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불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기타 == 똑같은 온도의 불이어도 무엇으로 태우느냐에 따라 연료에서 방출되는 물질들이 달라져서 음식의 맛이 달라진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온도 조절이 비교적 자유로운 가스불이 있는데도 굳이 숯불이나 짚불로 요리하는 것도 훈연을 통해 맛을 배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 한다. 여기엔 다른 이유가 더 있는데, 수소가 들어있는 대부분의 연료를 연소시킬 경우 물(H2O)이 발생한다. 조리법에 따라선[* 특히 가스 오븐] 물이 음식 맛에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사실 이런 것 때문에 아직도 연탄구이가 성행하는데, 연탄의 재료가 [[석탄]]이므로 몸에 썩 좋은 조리법은 아니다. 게다가 탄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매우 싫어한다. 그래서 이런 번잡함 없이 훈연한 맛을 내려고 목초액에서 기반하는 바베큐향 훈연향료를 음식에 투입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시판 소세지, 햄, 베이컨 류에는 모두 훈연향이 첨가되어 있다.] 어린이들을 위한 과학교육책에 따르면 무엇으로 태운 불이냐에 따라 대류열인지 복사열인지가 구분되는데, 가스는 대류열이고 숯은 복사열이기 때문에 맛이 다르다고 한다. [[조로아스터교]]의 숭배 대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중국에서 조로아스터교의 명칭은 배화교(拜火敎)였다. 신앙과는 별개로 불의 여러 특성(온기, 불꽃의 색깔과 타오르는 모양 등) 때문에 더러 사람들을 들뜨게 하는 작용도 한다. 캠프파이어 등에서 사람들이 특히 평소보다 열광한다거나 또는 촛불 등으로 분위기를 띄우거나 등등. 비유적 표현으로 쓰이는 [[물]]과는 반대로, 어려움이나 강렬함, 괴로움 등의 의미를 가진 접두사로도 사용된다.(예시: 불같은 호통, 불주사, [[불수능]], 불[[모의고사|모의]] 등) [[불장난]]을 하면 밤에 오줌 싼다는 옛말이 있는데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촛불이나 가스버너의 불의 경우, 겉보기에는 불꽃이 보이는 범위 전체가 불에 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불이 없는 텅 빈 구간이 있다고 한다. 왜인지는 몰라도 [[북한|윗쪽 동네]]에서 정말 좋아하는 단어다. 불바다, 불지옥 등...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16.131.15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