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구름 (r4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여담 == 구름의 색이 하얀 이유는, 대개 구름은 태양광을 산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충분히 많은 수증기가 모여 있다면, 오히려 태양광을 흡수함으로 인해 짙은 잿빛을 띠게 된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먹구름. 구름을 구성하는 물 입자는 대기와의 마찰과 구름 내부의 상승기류로 인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다. 만일 이것들을 이겨낼 만큼 물 입자들이 충분히 병합되었다면, 그때부터는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우리가 흔히 ""[[비(날씨)|비]]""라고 부르는 현상이 바로 이것. 그 외에도 바닷가 파도의 물보라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한 소금 입자, [[적란운]] 꼭대기의 빙정 등이 비를 뿌리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보통 물 입자가 구름을 형성하지만, 얼음 입자(빙정)가 구름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 이렇게 구름이 형성되는 이론을 빙정설이라 부르며, 우리나라의 구름이 이렇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순 물방울들이 모여서 무거워지면 떨어지는 이런 구름의 형성 원리를 병합설이라 부른다. ] 이런 구름은 대부분 지상으로부터 적어도 8~9km 이상으로 높이 떠 있다. 흔히 새털구름이라 부르는 권운이 바로 대표적인 사례. 그 외에도 야광운이나 진주운 등 특이한 구름들은 최대 90km (!) 높이에서도 발생하는데, 미세한 화산재가 이들 구름을 형성한다는 설도 있다. 덧붙여 동양 문학에서 구름은 대체로 부정의 뜻으로 쓰인다. 예외의 경우도 많긴 하지만. 그 이유는 '''임금'''을 상징하는 '''해'''를 가리는 존재이기 때문. 따라서 간신배, 아첨꾼을 빗대어서 구름이라고도 한다. 아동용 매체(동화, 만화, 영화 등)에선 [[근두운|구름위에 생물체가 올라타는 묘사]]가 많다. 당연히 불가능하다. 그 외에도 마치 구름을 양털이나 [[솜사탕]]처럼 묘사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여름 밤에 보이는 현상으로, 비교적 고층까지 올라가는 뭉게구름 등이 태양빛을 받아 노을빛으로 붉게 빛난다. 그런 구름이 밤하늘 가득 끼어 있을경우 밤인데도 하늘이 붉다. 구름 중에는 상당히 비정형적이고 양털 같은 느낌의 것이 있고, 상당히 매끈하고 잘 빠진(…) 모양의 구름이 있다. 보통 전자보다 후자가 더 난류가 심하고 [[바람(기상)|바람]]이 거세게 분다. 후자의 대표적인 사례로 삿갓구름과 렌즈구름, 특히 [[모닝글로리]]를 들 수 있는데, 이들 구름들은 비행기에게는 그 존재 자체로 이미 접근 금지 신호가 된다. 예컨대 삿갓구름은 뜨거운 공기가 어마어마한 속도로 상승하는 경우 나타나는 것이며,[* 아래쪽의 화산폭발 움짤에서도 분출 기둥(eruptive column)의 꼭대기에 하얗게 눈처럼 쌓인 구름이 보이는데 이것 또한 삿갓구름이다.] 렌즈구름은 [[영국해외항공 911편 추락사고|멀쩡히 날아가던 비행기조차 허공에서 산산조각낼 수 있는(!!)]] 강력한 바람인 산악파(mountain wave)를 품고 있다. 모닝글로리의 경우 겉보기엔 아름다워 보이지만 사실은 웬만한 [[슈퍼셀]] 중심부만큼이나 강력한 돌풍이 상시 휘몰아치는 무시무시한 구름으로, 난류 경보체계에서 최고등급인 ""extreme"" 의 위험도를 자랑한다. 혹시 경비행기를 소유한 ~~[[금수저]]~~ [[위키러]]가 있다면 이 근처에서는 얼씬도 하지 말자.(…) ~~응?~~ [* 미국같은 경우 금수저가 아니라도 경비행기를 소유한 사람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경비행기 중고는 2만불 정도면 살 수 있는 것도 있다. 다만 유지보수와 격납공간을 찾는 것이 더 큰 문제로 작용한다. 라이센스 취득에 텍사스 같은 경우 만불 정도 든다. 대신 일정 비행시간을 채워야 하기에 시간채우는 것이 오히려 에로사항이다.] [[비행기]]에게 구름은 [[http://www.airtravelinfo.kr/xe/1043479|마냥 낭만적이지만은 않다.]] 특히 적란운을 만나면 비행기들은 그 구름을 피해 우회하곤 한다. 왜냐하면 그 구름 속에는 강한 바람과 우박 등이 쏟아져 흘러 내리기 때문. 물론 항상 그런것은 아니기에 [[https://www.youtube.com/watch?v=cV7p1LXZ1gY|이러한 장관이 연출되기도 한다.]] 아마도 [[http://blog.naver.com/benjaminbang/30188568192|익단와류(wingtip vortex)]]라고 불리는 현상과 관계가 있다. [[윙렛]] 문서 참고. 창작물, 특히 배틀물에선 큰 폭발이나 충격파가 발생하면 그 위력을 강조하기 위해 구름이 근원지를 중심으로 갈라지는 연출이 심심찮게 나온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아라엘]] 전. 물론 창작물에선 이를 좀 과장하긴 하지만 실제 화산폭발 등 큰 충격파가 발생하면 [[:파일:volcanoeruption01.gif|관찰할 수]] [[:파일:volcanoeruption02.gif|있는 현상]]이다. [include(틀:나무위키에서 가져옴, title=구름, version=160)] [[분류:기상 현상]][[분류:구름]][[분류:순우리말]]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25.34.19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