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도끼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각종 매체의 묘사 == 원시인들은 수렵용 창을 들고 나오는 것이 사리에 맞으나 돌도끼를 들고 나오는 것으로 그려지는 일이 상당히 많다. [[대털]]에 따르면 칼과 달리 찌르기가 불가능하다시피 해서 칼보다 훨씬 쓰기 어려운 무기라고 한다. 하지만 도끼를 쓰던 [[여수 독고|독고]]가 너무 괴수라서 별 설득력은 없다. 대털에서는 일대일에서의 손도끼와 단검을 비교한 것이니 전쟁터에서의 검과 도끼의 싸움과는 좀 다르긴 하다. 실제로는 도끼와 [[철퇴(무기)|철퇴]]는 무게중심이 끝에 쏠려있는지라 칼에 비해 운용수법이 한정되어 있어 오히려 배우기는 무기들 중 가장 쉬운 편이었다고 한다.[* 다만 도끼는 그 구조 때문에 찌르기 공격을 할 수 없다. 동작이 적어 빈틈을 내보이지 않으면서도 위력적인 측면에서는 찌르기만 한 게 없다. 또한, 날 부분으로 정확히 맞춰야 제 위력이 나오니 유효지점이 좁고 운용수법이 단순하다는 걸 반대로 말하면, 다양한 상황에서 대처하는 융통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아무렇게나 휘둘러도 끝으로만 맞추면 장땡인 철퇴같은 경우는 적당히 백성들 징집해서 몇번 휘두르는 연습 시킨다음에 바로 전쟁터로 끌고가면 된다고까지 말해지던 단순함으로 조선처럼 백병전에 익숙하지 못한 나라들도 많이들 애용한 무기였고, 도끼는 장작을 패 보면 알겠지만 그런 막 만든 둔기보다는 좀더 운용의 묘리가 필요하긴 해도, '''바로 그 장작패기 때문에''' 휘둘러본 사람들이 많았으므로 훈련에는 별 문제가 없었다. 반면 [[도검]]은 무게중심이 적당하고 무게도 가벼워 가장 세심한 운용을 할수 있으나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많은 훈련이 필요했다. 특히 베기는 도끼와는 달리 얇은 검신의 날부분을 제대로 상대방의 몸에 후려쳐야 하기 때문에 단순한 베기조차도 보기보단 어렵다. 베기장에서 대나무좀 베는것과는 달리 전장에선 끊임없이 움직이는 상대방의 몸을 노려야 했기 때문이다.[* 무술이나 격투기를 배워 본 사람이라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가만히 서 있는 대상을 상대로 하는 것과, 움직이는 대상을 상대로 하는 것은 하늘과 땅 만큼의 난이도 차이가 벌어진다.] 보통 이런저런 매체에서는 주로 힘만 무식하게 센 캐릭터나 야만족 캐릭터 정도가 사용한다. 가끔이지만 [[겟타로보]]같이 주인공이 쓰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 도끼를 사용하는 캐릭터들은 호리호리한 체형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잦은 도검 전사 캐릭터와는 대조적으로 대개 큰 덩치와 우람한 근육을 가진 외형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잦다. 이를 역으로 비틀어서 조그마한 여자애가 자기 몸보다 큰 도끼를 무슨 야구방망이 휘두르듯 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이를 오마쥬한 [[건버스터]] 역시 토마호크를 무장으로 보유하고 있다. 오덕의 전통인 [[도검제일주의]]덕에 만화와 게임에서 무기로 등장할 경우 어떤 식이건 최강무기는 도검이고 도끼는 그 밑인 경우가 많다. 대체로 망치와 함께 힘캐들 주무기에 높은 공격력을 자랑하지만 공격 속도가 느린 것이 단점인 경우가 많다. 간혹 작은 손도끼를 하나 혹은 쌍으로 쓰는 민첩캐가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도 한손검에 밀리는 경우가 다반사. 게다가 판타지 작품에선 주인공의 무기는 거의 도검류 인지라, 도끼는 주로 조연들의 무기인 경우가 많다. 