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사과문 (r4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4과문 ==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거나, 반성하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 아닌 단순히 당장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쓴 사과문을 조롱하는 의미의 속어이다. 숫자 4를 '사' 대신 붙여 4과문이라고 한다. 보통 연예계에서 문제를 일으킨 인물이 사과문을 발표할 경우 십중팔구, 아니 '''거의 100%'''[* 팬덤이 강하거나, 엄청나게 오래 자숙하거나, 유튜버의 경우 아예 수익 창출을 포기할 각오하고 모든 영상을 내리는 등 진심으로 사죄를 하는 마음을 보이거나, 잘못에 대한 대가를 치루는 경우 오히려 동정 여론이 훨씬 많아진다. 대표적으로 엄청나게 오래 자숙하고 건강에 문제가 있어 보이는 수준까지 간 [[감스트]] 등이 이러한 사례이다. [[케인(인터넷 방송인)|케인]]같이 사과 이후의 행보로 대중에게 진정성이 전달된 경우 사과문을 읽는 영상이 밈이 되기도 한다.][* 다만 연예인이나 정치인등이 이런 사과문에 조심스러울수밖에 없는이유는 위치상 사과문 자체는 '''의혹이 나온 시점'''에서 내놔야 하는데, 이경우 아직 '''의혹'''단계인 사건을 본인이 사실로 인정해버리는 증거가 될 수도 있어 조심스러울수 밖에 없다. 거기다 정말 무고하지만 일단 급한불이라도 끄자는 생각에 사과문으로 인정을 해버리면, 후일 무고가 밝혀지더라도 사람들은 사과문에서 이미 스스로 자백했다며 후일 밝혀지는 무고함을 믿어주지 않는다.] 4과문이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그러나 당연히 사과문을 쓰지 않는 것보다는 여론이 좋아진다. 물론, 사과문이라는 명목 하에 잘못이 무엇인지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피해자를 돌려까는 등의, '당장의 비판을 모면하려는' 시도로 여겨지는 심각하게 질이 나쁜 사과문을 작성할 시 작성하지 않은 것보다도 여론이 나빠지며 심각하면 아예 매장당할 수도 있다.] 남을 조롱하거나 사과를 받는 대상을 은근히 비방하는 사과문을 일컬으며 이를 작성하게 되면 '안하느니만도 못 한' 뭇매를 맞는다. 유래는 2016년 [[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 당시의 [[메갈리아4]]를 지지하던 인사들의 형식적인 사과문을 [[4의 일족]] 드립의 일환으로 '(제대로 된) 사과문이 아니다' 라는 의미로 숫자 4를 넣어 '''4'''과문으로 부르던 것. '사과'와 '문'의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사과|Apple]] [[문|Door]][* 이 쪽은 [[숲튽훈]]드립에서 유래했다.]라는 표현도 가끔 등장한다. 물론 글 뿐만 아니라 언론에 공개되는 정치인들의 사과들도 대부분 4과문으로 받아들여져 화를 재촉하는 경우도 많다. 넷마블이 [[한국 Fate/Grand Order 2021년 근하신년 스타트 대시 캠페인 중단 사태]]에서 유저들의 분노를 진정시키긴커녕 오히려 촉발시키기만 하는 사과문을 5차 이상 발표하면서 5과문 드립이 생겼다. [[https://arca.live/b/dogdrip/19883341|#]] 심지어 이 사건에선 게임계에서 유저들을 진정시킬 때 주는 보상을 뜻하는 은어인 사료와 4과문 드립을 응용해서, 유저들을 분노케 하여 무마시킬 수 없을 지경의 효과가 떨어진 사료를 4료라고 하는 드립까지 생겼다. 유튜버이자 스트리머 [[보물창고]]는 [[보물창고-이승빈 합방 거부 사건]]이 터져 사과 방송을 키게 되는데, 문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성의 없이 사과를 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21.43.72)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