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VRChat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활용 가능한 VR 기기 === VR 게임답지않게 데스크탑만으로도 FPS와 비슷한 조작방식으로 플레이할 수 있으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기고 싶다면 VR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2022년]] 현재까지 VRChat를 즐길 수 있는 사양의 VR 기기의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보니 금전적 진입장벽이 꽤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작동이 확인된 기기들은 아래와 같으나, SteamVR의 사용이 가능한 기기면 사실상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 [[HTC VIVE]] - 현재 VRChat 공식 키 파트너로 지정된 기기. HTC Vive Tracker를 구입할 경우, 허리와 양 발, 총 3군데를 인식시켜[* 벨트와 슬리퍼 등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착용하고 사용한다.] 전신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흔히 말하는 풀트 혹은 FBT[* Full Body Tracking]가 바로 트래커를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 [[오큘러스 리프트]]/[[오큘러스 리프트 S]] - 컨트롤러가 사용하기 편하다. 공식 지원하는 별도의 트래커가 없어, 바디 트래킹을 하고 싶을 경우에는 HTC Vive Tracker를 구입하거나 Kinect, Nolo 등 다른 주변기기를 별도 구매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혼종 풀트로 불리며 HTC Vive에서 연동하는 것과 달리 까다롭다. * [[오큘러스 퀘스트]]/[[오큘러스 퀘스트 2]] - 모바일 AP를 사용하는 기기 특성상 표시되는 아바타가 한정적이며 Quest 유저로 분류된다. Virtual Desktop 또는 ALV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PC 기반의 VRChat을 플레이할 수 있으며, 오큘러스 링크[* PC와 퀘스트를 연결하여 PC 기반의 VR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로도 PC 기반 VRChat을 이용할 수 있다. 극한의 가성비로 인하여 대부분의 VR유저들이 이 기기를 사용한다. * [[Windows Mixed Reality]] - 바이브나 오큘러스 리프트와 달리 고글이 컨트롤러를 인식하기 때문에 컨트롤러가 인식 범위를 벗어나면 팔이 움직이지 않는다. 관성 예측 덕분에 어느 정도는 움직이지만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 그리고 하체 부분은 트래킹 자체가 안 되고 모니터에서의 VR 헤드셋 높이를 가늠해 서있는지 앉아있는지 대략적으로 추측하는 시스템이기에 나는 앉아있는데 캐릭터가 서있거나 나는 서있는데 캐릭터가 앉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기도 하다. VRChat 내의 옵션에서 앉아서 플레이[* Seated Play] 옵션을 선택하면 서있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대부분 이렇게 해결한다. '''가장 정확한 해결법은 MR 홈에서 기본 앱 "바닥설정"을 실행하여 컨트롤러 한쪽을 바닥에 두고 실제 바닥 높이와 같이 설정하면 해당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된다.''' 현재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VRChat 갤러리에서 터치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이스틱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vr&no=37067|해결 법]]을 찾은것으로 보이는데, 조이스틱 키 맵핑을 패드로 해준다고 설명되어 있다. 사용 시 엄지 조이스틱으로 이동이 가능해 매우 편리해지고, MR 특유의 좀비 걸음과 맵 탈출 버그 또한 걸리지 않는다. 다만 속도 조절 자체는 불가하므로 주의할 것. 짧은 거리를 움직이려면 아주 짧은 시간으로 탁 탁 조이스틱을 쳐야한다는 다소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또한 조이스틱을 클릭해 SteamVR의 메뉴가 나오는 것이 제거된다. Windows MR에서도 Connect, 베이스 스테이션 2개와 트래커로 풀트래킹이 가능하다 * NOLO - 중국산 VR 기기로, 원래 스마트폰으로 VR을 사용하거나 혹은 컨트롤러가 없거나 비싼 VR 기기들을 헤드 기어만 산뒤 추가적으로 구매하는 기기다. 하지만 머리에 다는 부분을 배에, 양 컨트롤러를 다리에 장착해 풀트래킹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어 최근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즉 20만원정도의 금액만 추가적으로 지불하면 풀트래킹이 가능하다. 다만 바이브와 조합할 경우 트래킹 방식이 겹치는 문제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 [[삼성 오디세이 시리즈#s-2.3|삼성 오디세이 HMD 시리즈]] - 삼성전자의 VR 기기로, HMD 오디세이는 두 개의 3.5인치 OLED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16PPI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VR의 단점이었던 키 입력 부분을 컨트롤러 전원을 끄면 키보드와 마우스를 가상공간 안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완했다. 가격이 다른 VR 기기들에 비해 40만원대에 삼성전자 제품이라 A/S센터가 많이 있으나 풀트레킹이 안된다는 점이 단점이다. 애초에 이 제품 자체가 삼성만의 무언가 특별한 플랫폼을 가진 제품이 아니라, Windows Mixed Reality(MR) 제품 중에서 디스플레이가 고성능인 제품인 것에 불과해, 제품 자체의 한계는 타 MR제품과 비슷하다. * [[Valve Index]] - 밸브에서 만든 차세대 VR 기기로 뛰어난 오디오 품질과 새로 개발한 너클 EV3로 VR에 대한 몰입도와 현실감을 증대시켰다.[* 현재는 한국에선 판매하고 있지 않다.] * [[PIMAX]] - 중국에서 만든 VR 기기로 다른 VR들에 비해서 시야각이 넓다. * [[PlayStation VR]] - 정식적인 방법으로 할수 있는것은 아니고 케이블을 구매하고 드라이버를 설치해서 우회적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 [[Varjo]] - 핀란드의 VR회사로 인간 눈 수준의 해상도를 구현한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기다. SteamVR 기반이며 타 기종들에 비해서 비싼 가격이 단점. 현재 소비자용으로 판매되는 기기는 Aero가 유일하다.컨트롤러는 인덱스나 바이브등 다른 기기의 SteamVR 트레킹 기반 컨트롤러를 사용해야한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14.70.115.25)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