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삭제 역사 ACL 지상파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공영방송]] === 공공방송과 혼용되는 용어로 공영방송이 있으며, 공영방송과 공공방송(공중파)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 [[공영방송]]: '''운영 주체에 따른 구분으로,''' 특정 집단에 의한 언론 독점을 막기 위해 중립성과 독립성을 지키는 방송 기관이다. 주로 정부 협력 기관이나 공익적 언론 단체에서 운영한다. 반의어는 [[민영방송]]이다. [[한국방송공사|KBS]][* [[MBC]]도 공영방송은 맞는데 조금 애매하다. KBS는 [[대한민국 정부]]가 지분 100%를 소유하지만 MBC는 공기업적 특성을 가진 재단인 [[방송문화진흥회]]이 지분 70%를 소유하고 (나머지 30%는 [[정수장학회]] 소유) 결정적으로 MBC와 MBC 계열의 지방 방송국들은 수신료를 받지 않는다. 그래서 MBC는 광고 수익외에 [[키자니아]](서울)와 [[엠비씨네]](경남) 같은 방송과 관련이 적은 부업 등도 같이 병행한다.]만 봐도 알겠지만 공영방송은 시청률을 많이 신경 쓴다. 상업광고가 있든 없든 일단 인기를 끌어야 수신료 내주는 국민들을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 영국 [[영국방송공사|BBC]]의 경우 시청률을 올리겠다고 여러 사고를 터뜨린 적도 있다(...) * [[공공방송]]: '''운영 목적에 따른 구분으로,''' 시청률에 개의치 않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운영한다. 단점으로는 오너리스크 등의 잠재적 리스크는 둘째치고 최저시급을 잘 지키지 않고 임금체불이 심심치 않게 발생될 정도로 노동환경이 심히 열악하다는 것. 몇몇 공공방송국은 경영난으로 폐국 크리를 맞기도 한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4.2.8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