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성탄절 (r9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날짜 == ||<-2><bgcolor=#fff> [[파일:유럽 성탄절 공휴일 날짜.png|width=100%]] || ||<-2> 유럽의 나라별 성탄절 공휴일 날짜 || ||<bgcolor=#2c73a3> ||[[12월 25일]] ([[그레고리력]]) || ||<bgcolor=#399639> ||1월 7일 (기존 [[율리우스력]]) || ||<bgcolor=#ea8429> ||1월 6일 ([[그레고리력]]의 예수 공현 대축일) || ||<bgcolor=#bd3132> ||공휴일이 아님 || ||<bgcolor=#845850> ||지역에 따라 다름 || 보편적으로는 [[12월 25일]]에 기념하지만 [[정교회]]권 국가들 중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조지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와 같이 기존 [[율리우스력]]을 고수하는 국가들은 1월 7일에 기념한다. 이는 [[그레고리력]]의 1월 7일이 기존 율리우스력에선 12월 25일이기 때문이다. 같은 정교회권 국가라 하더라도 [[그리스]], [[키프로스]], [[루마니아]], [[불가리아]]는 서방의 그레고리력을 받아들여서 평범하게 12월 25일이 성탄절이다. 율리우스력을 쓰는 우크라이나와 그레고리력을 쓰는 루마니아 사이에 끼인 [[몰도바]]는 달력에 관해 논쟁 중인데 일단 양측 성탄절 모두 공휴일로 [[https://publicholidays.eu/moldova/|지정되었다.]] 국가별로도 날짜 차이가 나는데 [[헝가리]]가 가장 빠르고 [[우크라이나]]가 가장 늦다. '''X-mas'''란 말은 [[그리스어]]로 그리스도를 뜻하는 '''Χ'''ΡΙΣΤΟΣ(크리스토스 또는 흐리스토스)의 첫 문자 Χ([[키]] 또는 [[히]])를 따 줄인 말이다. 이 형태의 줄임말은 중세 시대부터 사용될 만큼 오래되었다. 영어권에서 이를 종종 표기대로 '''엑스마스'''라고도 읽는데, 본래는 '''크리스마스'''로 읽는 것이 정확하다. 물론 X-mas는 애초 속어에 가깝기 때문에 크리스마스, 엑스마스 둘 다 허용된다.[* 어째 한국에서는 '엑스마스'라고 읽는 것이 잘못됐다고 와전되어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영어 원어민들 역시 이렇게 발음할 때가 있으므로 잘못된 것은 아니며, 단지 일부 기독교 신자들이 약간 불경하게 볼 뿐이다.] 어쨌든 '''영문 알파벳의 X는 아니란 것 정도는 알아두면''' 된다. [[http://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Xmas?q=xmas|옥스퍼드 영어 사전]]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xmas|메리엄-웹스터 영어사전]] [[http://www.merriam-webster.com/audio.php?file=xmas0001&word=Xmas&text=%5C%3CSPAN%20class%3Dunicode%3E%CB%88%3C%2FSPAN%3Ekris-m%C9%99s%20%3CEM%3Ealso%3C%2FEM%3E%20%3CSPAN%20class%3Dunicode%3E%CB%88%3C%2FSPAN%3Eeks-m%C9%99s%5C|발음 재생]] 다만 어퍼스트로피를 쓴 X'mas는 [[재플리시|일본식 표기]]이고, 영어권에서는 Xmas로 붙이거나 X-mas처럼 하이픈을 쓴 것만 인정한다. [[유대교]]를 신봉하는 [[유대인]]들은 예수를 특별한 인물(메시아 내지는 신)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성탄절을 따로 지내지 않으나 성탄 시기에 유대교의 명절인 [[하누카]](수전절)[* 12월 25일부터 8일간 이어진다.]가 있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하누카를 '유대인들의 성탄절'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하누카는 성탄절과 관계가 없다. 