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매크로를 사용해야 합니다.입력 | 출력 | 적용 크기 | 입력 | 출력 | 적용 크기 | 기본 | 기본 | 1em = 0.9rem | 기본 | 기본 | 1em = 0.9rem | {{{+1 텍스트}}} | +1단계 | 1.289em | {{{-1 텍스트}}} | -1단계 | 0.926em | {{{+2 텍스트}}} | +2단계 | 1.389em | {{{-2 텍스트}}} | -2단계 | 0.833em | {{{+3 텍스트}}} | +3단계 | 1.481em | {{{-3 텍스트}}} | -3단계 | 0.742em | {{{+4 텍스트}}} | +4단계 | 1.574em | {{{-4 텍스트}}} | -4단계 | 0.648em | {{{+5 텍스트}}} | +5단계 | 1.667em | {{{-5 텍스트}}} | -5단계 | 0.622em |
[[문서]]
|| 문서 ||문서명에 대괄호([ , ])나 백슬래시(\), 수직선(|)글자가 들어갈 경우 해당 글자마다 앞에 백슬래시(\)를 입력해야 링크가 정상적으로 생성됩니다. |||| 링크 문서와 출력을 다르게 || [[문서|출력글자]]
||<width=70> 출력글자 ||<|2>수직선(|)입력 방법은 | 문서를 참조하십시오.[[문서|]]
, 또는 [[|문서]]
형태의 링크는 추후에 지원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파일에 링크 걸기 || [[문서|[[파일:나무위키:로고2.png]]]]
||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3> 현재 문서 특정 문단으로 링크 걸기 || [[#s-1|1문단으로]]
|| 1문단으로 ||<|3>#뒤에 s-문단 번호 또는 문단명을 입력하면 현재 문서 특정 문단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출력을 지정하지 않으면 앵커명만 출력됩니다.|||| [[#개요]]
|| #개요 |||| [[#개요|개요 문단으로]]
|| 개요 문단으로 ||||<|3> 다른 문서 특정 문단으로 링크 걸기 || [[나무위키#s-6|해당 문단 참조]]
|| 해당 문단 참조 ||<|3>이동할 문서명을 쓰고 #뒤에 s-문단 번호 또는 문단명을 입력하면 해당 문서 특정 문단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출력을 지정하지 않으면 앵커명이 빠지고 문서명만 출력됩니다.[[나무위키#기능]]
|| 나무위키 |||| [[나무위키#기능|해당 문단 참조]]
|| 해당 문단 참조 |||| 현재 문서의 상위 문서 링크 || [[../]]
|| ../ [1] ||상위, 하위 문서는 문서명에 쓰인 /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S/W 개발병 문서에서 [[../]]
를 사용하면 슬래시와 뒷부분을 지운 S 문서로 링크가 가는 등 의도와 다른 링크가 걸릴 수 있습니다.[[../]]
를 사용하면 그냥 링크를 건 문서 자기 자신으로 링크가 걸립니다.[[../]]
가 사용된 문서의 RAW를 복사하여 다른 문서나 토론 창에 붙여넣을 경우 링크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용할 일이 많은 문서(나무위키의 규정 문서 등)에서는 ../ 문법을 이용하기보다는 문서명을 전부 작성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2> 현재 문서의 하위 문서 링크 || [[/심화]]
|| /심화 ||<|2>/을 여러 번 사용하면 하위 문서의 하위 문서도 링크할 수 있습니다.[[/심화/TeX]]
|| /심화/TeX ||||<|3> 외부 페이지 링크 || [[https://goo.gl]]
|| https://goo.gl/ ||기본 링크 |||| [[https://goo.gl/|출력]]
|| 출력 ||링크와 출력이 다른 링크 |||| [[https://goo.g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redirect 목적지 문서
||<|2>목적지 문서의 표제어 맨 뒤를 제외한 위치에 해시(#)가 들어갈 경우 해시 앞에 \를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넘겨주기 목적지 문서
||||<|2> 특정 문단으로 리다이렉트 || #redirect 목적지 문서#s-문단 번호
||<|2>목적지 문서에 해당 앵커나 문단이 없을 경우 문서 최상단으로 리다이렉트됩니다.|||| #redirect 목적지 문서#문단명
