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사과문 (r4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사과를 요구할 때/사과문을 읽을 때 == * '''미숙함과 악의를 구분한다.''' 잘못이 일어났을 때 무조건 악의가 담겨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아주 많은 경우에 잘못은 실수 혹은 무지에서 비롯된 미숙함이며, 부드럽고 가볍게 타이르면 대개는 잘못을 깨닫고 깊게 반성해서 다시는 같은 잘못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다. 이렇게 서로 좋게 끝날 수 있는 문제를 무조건 악의라고 해석해서 공개적으로 망신을 주고 일을 키워 상처를 주는 것은 정상적인 처사가 아니다. * '''사과문은 고문 수단이 아니다.''' 공론화와 마찬가지로 사과문을 요구하는 것은 상대에게 증오를 표출하고 복수하기 위함이 아니다. 사과문은 상대가 반성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며, 혹시 자신이 사과문을 요구할 때 상대를 괴롭히겠다는 목적으로 하는 건 아닌지 면밀히 생각해봐야 한다. 무조건적인 공론화와 여론 조장, 조리돌림과 뒷담화 등 사회적 폭력은 피에 피로 복수하겠다는, 증오를 쏟아내기 위한 폭력의 영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 '''사과를 강요하지 말자.''' 앞서 말했듯 민주 사회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과는 강요될 수 없다. 방법이야 어찌되든 잘못된 사람에게 고통을 주기만 한다면 괜찮다는 사고방식은 민주사회에서 허용되지 않는다. 은폐된 사건을 공론화시켜 공정한 재판을 이끌어내 법적으로 처벌할지언정, 사과를 강요할 수는 없다. * '''무엇이 문제인지 명시한다.''' 가해자에게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서 맞춰보라는 식의 사과 요구는 옳지 못하다. 정확히 어떤 것에 대해서 어떤 이유로 반성을 요구하는 건지 알려주는 것이 좋다. * '''누구에게 사과해야 하는지 명시한다.''' 제3자들이 피해자를 대신하여 사과를 요구할 때, 무작정 공론화가 이어지고 지나친 [[감정이입]]을 통해 마치 제3자 자신이 피해자가 된 것처럼 착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가해자 또한 사과 대상자를 착각하고 다수 여론에 떠밀려 엉뚱한 제3자에게 사과하게 된다. 제3자들도 또 다른 가해자가 될 수 있다. 제3자가 사과를 요구할 때는 사과 요구자 자신이 피해자가 아님을 확실히 인지하고 감정이입보다는 이성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며, 가해자가 사과 요구자들이 아닌 피해자에게 사과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 '''조롱하지 않는다. 위협은 자제한다.''' 가해자를 채근할 때 조롱과 일방적 비난은 오히려 가해자가 겁을 먹어 현실부정으로 몰고 가기 쉽다. 진심 어린 사과를 받고싶다면 일방적인 증오와 조롱보다는 왜 속상했는지 차분한 어조로 설명하는 것이 좋다. 완전히 감정적 색채를 지우자는 것이 아니라, 상대편에서 위협을 느낄만한 언행은 자제하는 것이 원만한 반성과 사과를 얻어내는 지름길이다. 정의 구현과 피해자 신분을 이용해서 복수와 폭력을 정당화해서는 안된다. 상대방이 반성을 거부하더라도 반말조로 조롱을 해서는 안 된다.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사과 강요가 되어서는 안 되며, 최소한의 예의는 그 어떤 상대에게도 반드시 지켜야만 한다는 점을 명심하는 게 좋다. * '''진정성을 보자.''' 아래 이미지에서 말하는 '쓰면 안되는 용어', '써야하는 내용'을 위반했더라도 다른 곳에서 진정성이 보인다면 받아들일 수 있어야한다. 중요한 것은 상대방의 진정성이지 사과문의 공식과 문법, 내 맘에 드는지 여부가 아니다. 사과문을 통해서 상대방이 잘못을 깨우쳤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지, 피해자 비위를 잘 맞춰줬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다. 사과문을 채점하는 태도는 옳지 못하며, 지엽적으로 해석해서 전체를 보는 능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21.43.72)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