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HD(해상도)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역사 === [youtube(CpaZRS7Qve0)] [youtube(x5n5nMgYIPA)] ▲2001년 3월 당시 방송국에 보존된 HD 시험용 영상과 SD 본방송분.([[자두(가수)|자두]]의 잘가)서로 비교해보자.[* 방송국에서 생방송 송출용이 아닌 시험용 영상으로 촬영된 테이프이며 SD와는 달리 시험용으로 촬영한 거라 HD카메라를 별도로 쓰고 있기에 SD본과 카메라 워크가 다르다.][* 밑에 있는 영상의 경우에는 화질설정은 1080p로도 가능하나 애초에 MBC가 올린 본방송 영상이 SD 4:3화질이다. 디지베타의 비트레이트가 높고 고화질이기는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HD영상이라고 할 순 없다.] [youtube(X9uGsXW_dZM)] [youtube(OywnvRJsMx4)] ▲HD 전환 이후인 2002년 5월([[베이비복스]]의 우연) 당시 맨 위의 HD 영상과 그 아래의 SD 영상을 비교해보자.[* 화면 비율과 영상의 화질, 부드러움이 다르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2000년 1월부터 지상파 3사[* MBC는 1월 14일, SBS는 8월 31일, KBS는 9월 3일부터]에서 시험방송을 시작했고, 이후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HD 본방송이 일부 한정으로 시작되었다. 처음 시작한 방송사는 [[SBS]]이다. SBS는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의 전 경기를 HD로 생방송해주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며 방송을 하기도 했다. [[MBC]]와 [[KBS]] 역시 본격적으로 HD 방송을 시작, KBS1 [[열린음악회]]가 2001년 12월 부터 HD로 녹화방송하기 시작했고, MBC [[생방송 음악캠프]]와 [[SBS 인기가요]]가 각각 2001년 12월과 2002년 2월부터 HD로 생방송되기 시작했다. 반면 KBS2의 [[뮤직뱅크]]와 [[윤도현의 러브레터]], KBS1 [[전국노래자랑]], MBC의 [[창작동요제]], [[엠넷]](Mnet)은 각각 [[2007년]] 9월 초와 [[2009년]] 4월 중순 그리고 [[2010년]]이 다 되어서야 HD 방송을 시작했다.[* 그 이유는 2000년 KBS 신관 공개홀을 리모델링 할 당시 HD 방송에 대한 계획이 없어서 HD카메라 녹화 및 편집 기술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엠넷은 OpenCable이 2005년부터 송출을 시작했기에 아직 HD 장비가 부족했으며 2009년부터 일부 한정으로 HD로 시범 제작하다가 2010년부터 송출까지 HD 방송으로 정식 전환되었다. [[https://youtu.be/118b1f0GOUU?si=gixBboiS8TAmwokm|2009년 2NE1 무대영상]] 여담으로, 영상 기준 당시 엠넷은 HD 방송 시작 전이었기 때문에 생방송에는 SD로 방송되었다.][* 창작동요제는 2009년 27회부터 HD 방송으로 정식 전환되었다.] 하지만 HD 방송이 시작되었어도 [[2010년]]까지는 SD 시절과 세트와 자막 등이 거의 똑같았다.[* 물론 1990년대랑 큰 차이 없는 2000~2002년이랑은 매우 다르며. 사실상 2008~2009년만 자막이 거의 똑같고 그 이전과도 다소 차이가 있다.] 화질만 HD였다. HD 방송 초기엔 주로 일부 영화, 외국 드라마 및 단막극 드라마, 다큐멘터리, 예술 공연, 콘서트 실황 중계, 월드컵 및 올림픽 중계 방송 위주로 간간히 송출하는 정도였으나, [[2005년]] [[3월 3일]]부터 공영 방송인 [[KBS 뉴스 9]]도 최초로 스튜디오 한정 HD 방송으로 전환하는 등 시사 프로그램도 조금씩 도입되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699956|뉴스9 HD방송 개시 당일 방송자료.]], [[http://news.kbs.co.kr/news/view.do?ncd=699957|좌측 상단에 HD 로고가 보인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52984|2005년 7월 18일 방송분]][* 다만 2010년 이전까지는 일부 4:3 비율 SD로 뒤죽박죽으로 애매하게 제작되었다.] [[MBC 뉴스데스크]]도 2006년 5월 4일부터 스튜디오 한정으로 HD로 송출되기 시작했는데, 역시 2011년 3월까지는 HD 표시가 있어도 일부에 한해 4:3 비율 SD가 사용되는 등 기준잡기가 애매모호하게 제작되었다. 