||== 이미지 파일 ==파일 업로더를 통해 생성한 파일 문서의 이미지 파일을 문서 내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개변수를 이용해 이미지의 속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문서 내에 출력된 이미지 파일은 해당 이미지 파일의 파일 문서로의 하이퍼링크 기능도 겸합니다.[[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혹은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적용 시 각각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png[코드(아이디)]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rowbgcolor=#00a495><rowcolor=#fff><width=70> 플랫폼 || 입력 || 주소 내 아이디 위치 |||| 유튜브 || [youtube(jNQXAC9IVRw)]
||https://www.youtube.com/watch?v=jNQXAC9IVRw[kakaotv(405064748)]
||https://tv.kakao.com/channel/2661262/cliplink/405064748|||| 니코니코 동화 || [nicovideo(sm8628149)]
||https://www.nicovideo.jp/watch/sm8628149|||| 네이버TV || [include(틀:navertv, i=1369799)]
||https://tv.naver.com/v/1369799|||| 네이버 블로그/카페 동영상 || [include(틀:navervid, vid=XXX, outkey=YYY)]
||https://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XXX&outKey=YYY||||<-3> 이외 플랫폼의 동영상 첨부는 심화 문법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 ||[코드(아이디,매개변수)]
||[youtube(jNQXAC9IVRw,start=8)]
|||| 매개변수 중첩 || [코드(아이디,매개변수1,매개변수2,...)]
||[youtube(jNQXAC9IVRw,width=640,height=360)]
||width=숫자
|| |||| 높이 픽셀 지정 || height=숫자
|| |||| 너비 비율 지정 || width=숫자%
|| 높이(height)는 비율을 지정할 수 없습니다. |||| 시작 시간 지정 || start=초
|| ||||<table align=center>[youtube(jNQXAC9IVRw)]||
||<|2>테이블 안에 동영상을 넣고 테이블을 정렬한 형태입니다. |||| ||<table align=right>[youtube(jNQXAC9IVRw)]||
|||| 틀을 사용한 정렬 지정 || [include(틀:영상 정렬, url=jNQXAC9IVRw)]
||여백 없이 동영상을 중앙에 정렬합니다.= 문단 1 =
|| =# 문단 1 #=
|||| 2단계 || == 문단 1 ==
|| ==# 문단 1 #==
|||| 3단계 || === 문단 2 ===
|| ===# 문단 2 #===
|||| 4단계 || ==== 문단 3 ====
|| ====# 문단 3 #====
|||| 5단계 || ===== 문단 4 =====
|| =====# 문단 4 #=====
|||| 6단계 || ====== 문단 5 ======
|| ======# 문단 5 #======
|| * 1단계 문단은 일반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다만, 사용자 문서에서는 예외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문단명에 대해 일부 텍스트 문법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일반 문서 편집지침 2문단을 참조하십시오. * '==문단==
'과 같이 문단명 앞, 뒤에 공백이 없거나 '== 문단 ==
'과 같이 문법 바깥쪽에 공백이 있을 경우, '== 문단 ===
'처럼 양 옆의 =
개수가 다를 경우 문법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 첫 문단을 == 문단 1 ==
로 사용하였으면 하위 문단은 문단명 양 옆의 =
를 두 개가 아닌 하나만 늘려 작성합니다. 오류 예시 RAW== 리스트 ==리스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문법 앞에 공백(v로 표시)을 넣어 v*
v리스트
또는 v*
리스트
로 입력하며, *
v리스트
나 *
리스트
와 같이 별표(*)앞에 공백을 넣지 않을 경우 문법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각 유형별 리스트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3> v: 공백 |||| 기본 ||v*
v리스트 1
*
v리스트 1.1
*
v리스트 2
*
v리스트 2.1
*
v리스트 2.1.1
|| * 리스트 1 * 리스트 1.1 * 리스트 2 * 리스트 2.1 * 리스트 2.1.1 |||| 숫자 ||v1.
v리스트 1
1.
v리스트 1.1
1.
v리스트 1.1
1.
v리스트 2
1.
