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모로코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언어 === 공용어는 [[아랍어]][* 아랍어인 경우도 데리자라고 하는 [[https://en.wikipedia.org/wiki/Maghrebi_Arabic|마그레브 아랍어 방언]]이라는 모음이 거의 없는 [[아랍어 방언]]을 주로 사용한다.]이지만, 대부분은 '''[[프랑스어]]'''를 곧잘 구사하고 아랍어보다 프랑스어를 더 잘 구사하는 사람들도 많다.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의 절반이 프랑스어로 나오고, 신분증에도 아랍어와 함께 프랑스어가 쓰여 있다. 이처럼 프랑스어는 공식적으로 지정된 공용어는 아니지만 아랍어보다 더 많이 통용된다. 그리고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고 프랑스어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서 [[프랑코포니]]에도 가입되어 있다. 이 부분은 설명이 좀 더 필요하다. streetlanguage라고 불리는 다리자는 아랍어 방언이긴 하지만 현대 표준 아랍어그리고 현재 중동지방에서 쓰는 아랍어(이 두가지도 다른 언어이다. 현대 표준 아랍어는 종교적인 언어로 쿠란이 쓰일적 아랍어를 표준화한 언어다 보니 현대어와 소통되지 않아 따로 학습이 필요하다.)와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전혀 다른 언어라고 봐도 무방하다. 지리적으로도 아랍어의 본토인 중동과 비행기로 6시간 거리니 당연한 현상인 듯. 문제는 실제 사용하는 언어와 공용어가 달라 이 점이 모로코의 문맹율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뉴스같은 격이 필요한 곳에서는 다리쟈를 사용하지 않는다. 모로코의 총리는 아랍어 실수를 많이 해서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모로코 엘리트의 경우 프랑스어를 더 중시하고 프랑스에서 공부하고 일상에서는 다리쟈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랍어에 능숙하지 못한 사람이 의외로 많다고 한다. 또한 아랍어가 불어보다 언어 전달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편이라, 잡담은 아랍어로 하더라도 업무 관련 이야기는 불어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연유로 [[프랑스]]나 [[벨기에]] [[왈롱]] 지방에 노동자로 진출하여 이민을 간 경우도 상당하다. 거의 붙어 있다고 봐도 되는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북부에서는 '''[[스페인어]]'''가 통용되며 특히 스페인과 인접한 탕헤르 주민들은 [[외국인]]만 보면 스페인어로 다짜고자 [[호객]] 행위를 한다. 나머지 지역에서도 스페인어 하는 모로코인은 얼마든지 있다. 그리고 [[https://es.wikipedia.org/wiki/Idioma_espa%C3%B1ol_en_Marruecos|모로코의 스페인어]]는 모로코에서 프랑스어와 함께 주요 외국어로 지정되어 있고 스페인어 교육 기관이 모로코 내에도 존재하고 있다. 젊은 세대는 프랑스어나 국어인 아랍어 외에도 영어와 스페인어를 많이 배우며 요즘은 [[영어]]도 꽤 통한다. 그 외에도 [[베르베르어]]가 모로코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스페인 내에서 모로코의 스페인어의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고, 스페인어를 이수하겠다는 모로코인의 비율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 놓여 있다. [[https://www.elespanol.com/mundo/20180622/lengua-espanola-no-marruecos-hispanistas-lanzan-sos/316969107_0.html|#(스페인어)]] 반면 프랑스어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하고 영어도 치고 올라오고 있는 상황.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16.50.130)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