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지상파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해결 방안 ==== >많은 분들이 '지상파 TV는 끝났다'고 말하지만 저는 우리 사원들에게 늘 이렇게 얘기합니다. ''''MBC는 이제 지상파 TV가 아니다. 지상파 채널을 소유한 글로벌 미디어 그룹이다.\''''[* 마찬가지로 [[월트 디즈니 컴퍼니]]도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소유한 글로벌 미디어 그룹을 표방한다.] >---- >[[박성제]] 페이스북 계정에 작성된 [[설날]] 인사 중 일부 [[https://www.dogdrip.net/dogdrip/460236542|#]][* [[설날]] 인사에 언급된 [[피지컬: 100]]은 문서에도 나와있다시피 MBC와 장호기 PD가 제작했다.] 2021년 지상파 방송사들은 [[유튜브]], [[OTT]] 등에 14F, 엠빅뉴스같은 디지털 전용 컨텐츠는 물론이고 2000년대 이전에 방송됐던 구작을 올리는가 하면 트레이서 등과 같이 스트리밍은 TV채널에서 볼 수 있지만 다시보기는 OTT로만 되는 신작을 판매하면서 높은 실적을 거뒀다. [[http://m.journalist.or.kr/m/m_article.html?no=50652|#]] SBS가 연결 기준 매출 1조 원, 영업이익 1800억 원을 기록하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고 MBC마저도 영업이익이 1000억 원대를 바라보고 있다. [[https://www.google.com/amp/s/m.kr.investing.com/news/economy/article-760447%3fampMode=1|#]] 이는 TV 방송사들이 더는 광고매출에만 의존하지 않고 유튜브에서의 채널 운영을 통해 얻는 수입이나 OTT 오리지널 프로그램 공동제작 참여 등을 하며 판권 매출을 통해 수익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SBS는 매출 중 광고매출의 비중이 50%를 하회하고 판권매출이 과반을 차지하여 일반적인 TV 방송사의 틀에서 벗어나 콘텐츠 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08/0002990930|#]] 지상파가 [[트로트]] 열풍에 편승하는 등 중장년층에 집중하고 있다고는 하나 그래도 젊은층을 완전히 배제했다고 보기도 어렵다. 오히려 TV조선, MBN과 같은 종합편성채널이 지상파보다 중장년층 위주의 프로그램을 더 많이 제작한다. 중장년층 대상 프로그램이 늘어난 것은 수익 다변화 전략의 일환인 것이다. 또한 10대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아이돌 콘텐츠의 경우 여전히 지상파가 [[OTT]]보다 우위에 있다.[* 물론 지상파의 마지막 보루인 아이돌 콘텐츠조차 [[OTT]]에 잠식당할 날이 멀지 않았지만...] 다만 [[음악 방송]] 자체가 시청률이 처참해 유튜브에 올려 대부분 수익을 거두는 것도 사실이다. 아예 방송 분야를 계열사로 분리하고 [[미국]]의 [[월트 디즈니 컴퍼니|디즈니]]나 워너 미디어 같은 복합 미디어 회사로 전환하는 것도 방법이긴 하겠지만, 현재 한국의 지상파 방송사 모두 자금 상황이 별로 좋지 못한 상황이고[* KBS는 2024년 1분기 기준 455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SBS는 동 분기 150억 원 가량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다 [[2023년 태영건설 부도 위기|2023년 촉발된 관계사 태영건설 경영 위기]]의 격랑에 같이 휩쓸리면서 결국 2분기부터 사장이 비상경영을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그나마 MBC가 컨텐츠 부문에서의 활약으로 동 분기 순이익 53억 원의 흑자를 내며 선전한 편.[[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8856|#]]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236&page=2&total=576|#]]] 정부 또는 공공기관의 출자를 받은 방송사가 많기에[* KBS와 EBS는 공기업이고, MBC는 명목상으로는 사기업이나 [[방송문화진흥회|공공기관]]의 출자를 받았기에 사실상 공기업에 해당한다. 물론 그 공공기관은 MBC에 돈 한 푼 쓰지 않고 주식을 양도받기만 했지만 말이다.] 정부 차원에서 민영화라도 시행하지 않는 이상 독자적으로 사업 구조를 변경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 문제에서 자유로운 종합편성과 채널사업자의 경우는 미디어 그룹의 계열사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흔하다.[* 대표적으로 CJ ENM, 중앙그룹.] 이외에도 지상파는 대기업의 지분이 10% 이하로 제한되고 외국인의 소유가 원천 차단되는 등 아예 돈 벌지 말라고 하는 규제가 2022년 이후에도 거듭 가해진다. 한편으로는 지상파 3사가 뭉쳐서 만들어진 OTT [[Wavve]]가 적자와 경쟁력 문제를 야기하지만, 2023년 7월 [[TVING]]과의 대통합을 타진 중이라서, 성사 후 모습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18.105.9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