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VRChat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기타 == * 바이브 트래커 판매량의 절대 다수를 담당하고 있다. VRChat 외 다른 게임에는 쓸 일이 없는 물건. 풀바디로 다리까지 트래킹하는 사람들이 심심하면 보인다. *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들도 종종 이용하는 모양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B_LL53H5pGA|#예시]]([[미라이 아카리]]) 버츄얼 유튜버들이 쓰는 MMD 모델이 유니티로 적용시켜 VRChat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방송에서 쓰이는 모델 그대로 VRChat에서 구동 가능하다. * VRChat이 2018년 5월부터 한국에서 인지도가 대폭 늘면서 VRChat 관련 커뮤니티에는 차렷충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는데, 그야말로 VR 기기가 없어서 자유자재로 트래킹을 못하고 기본적인 감정표현만 가능한 유저들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한국도 2018년 7월까지는 차렷충에 포함되는 유저 숫자가 상당히 많았으나 VR 기기가 없다는 이유로 일부 골수 유저들이 커뮤니티 내에서 차렷충 유저들을 차별하는 경향이 생기면서 차렷충 자체의 비하적인 의미와 VR의 비싼 가격[* 제일 싼 VR 기기의 가격이 1-20만원 이상, 오큘러스나 바이브는 4-50만원 이상(바이브 프로는 이보다 더 쎄다.),을 호가하기 때문에 돈 많은 사람이 아니라면 구매에 발목을 잡힌다. 2019년 기준으로 손가락을 세세하게 컨트롤가능한 인덱스 VR은 아예 국내정발조차 하지않은상태다.]과 특정 아바타 편애 등[* 칸나 카무이도 초창기에는 많이 있었으며, 특히 오우카 미코가 심했으나 지금은 다른 제약 없는 아바타들도 많아지면서 그나마 안정화된 편.]의 문제로 VR 기기가 없는 이용자들이 VRChat을 접는 바람에 수가 상당히 감소하면서 현재는 VRChat 마이너 갤러리 내에서만 쓰이는 용어가 되었다. 비슷한 의미의 대화나 말을 전혀 하지 않는 묵언충이라는 용어도 있으나 그렇게 논란은 없는 단어라서 크게 이슈화된 적은 없다. 또한 묵언충과 차렷충은 한국 VR관련 커뮤니티에서 생긴 개념이라 해외에서는 그렇게 뭐라 하지 않는다. 다만 묵언충은 비슷한 개념이 해외에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도 사람에따라서 다를 수 있으니 지나치게 뭐라고 하지는 말자. * 유저 유형들중에는 댄스방에 가서 재생되는 음악에 맞춰서(보통은 맵의 장치를 통해서 유튜브의 영상을 스트리밍하거나 맵에 입력된 음원을 재생하는 방식) 춤을 추는 춤꾼들도 있다. 당연히 풀트래킹은 기본으로 깔고간다. 그냥 음악만 재생되는 댄스홀풍 월드에서 자유롭게 춤을 추기도 하지만, 통칭 저댄방이라 불리는 [[저스트 댄스]]를 구현한(?) 맵에서 모의 저스트 댄스를 VRChat으로 즐기는 유저도 많다. 이후 모의 [[DANCERUSH STARDOM]]이나, 모의 [[댄스 에볼루션]]을 즐길수 있는 월드도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보통은 맵에 있는 장치를 통해 유튜브의 리듬게임 채보 직출 영상을 화면에 스트리밍하고, 스트리밍된 화면에 맞춰서 춤꾼이 춤을 추는 방식이다. 영상 스트리밍을 보고 따라하는 정도다보니 실제 게임을 하는건 아니지만, 다른 의미로 몰입감을 느낄수 있기때문에 춤꾼들이 선호하는듯. * 여러종류의 사람들이 모이다보니, 불순한 목적으로 [[스킨쉽|아슬아]][[애무|슬한 짓]](?)을 하는 유형의 플레이어들도 간혹 있다. 또한 [[초유(가슴)|초유]], [[근육녀]], [[거인녀]][* 거인녀가 가능한것은 아바타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기 때문이다.]등 자신의 [[ 파일:초유 회색늑대.jpg|섹스]] [[ 파일:근육질+거인 린.jpg|판타지]]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유저들도 만날수있다.