v리스트 2.1
|| 1. 리스트 1 1. 리스트1.1 1. 리스트1.2 1. 리스트2 1. 리스트2.1 |||| 대문자 ||vA.
v리스트 1
A.
v리스트 1.1
A.
v리스트 1.1
A.
v리스트 2
A.
v리스트 2.1
|| A. 리스트 1 A. 리스트1.1 A. 리스트1.2 A. 리스트2 A. 리스트2.1 |||| 소문자 ||va.
v리스트 1
a.
v리스트 1.1
a.
v리스트 1.1
a.
v리스트 2
a.
v리스트 2.1
|| a. 리스트 1 a. 리스트1.1 a. 리스트1.2 a. 리스트2 a. 리스트2.1 |||| 로마자 ||vI.
v리스트 1
I.
v리스트 1.1
I.
v리스트 1.1
I.
v리스트 2
I.
v리스트 2.1
|| I. 리스트 1 I. 리스트1.1 I. 리스트1.2 I. 리스트2 I. 리스트2.1 ||하위 리스트의 생성은 줄 앞의 띄어쓰기를 상위 리스트보다 더 많게 입력하면 됩니다. 같은 단계의 리스트여도 띄어쓰기 개수에 따라 간격이 달라집니다.||v*
v리스트 1
*
v리스트 1.1
*
v리스트 2
*
v리스트 2.1
||v*
v리스트 3
*
v리스트3.1
*
v리스트3.2
*
v리스트3.2.1
|||| * 리스트 1 * 리스트1.1 * 리스트2 * 리스트2.1 || *리스트 3 *리스트 3.1 *리스트3.2 *리스트 3.2.1 ||개행을 통해 한 줄 이상을 비워 리스트를 개별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v1.
v리스트 1
1.
v리스트 2
1.
v리스트 1
1.
v리스트 2
|| 1. 리스트 1 1. 리스트 2[br]
매크로나 개행으로 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를 이용하지 않고 개행할 경우, 리스트 앞 공백 개수만큼 개행된 텍스트 앞을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1><width=400px>입력-*
리스트v내에서의 개행v*
매크로를 이용한[br]리스트 내의 개행||<^|1><width=200px>출력1., 2., 3., ...
의 방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리스트를 1.
로 표기합니다. 리스트의 시작하는 숫자를 바꾸고자 할 경우, 리스트 식별자 뒤에 #시작숫자
를 붙입니다.||<^|1><width=200px>입력1.
이 리스트는 1부터 시작합니다.v1.
리스트 (2)v1.
리스트 (3)I.#42
이 리스트는 42 (XLII)부터 시작합니다.vI.
리스트 (XLIII)vI.
리스트 (XLIV)||<^|1><width=200px>출력[각주]
)가 삽입된 위치에 출력되며, 본문의 각주 번호([1])를 클릭할 경우 해당 각주 번호의 각주 위치(앵커)로 이동합니다. 다시 해당 각주의 각주 번호([1])를 클릭할 경우 본문의 각주 번호가 있는 위치로 이동합니다.||<rowbgcolor=#00a495><rowcolor=#fff><width=10%> 유형 ||<width=25%> 입력[*
v텍스트 1]
[*A
v텍스트 2]
[*A]
|| [A][*예시
v텍스트 3]
|| [예시] ||== 인용문 == * 관련 심화 문법 * 인용문 정렬 * 표 안에 인용문 넣기인용문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수평줄 ==본문 중간에 -
문자를 4개 이상, 9개 이하 입력하면 수평줄이 생성됩니다.--- (3개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수평줄이 아닙니다.)------------------------------------------- (10개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수평줄이 아닙니다.)
