD TV의 방송들은 [[EBS2]]에 한해 720p, 나머지는 모두 1080i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데, 이 해상도가 실제 ATSC 1.0의 표준이라 그렇다.[* 한국과 같은 ATSC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에서도 [[ABC(미국)|ABC]]와 [[FOX]]는 720p로 송출한다.] 사실 움직임이 많은 영상이 아니라면 꼭 순차 주사 방식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이마저도 오늘날 TV나 셋톱박스 내 칩셋의 힘으로 더블 프레임 [[디인터레이싱]]이 많이 좋아져서 대역폭 문제가 아닌 이상 굳이 해상도를 낮추면서까지 순차 주사 방식으로 송출할 만한 메리트는 적다.[* EBS2도 IPTV 한정으로 1080i로 송출 중이다. 사실 유럽의 몇몇 720p 송출 방송사들도 내부적으로는 1080i이고, 내부 인프라까지 720p로 이루어진 경우는 ABC와 FOX 하에 수많은 지역 방송국들이 들어서 있는 미국을 제외하면 정말 드문 편.] 장비 문제 때문에 실내 스튜디오에서 촬영하는 경우는 HD 화질인 경우가 많다. 여기서 i와 p가 나오는데, i는 인터레이스(비월주사), p는 프로그레시브(순차주사)를 뜻한다. 인터레이스의 경우 눈의 착시를 이용해 첫 프레임에는 한 줄씩 건너뛰어 표시하고, 두 번째 프레임은 이전 프레임에서 건너뛴 부분만 표시한다. 그리고 세 번째 프레임은 다시 두 번째 프레임에서 건너뛴 부분만 표시하고... 이렇게 한 줄씩 번갈아서 건너뛴 프레임을 연속해서 보여주는 방식이다. 당연히 1프레임당 해상도의 절반만 채우면 되므로 좁은 대역폭과 적은 비용으로도 HD를 만들 수 있다. SD 시절에는 대부분이 인터레이스를 지원하는 브라운관으로 보아 문제가 없었지만 이런 인터레이스 영상을 LCD 등의 프로그레시브 모니터에서 그대로 재생하면 한 줄씩 어긋나서 재생되는 문제가 생겼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는 [[프레임 보간]] 기법을 사용하여 인터레이스 영상을 프로그레시브 영상으로 바꾸는데, 원본 프로그레시브 영상보다는 질이 떨어진다. 이런 문제 때문에 인터레이스 HD는 반쪽짜리라고 불린다. [[파일:프로그래시브 인터페이스 차이.jpg]] [[블루레이]]와 [[HD-DVD]]는 [[DVD]] 다음 규격으로 HD 해상도로 재생되는 영상을 담기 위한 저장 매체로서, 두 규격이 한동안 경쟁을 하다가 결국 용량 문제를 포함한 몇 가지 복합적인 원인 때문에 2008년 2월에 블루레이의 승리로 끝났다. Full HD 영상의 경우 H.264 등으로 압축하지 않은 RAW 파일의 경우 용량이 [[테라바이트]] 단위로 왔다 가고 있다. [[플레이스테이션 3]]와 [[엑스박스 360]] 등 7세대 게임기들은 HD 해상도를 지원하나 성능 한계로 실제 네이티브 1080p Full HD로 돌아가는 게임은 매우 적다. Full HD는 8세대인 [[플레이스테이션 4]], [[엑스박스 원]]부터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아프리카TV]]의 많은 방송들은 스스로 풀HD나 HD급이라고 방송을 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풀 HD에 한참 모자란다.''' 특히 2014년까지 아프리카TV의 무료 계정이 지원하는 최대 해상도가 일단 HD에 근접하지도 못할뿐더러[* 540p. Full HD의 절반밖에 안 된다. 사실은 절반이 아니라 1/4이다. 이유는 가로와 세로 모두에 2배 곱하고 반으로 나누기 때문이다.] 인터넷 서버의 한계로 [[비트레이트]]가 부족하며, 송출하는 컴퓨터가 고사양이 아닌 경우도 많으므로 HD에는 한참 모자란다. 실제 Full HD 동영상 재생조차도 꽤나 많은 시스템 자원을 사용한다.[* 특히 [[H.265]]는 압축률이 매우 높아 구동 시에 상당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한다. 