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11-16 08:54:50
{"inter_wiki": {"위브위키": {"logo": "", "link": "https://weve.wiki/w/"}}}
[[분류:언어학]]
[[분류:언어]]
[목차]
== 개요 ==
[[형태론]]에서 다루는 [[형태소]]의 하나로, 어느 단어의 구성에서 한 형태소가 그 경계는 분명하나 그 형태소가 결합한 다른 예를 찾을 수 없을 때, 이를 유일 형태소(唯一形態素, unique morpheme)라고 한다.
== 상세 ==
형태소에는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가 있는데, 형식형태소는 접사, 어미 등 문법적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조건만 맞으면 여러 어근 뒤에 붙을 수 있다. 실질형태소는 이러한 형식형태소와 결합해 단어 자체의 중심 의미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베다'와 '베개'는 모두 '베-'라는 공통된 의미소가 있는데, 바로 이 부분이 실질형태소이다. 따라서 특정한 실질형태소를 어근으로 지니는 단어의 사례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실질형태소의 뜻을 파악하는 데 용이해진다. 그러나 일부 실질형태소는 단 하나의 용례만을 가져서 의미의 교차검증이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 형태소를 유일형태소라고 한다. '특이형태소', '크랜베리형태소'라고도 한다.
== 사례 ==
=== 한국어 ===
* 오솔: '오솔길'을 이루는 형태소 중 하나인데, '길'은 의미가 뚜렷하지만 '오솔'은 정확히 무엇인지 알기 어렵다.
-오솔하다가 표준국어 대사전에 있으며 오솔길의 '호젓한'의 뜻과 '오솔하다'의 뜻을 고려해 보았을 때 특이형태소 여부가 불확실하다.
* 아름: '아름답다'의 접사 '-답다'를 제외한 어근이다. '-답-(답다)'은 '사람답다', '어른답다'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무엇으로서의 자질이 있음'을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그러나 '아름'은 '사람', '어른'과 달리 그 의미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이것이 쓰인 다른 예를 찾을 수도 없으며, 오로지 '아름다움'과 같이 파생어로서만 의미가 성립한다. 참고로, '한 아름', '두 아름' 할 때의 그 아름과는 다르다.
* 화토: '화톳불'의 '화토'로, 의미상 '모닥불'의 '모닥'처럼 '모아 놓은 것'과 관련이 있어 보이나, 정확히 어원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 악착: '악착같다'의 어근으로, 일반명사인지 고유명사인지조차 불분명하다.
* 득달: '득달같다'의 어근으로, 역시 '악착'과 같은 오리무중의 형태소이다.
* 착: '착하다'의 어근으로, '착'이 좋은 성품을 뜻하는지 무엇을 뜻하는지는 미지수이다.
* 느닷: '느닷없다' 및 '느닷없이'의 어근이다.
* 감쪽: '감쪽같다'의 어근이다. '감의 조각'을 뜻한다는 견해도 있으나, 근거는 없다.
* 안간: '안간힘'의 어근이다. [[고려대학교 한국어대사전|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안간힘’은 ‘안간-힘’으로 분석되는데, '힘'은 무엇인지 알 수 있어도 '안간'은 다른 예를 찾을 수 없어 정확한 의미를 알기 어렵다. 반면,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명사 ‘안’과 명사 ‘간힘[* 숨 쉬는 것을 억지로 참으며 고통을 견디려고 애쓰는 힘.]’이 결합된 합성어로 보아 ‘안-간힘’으로 분석하기에 유일 형태소가 아니다.
* [[을씨년]]: '을사년'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견해가 강한데[* 단, 그렇다고 해도 [[을사조약]]의 연도보다 앞선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오늘날 '을씨년'이라는 형태로 쓰이는 예는 '을씨년스럽다'만이 유일하기 때문에 유일형태소로 볼 수 있다.
참고로, 몇몇 단어는 '악착같이'와 같이 부사화하면 유일형태소가 아닌 것처럼 되지만, 사실 이는 별 의미가 없다. '같이'는 결국 '같다'의 파생형이기 때문에 '악착' 등 해당 어근이 '같-'이라는, 여전히 동일한 형태소와만 결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어원이 밝혀졌거나 유력한 어원이 있다고 해도 오늘날의 사용례가 단 하나밖에 없으면 그 역시 유일형태소이다. 사실, '''의미의 불분명함은 유일형태소의 판별 기준이 아니다'''. 단지 사용례가 극히 제한적이면 그만큼 의미의 교차검증이 힘들어져 뜻을 알기 힘들어지는 때가 많을 뿐이다.
=== 영어 ===
* cran: 'cranberry([[크랜베리]])'에 있는 형태소로, 분명 'cran'과 'berry'로 나눌 수 있어 보이나, 정작 'cran'이 쓰이는 다른 예는 없어서 이것이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없다.
* luke: 'lukewarm(미지근한)'에 있는 형태소로, 'luke'의 뜻을 판단하기 힘들다. 'luke'는 그 기원은 있으나[* 고대 프랑스어의 'leuk'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301&docId=221687374&qb=dW5pcXVlIG1vcnBoZW1l&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TuaKwlpySEhssaMmuZlssssssuN-019807&sid=ZmBhnJ31Xh/Qi3ebEq36qA%3D%3D|참고]].] 현대에는 전혀 다른 예를 알 수 없는 형태소이다. 의미상 그 정도가 약함을 나타낸다 할 수 있겠으나, 다른 예를 찾을 수 없어 'luke'는 'lukewarm'의 범주에서만 그나마 의미를 나타낸다.
=== 기타 언어 ===
||<-1><|2><tablewidth=100%><width=170px><tablebordercolor=#ff9900><tablebgcolor=#ff9900>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로고.png|height=35]] ||<-3><width=400px><bgcolor=#ffffff><:> '''포크 문서''' ||||<:><-3><bgcolor=#ffffff> {{{+3 위 문서의 원문은 [[나무위키]]의 유일형태소(r8 RAW)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