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무이파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2011년 제9호 태풍 == [include(틀:2011년 태풍)]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594D3><bgcolor=#3594D3><height=100%> [[2011년|{{{#FFF '''2011년'''}}}]] [[태풍|{{{#FFF '''태풍'''}}}]] || ||<bgcolor=#FFF,#1F2023> 제8호 [[녹텐#s-3]] → '''제9호 무이파''' → 제10호 [[므르복#s-3]] || ||<-3><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3594D3><colbgcolor=#3594D3><tablebgcolor=#fff,#191919><colcolor=#fff> '''{{{+5 {{{#!html <span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2011년 제9호 태풍 무이파}}}}}}''' || ||<width=24%> '''위성사진'''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uifa Jul 30 2011 1909Z.jpg|width=100%]]}}} || || '''진로도'''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uifa_2011_track.png|width=100%]]}}} || || '''활동 기간''' ||<-2> [[2011년]] 7월 28일 15시 ~ 2011년 8월 9일 9시 || || '''영향 지역''' ||<-2> '''[[일본]] 류큐 제도''', '''[[중국]]''', [[대한민국]], '''[[북한]]''', '''[[러시아]]''' || || '''태풍 등급''' ||<-2><bgcolor=#ff6060> {{{#000 '''5등급'''}}}[*JTWC] || || '''10분 등급''' ||<-2><bgcolor=#ffc140>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 '''태풍 크기''' ||<-2> '''대형(직경 1,000 km)''' || || '''최저 기압''' ||<-2> '''930 hPa''' || ||<|2> '''최대 풍속''' ||<width=14%> 1분 평균 || '''72 m/s''' || || 10분 평균 || '''49 m/s''' || 7월 28일 15시에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7월 29일까지 필리핀을 향해 서쪽으로 이동했다. 이후 방향을 틀어 [[오키나와]]를 향해 북진하였으며, 당초 중국 상하이에 상륙할 것으로 보여졌으나, 계속 북서진해 산둥반도로 진로가 바뀌고 최종적으로 8월 7일경 [[대한민국]]과 [[중국]]의 사이를 통과하여 대한민국에 많은 비를 뿌렸다. 이후 8월 8일경 북한 [[신의주시|신의주]]에 상륙하였고, 다음날 8월 9일 [[만주]] 부근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8월 6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의 [[상하이시|상하이]] 결승전 취소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다. 또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9&news_seq_no=1092948|2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되었으며, [[제주도]]와 [[전라남도]]의 피해가 유난히 심각했다. 가거도의 방파제가 파손되고, 27만 여 가구가 정전되었으며,[* 복구율은 90%로 높은 수준.]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8080939304100|항공기 결항이 속출]]하였고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02827|제주도 관광객은 발이 묶였다]].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600년 된 팽나무가 쓰러져 그 밑에 있던 일관헌[* 조선시대의 관청으로 지금의 군청 정도로 보면 된다.]이 거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008445|반파되어 복구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관헌은 원형이 크게 변형되었던 것을 1975년에 복원하였으나 이후 복원이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있어 왔는데,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435|태풍 피해를 계기로 새로 복원하기로 했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24.32.17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