[* 정말 사람을 잘못만날 경우 만난 첫날부터 H방, 일명 섹스를 위한 방을 가자고 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데스크톱 유저는 걱정없지만 풀트래킹이라면...] * 뉴비월드가 생겨났다, 현재 한국어, 일본어의 초보 튜토리얼 월드가 생겼으며, 처음 게임을 시작하면 이동과 물건잡기를 제외하면 알려주지 않는 VRC의 튜토리얼과는 다르게 기본적인 이동부터, 감정표현, 세이프티 설정, 월드별 특징, 상호작용 물체별 특징등이 자세히 기술되어있다. 데탑과 VR이 따로 설명이 되있는점도 장점이다. 만약 VRC에 제대로 적응하고싶다면 이 월드에 한번 가보도록 하자, 단점이라면 기본적으로 VR 기기가 없다면. 몰입감이 떨어지는 게임인지라, 그냥 이런게 있다 정도수준이며, 일부 고인물들이 나름 열심히 설명도 해주는 경우도 있다지만...효과는... 아바타상이지만 얼굴을 마주하는 게임특성상 다른 커뮤니티와는 다르게 과몰입도가 더 크게 다가오는 경우도 없잖아 있다. * VRC의 월드 제작자중 한명인 1001의 사망소식이 전해졌다.원본[[https://medium.com/vrchat/remembering-1001-973ac391c4df]], 번역본[[https://t.co/SsguwGQOpu]] 자세한 사인은 명시되어있진 않지만. 커뮤니티에서도 인지도가 높았으며, 겸손한 사람이었다고...현재 리맴버 1001 이라는 이름으로, 그가 만들었던 월드가 월드메뉴 상단에 올라왔으니. 한번쯤 들러서 추모해주자. * 심지어 월드중에는 [[개신교]] 온라인 예배에 참여할수있는(...) 월드도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서 예기치않게 이쪽으로도 수요가 생긴 셈. 한국에서는 침례교계통의 모 교회에서 제작한 온라인예배 월드가 있는데, 이미 서구권에 존재하는 VRChat 교회월드들을 벤치마킹한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관련해서 해외에서는 이미 vrchat의 교회월드에서 세례받을 성도의 아바타에게 [[https://www.youtube.com/watch?v=N_88DBmdnNA|가상으로 세례]](한글자막 있음)를 한 사례도 있다. [* 아바타가 물에 잠기는것으로 볼때 침례형식으로 추정된다.] * 맵의 종류가 매우 많다. 일반적으로 VR게임이라는 특성상 눈이 호강하는 맵이 주를 이루나 그게 아니더라도 미니게임맵의 수요와 공급이 아주 많다. 마피아의 FPS버전인 머더맵이라던지 [[진실게임]]이나 [[당구장]], [[스키장]], [[노래방]], [[마인크래프트]], [[결혼식장]], [[법원]], [[방탈출]], 공포맵, [[롤러코스터]] 등등 다 적기에는 칸이 모자랄 정도로 다양한 맵이 있는데 이게 가능한 이유가 대부분의 맵을 제작사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유저들 스스로가 만들어 업로드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둠/이식 버전|거의 모든 게임기로 이식되는 특성]]답게 [[둠]]도 둠 1의 셰어웨어 에피소드를 vrchat으로 그대로 옮긴 월드가 존재한다. * 2021년[* 2020년 알파테스트] 경쟁작으로 Chillout VR이 등장했다. 아직 개발중이지만 2021년 2월 스팀 런칭을 앞두고 있으며, 최신 유니티가 사용되어서 VRchat보다도 최적화가 낫지만, 아직은 개발단계라 부족한 점도 많이 있다는 듯 하다. * [[스브스뉴스]]의 오목교 전자상가 코너에 소개되었는데 소위 H방같은 이상야릇한 수요쪽에만 초점을 잡았다. 모두가 즐길 수 있는 VRChat 플레이문화를 어떻게든 이끄려는 이들은 대체로 이 보도에 부정적이다. * 2022년 3월 25일, VRChat측과 한국의 MCN기업인 [[패러블 엔터테인먼트]]가 파트너쉽 계약을 체결하며 '''한국 기업 최초로 VRChat 파트너쉽 계약에 성공하였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19.119.0)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