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불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불의 색 == 일반적으로 밝은 오렌지 색이나 붉은색으로 묘사되나, 불꽃의 색은 반응하는 원소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알코올]] 램프의 불은 이론상 정해진 색깔이 없다.[* 원자의 들뜸에서 나오는 파장 대역이 없을 뿐, 불타면서 방출되는 에너지 자체에서 나오는 색깔은 물론 있다.] 원소를 제외하면 온도에 의해 불의 색이 크게 좌우되며[* 온도가 높을수록 파란색, 온도가 낮을수록 빨간 색을 띈다. ] , 불이 내는 파장대역은 플랑크의 흑체복사 법칙을 따라간다. 다만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온도의 불에서 나오는 빛은 온도에 의한 열복사가 아니라 화학 반응에서 방출되는 빛으로 플랑크의 흑체복사 법칙에서의 색과는 다르다. 그러니까 가스레인지의 파란색 불이 아래처럼 수십만도의 온도를 나타내진 않는다.[* 그래도 겉불은 적어도 천도는 넘는다.] 이외에도 위에 나와있듯 연소물질 안에 든 금속원소 등에 의해서도 다양한 색의 빛이 나온다. 다시 플랑크의 복사법칙으로 돌아가면, 사람 눈에 보이는 지배적인 파장대역은 [[적색]] → [[주황색]] → [[노란색]] → [[흰색]] → 연청색 순으로 가다가 파란색에서 가장 높아진다. 점점 뜨거워지면 [[바이올렛]]이 되는데, 청자색에만 도달하는 데도 수만도의 온도가 필요하다. 그런 온도에서는 [[자외선]]부터 시작해서 천문학 스케일에서는 '''[[X선]]'''을 내는 경우도 많은 등, 기계로나 계측이 가능한 '색깔'이 파란색, 보라색 등 눈에 보이는 파장보다 훨씬 지배적이며 그쪽 대역의 빛은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온도가 높아진다고 긴 파장대의 빛이 안 나오는 것은 아니며, 전체 광자 중 눈에 보이는 파장대역의 지분이 줄어들 뿐이므로 인간의 눈에는 여전히 청색 계열로 보이고 온도가 더 올라가면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이 평준화되어 다시 백색이 된다.[* 10만도 내외인 백색 왜성이 그 경우] 온도가 끊임없이 높아지면 빛이 '''[[검은색]]'''이 된다는 얘기도 있는데, 최대복사 파장이 파란색에서 자외선으로 넘어가는 부근의 온도에서는[* 약 수만 도~수십만 도] 온도가 높아질수록 어두워지는 게 사실이다. 이 대역에서는 실제로 가시광선이 차지하는 에너지 크기가 작아지기는 하나 온도가 더욱 올라가면 다시 커지므로[* 볼츠만 분포를 따르는 일반 물체에 한해서 - 특정 조건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준위를 가지는 물질은 제외한다.] 온도가 높을 수록 어둡다는 말은 틀리다. 검은 불을 악마의 불이라느니, 주변의 빛도 흡수하여 태운다느니 한다는 소리는 어디까지나 판타지. 핵폭발은 1억도, 초신성 폭발은 10억도가 넘는데 둘다 (압도적인 밝기의) 흰색으로 보인다. ~~가까이서 보면 눈이 타버려서 검은색으로 보인다~~ 다만 특정 조건을 만족시켜 자외선이나 X선, 감마선만 내뿜도록 한다면 에너지는 매우 높지만 검은 불이라 부를 수 있기는 하다. 블랙홀이 그 경우.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16.131.15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