이유는 뉴스 스튜디오에는 HD로 전환이 완료가 되었으나 현장취재 및 보도 영상 부분에서는 아직 전환이 완료되기까지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초기 몇 년간은 4:3 비율로 제작/송출되었다. SBS 8 뉴스는 1991년 12월 9일부터 2001년 10월 25일까지 4:3 비율의 아날로그로 제작했으며, 2001년 10월 26일부터 2005년 4월 24일까지 4:3 비율 SD로 제작했다. 2005년 4월 25일부터 16:9 아나모픽과 4:3 SD로 병행 제작하였고, 2011년부로 16:9 HD로 완전 전환되었다. 지상파 [[드라마]]에서는 먼저 단막극의 경우 [[2000년]] [[1월 14일]]에 MBC의 베스트 극장 [[https://youtu.be/eucujNEcOjE?si=RWooEpt5187m_1nx|사랑한다고 말해봤니?]]를 HD로 시범 제작 및 시험 방송을 한 것을 계기로, [[2003년]] [[1월 5일]] KBS2 [[드라마시티]] [[https://www.youtube.com/watch?v=lPfL7HcRy8g|자미성의 노래]]와 [[1월 12일]] [[https://www.youtube.com/watch?v=w4taxDjv69I|보리밭]] 작품 등을 HD로 시범 제작해 방송했다.[* 이후 드라마시티의 경우 작품에 따라 SD와 HD를 왔다갔다 하다가 2004년 9월부터 완전히 HD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연속극, 미니시리즈를 비롯한 장편 드라마의 경우 [[2002년]] [[10월]]부터 SBS의 첫 HD 작품인 [[대망(SBS)|대망]]과 [[2003년]] [[7월]] MBC의 첫 HD 작품인 [[다모(드라마)|다모]] 그리고 [[2004년]]에 KBS의 첫 HD 작품 [[해신(드라마)|해신]]이 방영되어 3년 동안 각 지상파 방송사에서 첫 HD 장편 드라마 방영을 시작했다. 이후 2005년부터는 SBS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HD 드라마 제작을 시작하여 그 해부터 SBS 월화드라마, SBS 수목드라마, SBS 주말드라마 및 주말특별기획 등을 이전과는 달리 깔끔하고 시원한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2008년]] 초까지는 각 방송국마다 HD로 제작하는 드라마와 아날로그 [[SD]]로 제작하는 드라마가 있는 등 과도기적 특징을 보였다. 이유는 방송국마다 아침드라마, 일일연속극, 월화드라마, 수목드라마, 주말드라마 등의 HD 장비 도입 시기가 각각 달랐기 때문에 천차만별로 다양했던 것이다. [[2008년]] [[며느리 전성시대]], [[미우나 고우나(KBS)|미우나 고우나]], [[김치 치즈 스마일]],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4를 마지막으로 [[SD]]로 제작하는 드라마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고, [[2009년]]부터는 모든 드라마가 HD로 완벽히 통일되었다. 특히 2007~2008년에 방송한 며느리 전성시대와 미우나 고우나의 경우에는 방영 도중에 HD 장비가 도입되었기 때문에 스튜디오 촬영에는 아직 HD 장비가 도입되지 못했고, 야외 촬영만 HD 장비를 사용했다. 따라서 스튜디오 촬영본은 야외 촬영 화질과 맞추기 위해 16:9 비율로 확대하여 아나모픽 형식으로 제작했으며 본 드라마 방영분 후반부를 다시보면 야외 촬영은 HD 화질이지만 스튜디오는 구린 SD 화질로 섞여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35444/http://iaudience.kbs.co.kr/boardView2.do?id=605¤tPage=1&totalCnt=3&countPerPage=10&title=HD%20%EC%88%98%EC%8B%A0&list_jsp_url=front/viewerOpinion/producerAnswerList&view_jsp_url=front/viewerOpinion/producerAnswerView&con_len=30&new_dt=1&btn_fg=Y&searchType=1|제작진 답변]][* 며느리 전성시대의 경우에는 5화(2007.08.11)부터 KBS 로고 옆에 HD 마크가 달리기 시작했지만 스튜디오 씬으로 바뀌면 HD 마크가 사라지는 독특한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예능 및 교양정보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야외 촬영이 많은 특성상 장비의 무게도 있고, 카메라, 조명을 비롯한 장비의 가격도 방송 제작비 대비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SBS [[도전 1000곡]]이나 [[좋은 아침]], [[진실게임(예능)|진실게임]], [[웃찾사]], MBC [[전파견문록]], [[퀴즈가 좋다]], [[코미디하우스]], KBS [[아침마당]], 행복채널[* [[여유만만(텔레비전 프로그램)|여유만만]]의 전신이었던 주부대상 평일 아침 토크쇼. KBS 같이삽시다 유튜브 채널에 일부 영상이 올라오기도 했다. 