아래는 실제로 적용한 예시입니다.date
매크로와 Date
매크로 그리고 DATE
매크로는 같게 여겨집니다. 각 매크로에 대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여 주십시오.[include(문서명)]
|| 문서 출력 ||보통 틀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include(틀:틀 이름)]
과 같이 입력합니다. 분류 문서는 include 매크로로 출력할 수 없습니다.@
name
@
형태의 텍스트를 입력한 뒤, 매크로를 호출할 때 [include(문서명,name=value)]
형태로 호출할 경우, 해당 위치에 value
가 삽입됩니다. 이 때 하나의 value에 쉼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대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
대신에 \,
를 사용하면 해결됩니다.[age(YYYY-MM-DD)]
|| 나이 출력 ||생년월일을 입력하여 UTC 기준(KST 기준 9시)으로 자동 갱신되는 만 나이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자동 갱신이 반드시 필요한 프로필 표의 현재 나이 표기 등은 직접 나이를 입력하지 말고 이 매크로를 사용해야 합니다.[date]
또는 [datetime]
|| 접속 시간 출력 ||와 같이 출력됩니다.[dday(YYYY-MM-DD)]
|| 잔여일수 또는[목차]
또는 [tableofcontents]
|| 목차 출력 ||해당 위치에 목차를 출력합니다. 목차에는 볼드, 취소선 등의 텍스트 문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각주]
또는 [footnote]
|| 각주 출력 ||각주를 문서 마지막에 한 번에 출력하는 대신 문서 중간에 출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매크로입니다. 이 매크로가 없어도 기본적으로 각주는 맨 끝에 자동으로 출력되지만, 중간에 이 매크로를 삽입하면 이 매크로가 호출되기 전까지의 각주가 출력됩니다.[br]
|| 줄바꿈 ||한 줄 개행(줄바꿈)의 역할을 하는 <br> html 코드를 출력합니다. 표 안의 텍스트에서 개행을 할 때 필수적입니다. Enter키로 개행하면 대개 표 문법이 훼손되어 정상 출력되지 않지만, Enter 대신 이 매크로를 사용하면 표 안에서 정상적으로 개행을 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내에서 개행을 할 때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본 문서 리스트 문단을 참고하세요. |||| [clearfix]
|| CSS float 속성 초기화 ||정렬된 이미지, 표, 기타 요소 옆 영역에 다른 요소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주로 우측 프로필 표가 길어서 목차 아래 문단을 침범할 때 목차와 문단 사이에 해당 매크로를 넣어서 사용합니다. 사용 예시 과거 있었던 '틀:-'를 매크로로 공식 지원하는 형태입니다. ||||
로 시작해 ||
로 끝납니다. 아래의 경우, 한 줄에 두 개의 셀이 존재하는 두 줄짜리 테이블을 의미합니다. 연달아 여러 개의 테이블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테이블 사이에 빈 줄을 하나 이상 입력합니다.||<rowbgcolor=#00a495><rowcolor=#fff><table bgcolor=#FFF,#1F2023> 문법 || 출력 ||||||||[br]
매크로를 이용해 개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엔터 키로도개행이 가능하지만,권장하지 않습니다. | }}}}}} |
|
[br]
코드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표안에 리스트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rowbgcolor=#00a495><rowcolor=#fff><table bgcolor=#FFF,#1F2023> 문법 || 출력 ||||||||[br]
문법 사용 시, 반드시 리스트 위에 어떠한 내용 혹은 빈줄이 생기게 됩니다.||<rowbgcolor=#00a495><rowcolor=#fff><table bgcolor=#FFF,#1F2023> 문법 || 출력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음||||||
을 입력한 뒤, 추가로 합치고자 하는 셀의 개수만큼 ||
을 더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서 두 개의 셀을 합치고자 할 경우, ||
