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65a7da><tablebgcolor=#fff,#1f2023><bgcolor=#65a7da><color=#373a3c>
한국어(韓國語)
조선말 | 조선어(朝鮮語)
Korean language ||||<-3>
----
녹색은 주민 대부분이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지역이며,
실선은 주민 일부가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지역이다. ||||<-2><colcolor=#373a3c><colbgcolor=#65a7da>
유형 ||
교착어[1] ||||<-2>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우종서 (오른쪽부터
세로쓰기)
[2] ||||<-2>
문자 ||
한글・
한자키릴 문자(
중앙아시아 한국어) ||||<-2><bgcolor=#75b5e7>
점자 ||
한글 점자 ||||<-3><bgcolor=#fff,#1f2023>
||||<-3>
한국어의 방언 분포 ||||<-2>
공용어 지정국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3]파일:북한 국기.png 북한[4] ||||<-2>
주요 사용 지역 ||

한반도와 부속도서
파일:중국 국기.png 중국 지린성 일부[5]재외한국인거주지||||<-2>
원어민 ||
약 8,500만 명[6] ||||<-2>
계통 ||
고립어[7](혹은
한국어족)
[8] ||||<|3>
언어
코드 ||<width=90><colcolor=#373a3c><colbgcolor=#75b5e7>
ISO 639-1 ||
KO ||||
ISO 639-2 ||<bgcolor=#ffffff>
KOR ||||
ISO 639-3 ||<bgcolor=#ffffff>
KOR(현대 한국어)
JJE(
제주어)
[9]OKM(
중세 한국어)
[10]OKO(
고대 한국어)
[11] ||
== 개요 ==
한국어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의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공식 언어이다.비공식으로는
일본의 쓰시마 섬도 사용중이다.
== 명칭 ==|| || 한글 || 한국어 |||| 의미 || 글자 || 말 ||위와 같이 '한글'은
글자이고, '한국어'는
말이다.
북한,
조선족들은 '조선어', '조선말'이라고 지칭하며, 북한에서는 공식명칭이다.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은 '고려말'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현대 한국어 ==
갑오개혁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한국어를 말한다.이 시기
일제강점기를 겪으며 상당수 많은 외래적 요소가 한국어에 주입되었다.
같은 시대로 분류되는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의 한국어 자료나 4~50년대 한국어만 봐도 당시 문법이나 표현의 고풍스러움을 느낄 수 있다. 여기에서 가장 일상적인 사례를 들자면 개역 한글판
성경.여기에 덕붙이자면 억양 측면에서도 특히 서울말은 80년대 이후로 큰 변화를 겪었다.
== 표기 문자 ==현재 한국어를 표기할 때 보통
한글을 쓰며, 한자어 표기를 위해
한자를 사용할 수 있다.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글 점자 체계도 있다.
== 방언 ==한국어의
방언 간 격차는
중국어,
일본아의 각 방언간 격차 보다 적으며, 제주 방언을 제외하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