또한 기술보다 압도적인 힘으로 밀어붙인다는 인식 때문에 검법, 창법등의 무술이 나오는 무협, 활극물에서도 도끼를 메인으로 하는 무술은 찾기 어렵다.[* 다만 실제 역사적으로도 도검이나 창을 다루는 무술은 크게 발달했지만 도끼를 다루는 무술은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도야 어찌됐든 고증에는 맞다.] 반면 [[생존게임]]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활용도+호신이나 사냥도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손도끼가 매우 중요한 아이템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좀비물에서는 오함마와 함께 꼭 등장하는 단골 냉병기인데 현대문명을 기반으로 한 배경에서 소방서나 잡화점만 가도 심심찮게 볼 수 있을 만큼 흔하고 사용 방법도 단순하기 때문인듯. 강한 캐릭터들은 적어도 한번쯤은 도끼로 좀비들의 대갈통을 쪼개는 등의 양학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좀비물에선 [[산탄총]]과 더불어 간지의 결정체. [[옵티머스 프라임]]의 경우 영화판에서는 검을 쓰지만 원래는 에너지 도끼를 사용했으며 후속작에서도 도끼를 쓰는것으로 나온다. 워 포 사이버트론에서는 [[크고 아름다운]] 도끼를 들고 등장. [[은하영웅전설]]은 미래 시대의 세계관이지만, 백병전이 여전히 존재하며 [[제플입자]] 라는 일종의 분말가루 같은 폭약의 존재 때문에 중세 시대의 무기들이 쓰이는 식이지만, 검은 찾아볼 수 없는데 이유는 미래 시대여서 백병전용 장갑복의 내구성 때문에 나온 무기가 [[탄소 크리스탈 토마호크]]. 이 무기를 다루는 이들 중 가장 유명한 자로 [[오프레서]]가 있다.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에서는 [[모빌슈트]] [[자쿠]]와 그 후손들이 애용하는 무기로 히트 호크라는 이름으로 불려진다. [[좀비 아포칼립스]] [[생존게임]]인 [[DayZ(ARMA)]]에서는 [[빠루]]와 더불어 단 둘 뿐인 근접무기로 등장하는데 빠루는 도구로도 못쓰고 공간이나 10 잡아먹는 [[우주쓰레기]]지만 도끼는 장작패기, 총알이 없을때 취할 수 있는 긴급발악무기, 모르핀이나 수혈팩을 얻기위해 병원에 들어갈때의 유리창 깨기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이다. 도구 취급인지라 인벤토리 하단 도구 슬롯에 한 칸 차지하도록 넣고 다닐수 있어 공간부담도 없는 편. 더군다나 무소음무기 취급이라서 좀비 어그로도 안 끈다는 매우 좋은 특성도 가지고 있어 플레이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유독 얀데레들이 많이 쓰는 무기이다. 피가 뚝뚝 떨어지는 도끼를 든채로 죽은 눈을 하고 있는 모습은 거의 클리셰 수준으로 정착했다. 일상에서 공구로도 기능하기에 냉병기 전투와 상관없는 현대 연애물에서도 등장할 여지가 있는데다 그 중에서 식칼 따위보다는 훨씬 위압감이 있으며, 가늘고 약한 이미지의 오덕계 여캐와 대조되는 무지막지한 이미지 때문에 정신상태가 온전치 않다는 것을 표현하기 좋기 때문인 듯 하다. 게임 [[마인크래프트]]에도 도구로 등장한다. 나무로 만든게 가장 저성능이고 네더라이트로 만든게 가장 고성능이다. 나무나 목재 계통의 블럭을 부수고 채집(호박 포함)하는데 특화되어 있으며 나무는 거의 모든 조합식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인데다 그 양도 만만찮고 맨손으로는 채집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만들어두면 도움이 많이 된다. 1.9 패치 이후, 공격속도 개념과 공격력 개념이 개편되면서 공격력은 더 높지만 공격속도가 검보다 낮은 한 방 무기가 되었다. 