을 한 번 더 입력합니다.입력 | 출력 | || 한 || 칸 || 짜 || 리 |||||| 두칸 |||| 짜리 |||||||| 세칸짜 || 리 |||||||||| 네칸짜리 || |
||
을 여러 번 입력하지 않고 간편하게 합치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테이블의 셀을 구성하는 ||
을 입력한 뒤, 합치고자 하는 셀의 수만큼 <-수>
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서 두 개의 셀을 합치고자 할 경우, ||
뒤에 <-2>
를 입력합니다. <-1>
이 아님에 유의하십시오.입력 | 출력 | || 한 || 칸 || 짜 || 리 ||||<-2> 두칸 ||<-2> 짜리 ||||<-3> 세칸짜 || 리 ||||<-4> 네칸짜리 || |
<-
뒤에 적당히 큰 수를 입력하면 셀의 개수를 셀 필요 없이 모든 셀이 합쳐집니다. 주의: 이 경우 bordercolor 속성을 사용할 때, 브라우저에 따라 가장자리가 깨지고, 토론에 해당 표를 달 때 표가 이상하게 보이는 경우가 생기게 되므로 지양합시다.||<rowbgcolor=#00a495><rowcolor=#fff><table bordercolor=gray><width=400px> 입력 ||<width=400px> 출력 |||||| 테이 || 블이 || 몇칸 || 이든 ||||<-9> 한 번에 다 합쳐집니다. ||
||||||||<table bordercolor=red> 테이 || 블이 || 몇칸 || 이든 ||||<-9> 한 번에 다 합쳐집니다. ||
|||| *다만 표의 <-(숫자) >문법을 적당히 놓으면 위와 같은 현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rowbgcolor=#00a495><rowcolor=#fff><table bordercolor=gray><width=400px> 입력 ||<width=400px> 출력 ||||||<table bordercolor=red> 테이 || 블이 || 몇칸 || 이든 ||||<-4> 한 번에 다 합쳐집니다. ||
|||| ||<width=8.3%> ||<width=8.3%> ||<width=8.3%>||<width=8.3%> ||<width=8.3%> ||<width=8.3%>||<width=8.3%> ||<width=8.3%> ||<width=8.3%>||<width=8.3%> ||<width=8.3%> ||<width=8.3%> ||||<-12> 1 ||||<-6> 2 ||<-6> 둘 ||||<-4> 3 ||<-4> 셋 ||<-4> three ||||<-3> 4 ||<-3> 넷 ||<-3> four ||<-3> 四 ||
||||||
을 입력한 뒤, 합치고자 하는 셀의 수만큼 <|수>
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서 두 개의 셀을 합치고자 할 경우, ||
뒤에 <|2>
를 입력합니다. <|1>
이 아님에 유의하십시오.||<rowbgcolor=#00a495><rowcolor=#fff><table bordercolor=gray><width=400px> 입력 ||<width=400px> 출력 ||||||<|4> 네줄 ||<|3> 세줄 ||<|2> 두줄 ||<|1> 한줄 |||| 여백1 |||| 여백2 || 여백3 |||| 여백4 || 여백5 || 여백6 ||
||||||||
를 입력합니다. 왼쪽의 대상과 같은 테이블에서 같은 번호의 셀을 합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rowbgcolor=#00a495><rowcolor=#fff><table bordercolor=gray><width=200px> 대상 ||<width=300px> 입력 ||<width=200px> 출력 |||||| 세줄1 || 두줄1 |||| 세줄1 || 두줄1 |||| 세줄1 || 두줄2 |||| 세줄2 || 두줄2 |||| 세줄2 || 두줄3 |||| 세줄2 || 두줄3 ||
||||<|3> 세줄1 ||<|2> 두줄1 ||||||||<|2> 두줄2 ||||<|3> 세줄2 ||||<|2> 두줄3 ||||||
||||<-수>
와 <|수>
두 가지를 같이 입력합니다. 아니면 ||를 동시에 여러 개 입력하고 <|수>
를 입력해도 됩니다.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오든 상관없습니다.||<rowbgcolor=#00a495><rowcolor=#fff><table bordercolor=gray><width=33%> 입력 1 ||<width=33%> 입력 2 ||<width=33%> 출력 |||||| 여백 || 여백 || 여백 || 여백 |||| 여백 ||<-3><|2> 3 곱하기 2 |||| 여백 ||