내장그래픽으로 돌리려면 최소사양이 [[인텔 코어 i 시리즈/4세대|Core i3-4130(하스웰)]]이고, 제대로 감상하려면 [[인텔 코어 i 시리즈/7세대|Core i5-7400(카비레이크)]] 이상은 되어야 한다. [[AMD/APU|AMD]]는 인텔보다 GPU 성능이 좋은 편이라 중급형 이상이면 무난하게 감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그런 거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 상대적으로 화질 좋으면 그저 HD급. 소스가 HD라 해서 HD 방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치 라디오에서 음악 틀어줄 때 그걸 CD로 틀어준다 해서 CD급 음질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것. 2015년부터는 기본 비트레이트를 2Mbps로 올리면서 진짜로 'HD급'으로 칭할 수 있게 되기는 했지만, 4Mbps로 송출하려면 유료계정으로 전환해야 한다. [[트위치]]가 한국에 진출하여 사용자가 급증한 이유 중 하나도 14Mbps 이상의 [[비트레이트]]를 제공한 덕분이었다. 그리고 이제 FHD화질의 4배인 4K(3840 x 2160), 16배인 8K(7680 x 4320)를 출력할 수 있는 TV인 [[UHD]]TV가 개발되었다. 일본 [[NHK]]가 영국 [[BBC]]와 협력하여 [[2012 런던 올림픽]]에 8K로 촬영하고 4K로 송출하였다. 한국에서는 2013년부터 조금씩 실험 방송에 들어가서 2014년부터 케이블/위성 상용화, 2017년 5월에 지상파 4K UHD 방송을 개시했으며 일본에서는 2014년 6월부터 4K 텔레비전 시험 방송을 시작하고[* Channel 4K라는 채널로 2014년 6월 2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운영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NHK가 위성 8K 시험 채널로 송출했으며, [[2020 도쿄 올림픽]]을 대비하여 2018년 12월에 4K와 8K 위성방송을 정식으로 개시했다. 지상파의 HD 방송 덕분에 일반 아날로그 TV에서는 볼 수 없었던 TV 배우들의 잡티가 화면상에 다 보이는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num=1402700|HD 부작용(?)]]이라는 것이 성행했던 적이 있었다. [[아이맥스]] 등의 고화질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영화에서도 비슷한 부작용이 있다. 이후 HD방송 20년차에 접어들고 HD가 당연한 시대에 들어서자 익숙해져서 HD 부작용 이런 소리는 자취를 감췄다. 오히려 HD에 적응한 시청자들이 SD 작품을 보면 배우가 덜 예뻐보이기 까지 한다. HD가 잡티가 화면상에 다 보인다는 말은 역으로 잘된 화장과 조명을 더 선명하게 보여준다는 소리도 되기 때문. 2020년 3월 부터 [[유튜브]]의 화질 설정에서 '''HD의 표준 규격인''' 720p에 HD 표시가 빠졌다.[* [[파일:KakaoTalk_Photo_20200412_1159_42649.jpg]]]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전세계에서 유행하면서 유튜브의 트래픽이 증가하자 유튜브에서 기본 설정을 720p로 하고 720p의 비트레이트를 낮춰서 그렇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사실 1080p조차 비트레이트가 낮아 화질저하가 눈에 띄는 수준이라 1080p 원본임에도 1440p나 2880p로 리사이징을 해서 올리는 경우마저 있다.][[https://www.reddit.com/r/youtube/comments/fpzdq0/bug_720p_not_hd/|#]] 또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상향 평준화돼서 720p는 더이상 '고화질'이 아니어서 그렇다는 의견도 있다. 어떤 이유든, 다시 HD 로고가 돌아올 가능성은 굉장히 낮은 편이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4.143.110)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