첫 HD영상은 선우용여와 전원주, 서우림이 나왔던 2002년 3월 8일 방송분[[https://www.youtube.com/watch?v=NMwQjbmyRlo|#]] 이후 여유만만도 계속 HD로 방송했다고 한다.], [[비타민(KBS)|비타민]], [[콘서트 7080]], [[가요무대]] 같은 실내 스튜디오 위주 프로그램이나 음악방송, 예술 공연 및 콘서트 실황, 스포츠 중계가 아닌 이상 HD 방식을 사용하지 못했고, 도입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그나마 HD방송 초창기 시절 예외가 있다면 MBC의 [[논스톱 시리즈]]의 [[논스톱3]]와 KBS의 <접속! 어른들은 몰라요>. 당시 MBC [[황금어장]]은 2006년 후반부터 HD로 전환했고, 라디오스타와 무릎팍도사는 첫방송인 [[2007년]] [[1월 3일]]과 동년 [[5월 30일]] 방송 시작부터 HD 방송이었고, 개그콘서트는 [[2007년]] [[8월 26일]]에 KBS 신관 공개홀에도[* 윤도현의 러브레터, 뮤직뱅크와 같이 촬영하는 장소이다.] HD 장비가 도입되어 본격적으로 HD 방송으로 전환되었지만 그 당시에는 아직 대부분은 SD였고 대부분 메인 인기 [[예능프로그램]]은 [[2010년]]~[[2011년]] 이후에 HD로 방송으로 정식 전환했다. 특히 MBC 간판예능인 [[무한도전]]이나 KBS 간판예능인 [[1박 2일]]의 경우에는 리얼 버라이어티를 표방했기 때문에 정해진 동선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보니 도입이 더더욱 늦춰졌고, KBS [[해피선데이]]의 코너인 [[1박 2일]]의 경우 남극 촬영 전인 2010년 2월에 넓은 남극의 배경을 깔끔한 화질로 시청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고가의 HD 장비를 일부 도입했지만[* 영화보다 화소수가 높다고 한다.] 칠레 대지진이 일어나 방송 계획이 취소되면서 HD 장비 도입이 취소될 수 있다는 말이 방송에서 나왔던 적이 있었다.[[https://youtu.be/FFX45Cxb2Xk?si=PsJj1Hru6kgo4Cui|#]] 그러다가 [[2010년]] [[5월 23일]] 경주 수학여행편[* 김C 하차전 마지막 에피소드.]부터 HD 장비를 본격적으로 구축해 해피선데이의 HD 방송 시작과 함께 HD 본방송으로 정식 전환되었으며[* 단 HD 전환 초창기인 2010년 7월 18일 방송된 경북의성편에서는 HD 장비가 일부 부족했는지 잘보면 일부 화면에 한해 SD 카메라 장비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부는 16:9 화면에 맞추기 위해 좌우를 늘린 [[스트레치]] 형식으로 제작되었다.[[https://youtu.be/hdin-3X2zeY?si=Tw4hAeuLjtB5nf8N|해당영상]]] 같은 코너인 [[남자의 자격]] 역시 같은날 HD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우리말 겨루기]]는 2009년 이후에 HD 방송으로 전환되었고, 2010년 2월에 상상플러스 후속으로 방영한 [[김승우의 승승장구]]와 [[2010년]] 7월~[[2011년]] 4월에 방송한 [[SBS]] [[영웅호걸]]과 [[2010년]] 7월에 방송 시작한 [[런닝맨]][* 런닝맨이 시작한 지 15년이 되었지만, HD 방송으로 해서 촌스러운 느낌이 거의 들지 않는다.], 2010년 11월에 방송한 [[난생처음]](MBC)은 첫방송부터 HD로 제작했으며 국민예능이라 불리는 [[무한도전]]은 2010년 후반부터 일부 특집을[* 2010년 하반기에 방송한 미드나잇 서바이벌, 크리스마스 싱글파티때 HD를 시범 도입했다. 단, 2010년 10월에 방송한 텔레파시 특집은 16:9 HD로 촬영되는 DSLR 장비로 촬영했지만 본방송은 4:3 비율에 맞춰 레터박스로 송출했다.] HD로 시범 제작하다가 [[2011년]] [[2월 19일]] 오호츠크해 방영분부터 HD 방송으로 정식 전환되었다. [[토크쇼]] [[세바퀴]]와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는 [[2010년]] [[10월 9일]]과 [[2011년]] [[3월 17일]]에 각각 HD 방송으로 전환되었고, [[우리 결혼했어요]]는 [[2011년]] [[4월 9일]], [[위기탈출 넘버원]]은 [[2011년]] [[11월 21일]], [[스펀지(KBS)|스펀지]]는 [[2011년]] [[11월 18일]], 생방송 연예뉴스인 [[연예가 중계]]는 [[2010년]] [[1월 16일]]부터 HD 방송으로 전환했다. 