|||| 여백 || 여백 || 여백 || 여백 |||| 여백 ||||||<|2> 3 곱하기 2 |||| 여백 ||
||||||
뒤에 입력합니다. ||
이후 띄어쓰기나 문법 오탈자로 인해 꾸미기 문법이 아닌 다른 문법 혹은 기호나 서술이 들어갔을 경우 꾸미기는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 바랍니다.<tablealign=
(정렬 위치)>
또는 <table align=
(정렬 위치)>
*<tablealign=left>
또는 <table align=left>
: 테이블 왼쪽 정렬 (기본) *<tablealign=center>
또는 <table align=center>
: 테이블 가운데 정렬 *<tablealign=right>
또는 <table align=right>
: 테이블 오른쪽 정렬 오른쪽으로 정렬된 테이블은 왼쪽의 남은 공간에 문서가 출력됩니다. 다수의 테이블, 파일 정렬로 인한 레이아웃 뒤틀림의 수정에 [clearfix]
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tablewidth=
(수치)>
또는 <table width=
(수치)>
*<tablewidth=100px>
또는 <table width=100px>
: 절대 수치 *<tablewidth=50%>
또는 <table width=50%>
: 문서 너비에 대한 상대 수치 *셀 너비: <width=
(수치)>
*<width=100px>
: 절대 수치 *<width=50%>
: 테이블 전체 너비에 대한 상대 수치 *셀 높이: <height=
(수치)>
*<height=100px>
: 절대 수치 *<height=50%>
: 테이블 전체 높이에 대한 상대 수치#
를 붙이지 않습니다. *예시: <bgcolor=white>
, <tablecolor=black>
... *색상 지정시 (기본 색상),
(다크 테마용 색상)과 같이 콤마(,
)로 구분하여 다크 테마용 색깔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bgcolor=#RRGGBB>
: 테마와 관계없이 언제나 동일한 색상이 적용됩니다. * <bgcolor=#RRGGBB,#RRGGBB>
: 첫 번째 색상은 라이트 테마, 두 번째 색상은 다크 테마에서 적용됩니다. *예시: <bgcolor=#00a495,#2d2f34>
, <tablecolor=#00a495,#2d2f34>
... *배경색 *우선 순위: bgcolor
> colbgcolor
> rowbgcolor
> tablebgcolor
||<width=25%><tablecolor=#000><tablebgcolor=#C0DFDE>tablebgcolor
||<width=25%>||<width=25%><colbgcolor=#80C0BB>colbgcolor
||<width=25%>|| ||<rowbgcolor=#40A198>rowbgcolor
|| || || || || || ||<bgcolor=#008275>bgcolor
|| || *2개 이상이 합쳐진 셀 ||<width=25%><tablecolor=#000><tablebgcolor=#C0DFDE>tablebgcolor
||<width=25%><|2> <|2>
||<width=25%><colbgcolor=#80C0BB>colbgcolor
||<width=25%>|| ||<rowbgcolor=#40A198>rowbgcolor
||<-2> <-2>
|| || || ||<bgcolor=#008275>bgcolor
|| || 셀을 합치는 명령어 <-2>
/<|2>
같은 명령어가 입력된 셀의 것을 따라갑니다. 즉 입력한 숫자 값만큼 왼쪽/위의 셀의 것을 따라갑니다. *셀 지정: <bgcolor=#RRGGBB>
*주의: 앞에 bgcolor=
이 없는 <#RRGGBB>
나 <red>
형식은 지원이 중단될 예정입니다. *비표준 문법으로 셀 배경에 그라데이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심화 문법의 응용 예시 참고. *한 열 지정: <colbgcolor=#RRGGBB>
*색상을 지정한 셀부터 아래로만 적용됩니다. 빈 셀에는 색상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주의: <col bgcolor=#RRGGBB>
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주의: 다크 테마용 색상을 적용시킨 한 열 지정 문법과 셀 지정 문법이 충돌하게 되면, 셀 지정 문법에 다크 테마용 색상을 적용시키지 않는 이상 다크 테마에서는 셀 지정 문법의 색상 코드가 사라지는 버그가 있습니다. 예시: <colbgcolor=#FFF,#000>
와 <bgcolor=#F5F5F5>
가 충돌할 경우 라이트 테마에서는 #F5F5F5, 다크 테마에서는 #000 색상으로 출력됩니다. 다크 테마에서도 #F5F5F5 색상을 유지하고 싶은 경우엔 <bgcolor=#F5F5F5,#F5F5F5>
