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민영방송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유럽의 민영방송 == 영국, 룩셈부르크, 핀란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라디오 방송 태동기부터 "전파는 공공의 몫"이란 명목하에 국가가 독점하는 것을 당연시해왔기 때문에 민영방송이란 개념은 꿈도 꾸지 못했고, 서유럽은 공영독점, 동유럽은 국영독점 형태로 방송체계가 형성되었다. 그러다 [[68운동|격동의 시기인]] 1960년대부터 국공영 독점 체제에 반발하는 분위기가 생겨났고 자유라디오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는데,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소규모 공동체 라디오(community radio)의 형태였으며 영국과 네덜란드에서는 북해 한가운데에다 배를 띄우고 방송하는 형태였다. 물론 불법이라 '해적 라디오'(pirate radio)로도 불렸고 정부 당국에 걸려서 강제 폐국되거나 전파가 차단당하는 등의 일도 있었다. 그럼에도 인터넷이 없던 그 시절에는 당대의 최신 음악을 돈 안 내고 들을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인지라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1970년대 초까지도 이런 해적방송과 정부 당국의 팽팽한 숨바꼭질 줄다리기가 이어지곤 했다. 1970년대 이후 공해(公海)를 이용한 해상 송출이 법으로 금지되자 도시 한복판 임대아파트(tower block)에 자유라디오 방송국을 차리는 일이 생겨나기도 했다. 영국의 경우 [[ITV(영국)|합법적인 민영방송]]이 있었지만 규제 기관인 ITA로부터 TV 광고를 독점하는 대가로 BBC 수준의 공영성을 요구받았고, 그렇지 못하면 방송 면허를 박탈당했다. 여기에 당시 음악을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였던 라디오는 모두 BBC 소유였기 때문에 락 같은 젊은이 취향의 음악은 꿈도 못 꿨다. 때문에 당대 젊은이들은 해적방송에 크게 열광했다고 하며, 이러한 상황을 다룬 영화가 바로 [[http://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51066|락앤롤 보트]]이다. 결국 정부는 당근과 채찍 작전으로 단속을 강화하는 대신 운영자들 상당수를 공영방송에서 받아주고 록 음악을 위한 방송 시간을 더 늘리는 방법[*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채널이 [[BBC Radio 1]]이다.]과 민영 라디오 방송을 허가할 수밖에 없었다.[* 1973년부터 개국한 영국의 민영 라디오 방송은 지역 독립 라디오(Independent Local Radio)라고 해서 보도와 심야시간대 방송을 제외한 모든 방송을 독자 제작하는 소규모 지역 민영방송이었다. 이후 1990년 방송법 개정과 함께 FM 주파수로 방송되는 Classic FM과 BBC에서 이관된 AM 주파수로 방송되는 Absolute Radio, Talksport 등 전국구 민영 라디오 방송국이 등장하였고, 대다수 소규모 지역 민영 라디오들이 경영난을 버티지 못하고 대형 미디어 그룹 산하에 편입되면서 사실상 소수의 라디오 네트워크들이 영국 민영 라디오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 1977년 이탈리아에서 방송전파의 국가 독점은 위헌이란 판결이 나와 합법적으로 민영방송을 차릴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고 1983년에는 프랑스에서도 사회당 정부가 방송 개혁을 공약으로 내세우게 되었으며[* 공동체 라디오, 최성은] 독일 등 타 국가에서도 규제를 풀거나 아예 폐지하였고, 동유럽 공산권이 1990년대에 붕괴된 이후로 동유럽에서도 민영방송이 허가되며 유럽의 국공영 독점 체제는 붕괴되고 민영방송의 전성기가 열리게 되었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18.105.9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