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양띵/사건사고 (r3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SCP-CB]] ==== [[http://www.dailymotion.com/video/x3jm600|SCP 양띵에디션 1편(데일리모션)]] [[http://www.dailymotion.com/video/x3jm5es_양띵-심장주의-무서운-공포게임-scp-양띵에디션-2편-완결-scp-containment-breach_videogames|SCP 양띵에디션 2편(데일리모션)]] 앞서 소개한 아오오니 변형 게임 방송 논란과도 비슷한 케이스이다. 무슨 내용인지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해외에 존재하는 위키 중 비 과학적 생물체나 괴물을 격리, 연구하는 [[SCP 재단]]이라는 가공의 기관을 세계관으로 다루는 [[SCP-CB]]라는 게임이 있다. SCP 재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SCP 재단/세계관]] 참고. 그런데 한 양띵의 팬이 SCP-CB 란것의 텍스쳐 파일을 개조하고[* 애초에 텍스쳐나 사운드 파일이 암호화 되어 있지 않기에 누구나 쉽게 수정 가능하다.] 양띵에게 플레이 해달라고 부탁하였다. 어느 정도 수준이냐면 [[http://ko.scp-wiki.net/scp-173|SCP-173]][[https://librewiki.net/wiki/SCP-173|(해설)]]은 모델링도 하지 않은 채 '''그냥 텍스쳐 파일을 그림판으로 거의 발합성 수준으로 수정하였다.''' SCP-CB 게임 리소스 파일 자체가 모델링이나 텍스쳐가 암호화 되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이 정도 퀄리티는 그림판만 있으면 쉽게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리고 SCP-173의 격리실, SCP-173 텍스쳐, 메인 화면에 깜박이는 양띵 사진, 플레이어 캐릭터 사망 시 사운드를 양띵 비명 소리로 교체한 것 이 4개를 제외하면 '''바뀐 건 아무것도 없다.'''[* 물론 있을지도 모르지만 최소한 양띵 플레이 영상 내에서 보여진 것 중엔 없다.] 양띵은 상당히 저급한 게임 수준의 팬 게임을 올린 것 보다 더 심각한 행동을 저질렀는데, 바로 '''해당 유튜브 영상에서 'SCP 양띵에디션' 이라는 이름을 표기해버리고 'SCP: Containment Breach' 라는 원작의 이름을 표기하지 않았었다는 것.''' 이게 왜 문제가 되었냐면 [[SCP-CB]]의 라이센스는 '저작자 표시 - 동일 조건 변경 허락 Unported 3.0 라이선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이다. 즉 저작권자를 표기한다면 게임 리소스 파일을 개조하거나 게임을 방송하여 수익을 벌어들이는 영리 목적 사용은 가능하다는 소리다. 앞서 소개한 일반인 블로거가 만든 패러디물의 경우 블로거가 원작의 이름을 표기하였을 뿐더러 아예 배포한 리소스 파일 자체에 txt 파일로 원작을 표기하였다. 허나, 양띵은 [[그런 거 없다]]. 유튜브 영상 및 유튜브 페이지 어디에서도 게임 원제인 'SCP: Containment Breach'를 찾아볼 수 없었으며 아주 일부분만 수정해놓고 'SCP 양띵에디션' 이란 이름으로 표기한 수준이면 '''저작권법 위반이다.'''[* 물론 게임에 원제가 나오는 장면이 하나 있긴 하다. 당연히 '''게임 메인 화면''', 보통 저작권자 표기는 영상 초반이나 영상 맨 마지막 크레딧으로 써놓는 게 정상수준이다.] 거기에 '''이 게임을 하다가 [[루머|초등학생이 죽었다]]'''는 근거없는 루머까지 퍼트린 것을 보면 게임에 대한 모독에 가까운 수준이다. 양띵 본인이 근거없는 소리를 하는데 [[띵덕]]들은 어떻겠는가? 해당 유튜브 영상의 댓글란에 띵덕들이 [[SCP]]란 것은 실존하며 실제로 존재하는 SCP를 게임으로 만들었다고 하질 않나 심지어 [[SCP 재단]]이 회사라는 소리를 하지 않나--[[가공의 기업]]--, 이 SCP-173 사건은 실화이며 실화를 모티브로 한 사건이고 그 중 2명은 죽고 1명은 정신병자로 발견되었다거나 하는 말도 안되는 댓글들이 넘쳐난다. 실제 과거 양띵이 [[마인크래프트]] 포탈건 모드를 플레이 했을 때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는데 띵덕들이 [[포탈건]]은 [[게리모드]]에 나오는 것이라든가 [[포탈(게임)]]이 마인크래프트 포탈건 모드를 기반으로 게임화 한 것이라든가 [[Still Alive]]는 애니 브금이라던가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였다. 또한 띵덕들은 포탈건이 퍼펙트 드럼이라 게임에 나오는 물건이라는 낭설을 하기까지 했다. 결국 양띵이 이런 저작권 문제의 대한 지적을 인식했는지 뒤늦게 유튜브 제목에 'SCP: Containment Breach'를 달았다. 따라서 지금 유튜브 영상에 들어가면 게임 제목이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위의 아오오니 부분까지 보면 알겠지만 양띵은 아무도 지적을 안하면 자신의 잘못을 평생 모르는 것, 이렇기 때문에 문제점을 지적하는 비판이 중요한데 [[띵덕]]들은 비판도 비난이라며 하지 말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사실 [[SCP-CB]]가 이러한 변형이나 2차 창작을 금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SCP-CB]]는 오히려 2차 창작 모드를 허용하고 있으며 [[http://undertowgames.com/forum/viewforum.php?f=11|모드와 관련한 공식 포럼]]도 존재할 정도다. 하지만 양띵이 비판을 받는 이유는 우선 '게임의 원제를 표기하지 않아서' CCL을 위반했다는 점. 물론 저작권 논란이 일어나자 뒤늦게 게임의 출처를 표기하긴 하였으나, 이 저작권 문제와 별도로 생각해봐도 애초에 '모드'라는 이름이 아까울 정도로 퀄리티가 발퀄리티 수준이다. 모델링은 존재하지도 않은 채 텍스쳐 파일을 그림판으로 조잡하게 수정한 데다 어정쩡하게 사운드 파일만 갈아끼운 가히 초딩이 만든 수준의 저급 퀄리티 변형물에 '양띵 에디션'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니 가관일 따름. 양띵팬의 문제도 그렇지만 CCL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조차 없는 데다가 그 모드의 퀄리티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사전에 조사해 보지도 않은 양띵의 미흡한 정보 수집 능력 역시 비판거리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3.213.242)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