로 입력해야 합니다. *한 행 지정: <rowbgcolor=#RRGGBB>
*주의: <row bgcolor=#RRGGBB>
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테이블 전체 지정: <tablebgcolor=#RRGGBB>
또는 <table bgcolor=#RRGGBB>
*글자색 *우선 순위: color
> colcolor
> rowcolor
> tablecolor
*셀 지정: <color=#RRGGBB>
*한 열 지정: <colcolor=#RRGGBB>
*색상을 지정한 셀부터 아래로만 적용됩니다. *주의: <col color=#RRGGBB>
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한 행 지정: <rowcolor=#RRGGBB>
*주의: <row color=#RRGGBB>
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테이블 전체 지정: <tablecolor=#RRGGBB>
또는 <table color=#RRGGBB>
*테두리색: <tablebordercolor=#RRGGBB>
또는 <table bordercolor=#RRGGBB>
테두리색 옵션을 줄 경우 테두리의 굵기가 기존 1px에서 2px로 변경되어 색을 더 잘 보이게 해줍니다. 그에 따라 셀 안쪽의 너비가 좁아지는데 웹 브라우저에 따라 구현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의 경우 가장 좌측 셀의 너비가 1 줄어들고, 오페라의 경우 가장 우측 셀의 너비가 1 줄어듭니다. 정밀하게 셀 크기를 조정할 때 참고해야 합니다.<(>
또는 셀에서 ||(텍스트) ||: 텍스트 왼쪽 정렬 (기본) *<:>
또는 셀에서 || (텍스트) ||: 텍스트 가운데 정렬 *<)>
또는 셀에서 || (텍스트)||: 텍스트 오른쪽 정렬 ||||<(>텍스트[br]왼쪽[br]정렬||
|| ||<:>텍스트[br]가운데[br]정렬||
|| ||<)>텍스트[br]오른쪽[br]정렬||
|| ||||텍스트[br]왼쪽[br]정렬 ||
|| || 텍스트[br]가운데[br]정렬 ||
|| || 텍스트[br]오른쪽[br]정렬||
|| ||<(>텍스트<^|숫자>
: 텍스트 수직 위 정렬 *<|숫자>
: 텍스트 수직 가운데 정렬 (기본) *<v|숫자>
: 텍스트 수직 아래 정렬 텍스트의 수직 정렬을 세로로 합쳐진 셀 이외에 적용하려면 숫자에 '1'을 넣으면 됩니다. ||||<^|1> 수직 위 정렬 ||
||||<|1> 수직 가운데 정렬 ||
||||<v|1> 수직 아래 정렬 ||
|| ||<height=50><^|1> 수직 위 정렬 ||<|1> 수직 가운데 정렬 ||<v|1> 수직 아래 정렬 ||{{{#!folding [ ''접기'' 링크 텍스트 ][ 내용 1 ][ '''내용 2''' ]}}}
|| || 결과 ||[[분류:분류]]
를 입력하면 됩니다.[8] 분류:분류에서 적당한 분류를 찾아 문서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입력하면 됩니다. 중간에 입력하더라도 정상적으로 뜹니다. 입력하면 문서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9]에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분류:(분류명)]]
으로 새 문서를 만들면 새로운 분류가 생성됩니다. 상위 분류에 추가하고 싶다면 문서와 동일하게 [[분류:(상위 분류명)]]
을 입력하면 됩니다.[[:분류:분류]]
또는 [[ 분류:분류]]
와 같이 입력하면 분류:분류처럼 처리됩니다.#blur
를 붙이면 바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분류:ABCD]]
의 경우 [[분류:ABCD#blur]]
와 같이 입력하고 문서를 저장하면, 문서 내의 '분류 바'에 해당 분류에만 블러(흐리게) 효과가 적용됩니다.\\
|| \ |||| \[[나무위키:편집 도움말]]]
|| [[나무위키:편집 도움말]]] |||| -\-취소선 무효--
|| --취소선 무효|\|표 문법|\|무효|\|
|| ||표 문법||무효|| |||| =\= 문단 문법 무효 ==
|| == 문단 문법 무효 == |||| {{\{#red 색상무효}}\}
|| {{{#red 색상무효}}} |||| [include\(틀:상위 문서)]
|| [include(틀:상위 문서)] ||/
로 시작하는 문서로 링크를 걸면 {{{}}}를 붙여도 하위 문서로 되며 정상 작동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 리다이렉트를 이용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