어쨌든 날짜가 비슷하기 때문에 같이 축하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세속주의적인 정치인들이 유대인 등 타 종교인들을 배려해서 '메리 크리스마스' 대신 의미를 조금 희석시켜서 'Happy Holidays(즐거운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라고 인사하는 경우가 있는데, [[버락 오바마]]가 미국 전역에 이를 유행시키면서 2010년대부터는 메리 크리스마스가 사람들 사이에서 잘 불려지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더 나아가 영국에서는 아예 크리스마스 연휴 기간을 '겨울 축제 기간(Winter Festival Season)'이라고 부르며 종교적인 의미가 담긴 holyday라는 말마저 쓰지 않는 완벽한 종교중립적 캠페인을 벌인 적도 있었다. [[크리스마스 캐롤]]의 시작점이 된 나라이니만큼 대차게 실패하긴 했지만. 위의 두 일화에서 볼 수 있듯이, 근현대에 와서 성탄절은 종교적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그냥 연말에 성대한 행사를 하는 공휴일 기간이라는 느낌이 더 강하다. 많은 사람들은 기독교 신앙과 무관하게 성탄절 문화를 즐기고 있으며, 기독교 내에서 보내는 성탄절은 세속적인 성탄절과는 또 다른 분위기다. [[북반구]]에서는 [[겨울]]에, [[남반구]]에서는 [[여름]]에 이 날을 맞는다.[* 한국의 대중 매체에서 성탄절이 나오면 썰매, 눈, 두터운 외투를 입은 산타 할아버지 등이 나오는데, [[호주]]의 대중 매체에서 성탄절이 나오면 강렬한 햇빛, 해수욕장, 반바지 등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 계절 구분의 의미가 없는 열대 지방은 [[북반구]]에서는 건기, [[남반구]]에서는 [[우기]]에 성탄절이 온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날을 공휴일로 정하였는데, [[아시아]]에서는 특이한 경우로 꼽힌다. [[대만]]은 이 날이 행헌기념일로 2000년까지 공휴일이였다. 다만, 기독교계 미션스쿨은 여전히 쉰다고 한다. [[중국]]과 [[일본]], [[북한]]에서도 휴일이 아니다.[* 이런 점 때문에 중국인이나 일본인들은 한국에 유학 혹은 출장을 와서야 성탄절 휴일을 보낼 수 있고, 북한 이탈주민들은 남한으로 넘어온 뒤에야 성탄절이라는 존재를 알게 된다.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속초시]], [[연천군]] 등 과거 북한 치하였던 지역이 고향인 할머니나 할아버지들 중 어린 시절 자신의 고향이 북한 치하였던 탓에 성탄절에 쉬지도 못하고 학교에 갔다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 많은 나라에서 성탄절을 즈음해서 방학을 하는데, 한국은 전통적으로 성탄절 근방에 겨울방학을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한국은 3월 신학기제이기 때문에 성탄절은 무조건 2학기에 들지만.[* 반대로 중국, 대만, 그리고 유럽 국가는 성탄절이 1학기이다.] 400년 동안 성탄절이 올 수 있는 요일과 그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성탄절이 주말(토, 일요일)이 되는 경우와 연휴(월, 금요일)가 되는 경우는 400년 동안 114번 (28.5%)으로 완전히 같다. 또한 성탄절부터 12월 31일까지의 모든 요일은 그 해의 마지막 요일이 된다.[* 그래서 [[새해 첫날]], 1월 1일은 성탄절과 같은 요일이다.] * [[일요일]]: 58번 (14.5%) - 성탄절은 그 해 마지막 일요일, 12월 31일은 마지막 토요일 * [[월요일]]: 56번 (14%) - 성탄절은 그 해 마지막 월요일, 12월 31일은 마지막 일요일 * [[화요일]]: 58번 (14.5%) - 성탄절은 그 해 마지막 화요일, 12월 31일은 마지막 월요일 * [[수요일]]: 57번 (14.25%) - 성탄절은 그 해 마지막 수요일, 12월 31일은 마지막 화요일 * [[목요일]]: 57번 (14.25%) - 성탄절은 그 해 마지막 목요일, 12월 31일은 마지막 수요일 * [[금요일]]: 58번 (14.5%) - 성탄절은 그 해 마지막 금요일, 12월 31일은 마지막 목요일 * [[토요일]]: 56번 (14%) - 성탄절은 그 해 마지막 토요일, 12월 31일은 마지막 금요일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21.43.72)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