다이아몬드 검이 공격력 7인 반면, 도끼의 공격력은 나무와 금으로 만든 도끼는 공격력이 7로 동일하고, 그 외의 재료는 모두 9. 이후 1.16 네더 업데이트로 추가된 네더라이트 도끼는 공격력 10의 높은 공격 피해를 자랑한다.[* 하지만 [[DPS|초당 데미지]]는 검이 우세이다. 또한 검이 사거리가 더 길고 밀치기가 더 강하기 때문에 전투에서는 도끼보다 검이 더 좋다. [[마인크래프트/아이템/도구 및 전투#s-2.1.1|문서]] 참고.] 또한 도끼는 5초간 방패를 무력화 시킬 수 있다. [[서든어택]]에서 근접무기로 나온다. 한방의 데미지가 매우 강력하고 공속도 나름 빠르기 때문에 넥슨빌딩이라는 맵에서 필수적이다.하지만 리치가 짧기때문에 유저들끼리 겨루는 칼전에서는 구르카에게 털리기 쉽다. [[This War of Mine]]에서는 게임 내 최고의 근접 무기로 빠루나 주먹보다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그리고 가구를 쪼개서 자급자족에 필요한 목재와 땔감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더 롱 다크]]에서는 장작을 만들 때, 얼은 고기를 채집할 때, 늑대와 근접전으로 싸울 때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생존게임 [[Project Zomboid]]에서는 궁극의 도구. 전투용으로도 훌륭한 성능이지만 이게 있어야 나무를 잘라 필요한 것들을 만들 수 있다. 그래서인지 배경이 미국 시골인데도 엄청나게 구하기 힘든 레어템이다. [[배너 사가]] 시리즈는 북유럽 신화를 각색한 배경답게 주력 무기로 사용된다. 도끼를 사용하는 캐릭터는 대체적으로 물리 피해와 갑옷 파괴 능력이 좋아서 범용성이 넓다. 남주인공도 활 + 도끼 조합을 사용하고 거인이 휘두르는 양손 도끼는 궤멸적인 위력을 자랑한다. 타격음도 검에 비해 호쾌하다. 네임드 중에서는 오히려 한손검을 쓰는 캐릭터의 수가 더 적은 편이다. [[가면라이더 시리즈]]에선 푸대접받는 총기류와는 다르게 대우가 아주 좋다. 특히 [[메다가브류|보라색]] [[신호 액스|도끼]]는 더더욱. 또한 철퇴와 마찬가지로 묵직한 덩어리로 치기 때문에 칼보다 내구가 높아 오래 휘두를 수 있는 것처럼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칼날이 마모되는 정도는 검이나 도끼나 크게 차이는 없겠지만 절삭력보다 무게에 의한 타격으로 승부하는 무기인지라 더욱 이런 인식이 있는 것. 크기가 작은 손도끼의 경우엔 양손에 하나씩 들고 나오는데 이때는 쌍검보다 둔탁하지만 보다 민첩한 움직임이 강조된다. 특히 근접무기로 쓰다가도 투척무기로 쓰는게 손도끼의 대표적인 특징. 이 경우 사거리는 활이나 총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무거운 쇳덩이가 붕붕 날아와 적이나 벽에 퍽 하고 박히는 강렬한 이미지와 근접전을 하다가도 기습적으로 원거리전을 벌이는 등의 응용력을 강조하는 편. 투척도끼가 게임에 등장하는 경우 보통의 원거리 무기들이 관통 속성이지만 회전운동으로만 날아가는 도끼 특성상 차크람과 함께 원거리 무기들 중 몇 없는 베기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묘사되는 특징이 있다. 이 특징 때문에 좋은 취급을 받는 경우도 쓰레기 무기가 되는 경우도 있다.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에선 극초반 한손도끼가 기본 장비로 나온다. 본작품의 상징적인 무기로 쌍도끼, 도끼+방패 조합등 여러가지 조합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성능은 처음 주는 장비 치고는 좋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21.180.1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