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모로코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정치 == [include(틀:북아프리카의 정치)] [include(틀:모로코 하원의 원내 구성)] 현 왕조는 [[알라위 왕조]]로 왕가의 정치적 영향력이 매우 크다. 입헌군주정이지만 사실상 국왕의 권한이 큰 전제군주정이나 다를 바 없다고 평가되고 있다. 서구 유럽의 영향을 받아 어느정도의 민주화는 허락되어 국민들의 선거로 승리한 다수당의 대표가 총리로 추천되면 국왕이 추인한다. 국회는 양원제이며 하원은 5년 임기, 상원은 6년 임기이다. 하원 선거 방식은 305석 중 92석은 선거구, 90석은 비례대표를 선출한다. 다음으로 60석은 여성 할당석, 30석은 만 40세 미만 의원 할당석으로 구성되고 있다. 국왕은 군대, 종교에 대한 통제권을 인정 받고 국가원수의 절대적인 권력을 누린다. 2011년 개헌으로 [[아랍의 봄]] 영향을 받아 국왕의 권력을 다소 축소하고 총리와 의회의 권력을 강화했다. 하지만 생색내기란 평가도 있는 편이다. 현 국왕 [[무함마드 6세]]는 이러한 분위기를 읽은 탓인지 시민들과 소탈하게 거리에서 사진도 찍고 서구적인 인권 개선이나 자유화에도 관심을 보여 대중의 지지는 높은 편이라고 한다. 이러한 행보는 아랍의 봄 당시 반왕실 시위가 금새 묻히는 원인이 됐다. 실제로 모로코의 2021년 [[민주주의 지수]]는 5.04점으로,[* 전제군주제 국가 중에선 점수가 가장 높다.] 중동 지역에서 [[이스라엘]]과 [[튀니지]] 다음으로 높은 점수이다. [[공화주의]] 운동도 있으며 1971년 공화정을 목표로 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바가 있으나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 이후 공화주의자들은 정부의 탄압과 감시를 받는다.[* 아랍의 봄 당시 민주화를 요구하며 공화정 운동이 살짝 일어나기도 했으나 별다른 호응을 받지 못하고 묻혔다. 리프 전쟁 당시 리프 공화국을 모티브로 삼아 신 리프 공화국 운동이라는 공화주의 운동도 있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47.242.235.5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