그밖에 인기 메인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신비한 TV 서프라이즈]](MBC)와 [[해피타임]](MBC), 경제매거진 M(MBC) 그리고 지구촌 리포트(MBC)는 지상파 3사 중에서 가장 최후반인 2012년 5월 13일과 6월 3일, 2013년 1월 5일에 각각 HD로 전환하였다.[* 신비한TV 서프라이즈는 2012년 5월 13일, 해피타임은 2012년 6월 3일, 경제매거진 M과 지구촌 리포트는 2013년 1월 5일에 상당히 늦게 전환되었다.] 만화 케이블 채널인 [[투니버스]]는 [[2013년]] [[1월]]에 HD로 전환했고, [[애니원]]은 [[2013년]] 중반에, [[재능TV]]는 [[2014년]] [[5월]]에, [[챔프TV]]는 [[2014년]] [[11월]]에 각각 HD방송으로 전환했다. YTN 뉴스는 뒤늦은 [[2011년]]부터 HD 방송을 시작했고, [[2013년]] 4월까지도 SD방송이 남아있다가 2013년 5월부터 완전히 HD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YTN 사이언스는 2013년 12월까지, 춘천MBC는 2014년 12월 31일까지 SD 방송을 해서 2014년까지는 지역 방송국 한정으로 SD 방송이 남아있는 마지막 해였으며 2015년 1월 1월부터 지역방송까지 전면 HD 방송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대부분 지상파 메인 인기 프로그램은 [[2010년대]]에 접어든 2010~2011년 사이에 HD로 전환되어 4:3 비율의 구린 특유의 아날로그 감성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어 아날로그 방송 종료 준비를 완료했고, 지상파의 모든 프로그램이 HD로 제작되던 2012년 12월 31일에 [[1956년]] 이후 56년간 지속되던 아날로그 TV 방송이 서울과 경기도를 마지막으로 완전히 종료되어 [[2013년]]부터는 본격적으로 디지털 방송시대가 개막되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HDTV가 보급되기 시작했으나, 가격도 상당히 비싸고 HD로 제작되는 방송프로그램이 몇 개 없어 2002년 한 해 HDTV 수신율은 고작 '''2%'''에 불과했다.[* 이 말은, 100 가구 있으면 두 가구만 HDTV를 보고 있었다는 얘기다. 2002년 당시 32인치 셋톱박스 내장 브라운관 방식 HDTV가 약 160 ~ 200만 원대었고, PDP나 LCD 방식의 대화면 TV의 경우 42인치 HD급 PDP가 200~400만 원 / 50인치는 260~520만 원 / 58인치는 300~600만 원대/ 63인치는 350~700만 원대였다. 한편 FHD급에서는 32인치 FHD급 LCD가 350~700만 원대 / 40인치 FHD급 LCD가 400~800만 원대 / 46인치는 500~1000만 원대 / 52인치는 600~1200만 원대 / 57인치는 700~1500만 원대였다. 즉, 당시 물가 수준 등을 고려하면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가격은 절대 아니었다.] 물론 TV는 이것보다 훨씬 더 많이 보급되었지만[* 2004년경만 되어도 가전매장에는 PDP/LCD만 진열되어있었고 CRT TV는 구석에 있었다. 대부분은 2000년대 중반에 CRT를 쓰고있었으나 이 때 TV를 구입한 사람들은 PDP/LCD를 쓰고 있는 사람도 있었다.] 화질이 좋다고는 하지만 화질이 좋다는 점만 빼면 눈에 확 띄는 장점이 있지는 않았고 가장 큰 이유는 HDTV 수신을 하려면 지상파 직접수신이나 케이블SO의 재송신이 아닌이상 불가능해서 채널수가 더 늘어나는 것도 아니기때문에 HDTV 수신 인구가 거의 없었다. 심지어 디지털 방송의 개념을 모르거나 별다른 관심이 전혀없었기에 이후에도 크게 나아지지는 않아 2000년대 후반까지도 보급율이 겨우 14%에 불과했다. 그러다가 2010년 이후에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를 대대적으로 홍보해 수신 가구가 급격히 늘게 되었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4.143.110)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