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구름 (r4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생성 == 구름의 생성은 크게 몇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진다. 과학적으로 잘못된 부분은 자유롭게 [[수정바람]]. * 대기의 불안정: 일광(태양광)의 지표면 가열로 인해 뜨거워진 공기가 상공의 찬 공기 쪽으로 상승한다. 대류에 의해 찬 공기는 반대로 뜨거운 공기 밑으로 내려가려 한다. 뜨거운 공기가 상승기류를 만들어내는 곳에는 '''국지성 저기압'''이 형성되면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여건이 갖추어진다. 충분한 수증기를 갖추고 있다면, 단열팽창[* 상승하는 공기가 점차 기압이 낮아지면서 부피가 증가하고 기온도 낮아지는 현상.]을 통해 기온이 낮아진 공기는 이슬점에 도달, 응결고도에서 수증기의 포화를 일으켜 구름을 형성한다. 흔히는 보통 뭉게구름을 만들고 끝이지만, 열대에서는 [[열대성 저기압]]의 원인이 된다. * 수증기의 유입: 대기가 불안정하다 해도 수증기가 없이 황량하고 건조한 날씨라면 구름은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자원이 부족합니다~~ 국지성 집중호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폭우는 어딘가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증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좀처럼 하늘이 개이지 않는 것. * 지형지물의 영향: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산맥]] 등이 장벽처럼 가로막고 있다면,[*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산맥]]뿐 아니라 [[인간]]이 만든 건물도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다.] 흐르던 공기는 산맥 위로 강제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마찬가지로 응결고도에 도달하면 구름이 형성된다. [[태백산맥]]이나 [[알프스 산맥]] 등 높은 산지에 항상 구름이 끼어 있는 모습인 것은 바로 이 때문. [[영동]] 지방에는 이 때문에 [[2011 동부 폭설 사태|늦겨울에 폭설이]] [[2014 동부 폭설 사태|자주 내린다]]. 만약 습윤한 '''계절풍'''이 이런 산맥을 만나면 [[헬게이트]]가 열린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체라푼지'''(Cherrapunji) 지역. 자세한 내용은 [[열대몬순기후]] 항목 참고. * [[저기압|지역 간 기압의 차이]]: 일반적으로 저기압권에서는 날씨가 그리 좋지 못하다. 기압이 낮은 지역으로 모여든 공기는 하늘로 상승하면서 응결고도에 도달, 구름을 만들어 낸다. * 성질이 다른 공기의 충돌: [[온대저기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만일 뜨거운 공기가 차가운 공기 쪽으로 진행하면, 차가운 공기의 위를 타고 부드럽게 흘러가며 온화한 비가 내리지만, 차가운 공기가 뜨거운 공기 쪽으로 진행하면, 뜨거운 공기의 아래쪽으로 빠르게 파고들기 때문에 [[천둥]][[번개]]를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린다. 이렇게 생성된 구름은 보통 10분이면 사라진다. 하지만 그것도 개체별로 차이가 있어서 몇 분 만에 사라지는 것도 있고, 1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도 있다. 과거에는(그러니까 18세기 즈음) 구름의 생성을 '기포이론'으로 설명하였다. 이 가설에 따르면 아주 깨끗한 기포가 물을 담은채 올라가면 구름이 되고, 이 구름을 구성하는 기포가 태양열을 받아 터지면 그 안의 물이 지상으로 떨어지는게 비라는 것이다. 그러나 과학적 방법론이 점차 발달하자 이 가설은 [[데카르트]]에게 비판받게 되었고, 후에 골드스미스에 의해 과학적인 구름 생성이론이 만들어졌다.[* Richard hamblyn,'Invention of clouds',Picador,2002]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88.103.42)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