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방송채널
(r1 Blame)
r1 | ||
---|---|---|
r1 116.33.142.200 (새 문서) |
1 | [include(틀:대한민국의 방송)] |
2 | ||
3 | [목차] | |
4 | [clearfix] | |
5 | == 개요 == | |
6 | >지상파방송사업자ㆍ종합유선방송사업자 또는 위성방송사업자와 특정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 시간에 대한 전용사용계약을 체결하여 그 채널을 사용하는 사업 | |
7 | >---- | |
8 | >'''[[방송법]] 제2조(정의)''' 2호 라목 '방송채널사용사업'에 대한 정의. | |
9 | '''유료방송채널'''은 [[MBC]], [[KBS]], [[SBS]] 등 [[지상파]] 방송이 아닌, [[케이블 방송]], [[IPTV]] 등 유료 플랫폼 등을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채널들을 말한다. 방송법에는 이를 '방송채널사용사업'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영어로는 PP(Program Provider)라고 한다. | |
10 | ||
11 | == 상세 == | |
12 | 유료방송채널을 운영하는 사업자(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개국 시 신고한 방송분야[* [[종합편성채널]]과 [[YTN]], [[연합뉴스TV]] 등 보도편성채널은 허가를 받아야 한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작 및 구입해 방송한다. 예를 들면 [[MBC 스포츠플러스]]는 스포츠 분야, [[엠넷|Mnet]]는 음악 분야 같은 식으로. 유료방송채널 시장에서는 [[CJ ENM]]이 운영하는 채널들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데, 지상파를 포함한 시청점유율에서 11.523%를 기록해 [[KBS]](22.555%)에 이은 2위를 기록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기준.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4479|#]]] | |
13 | ||
14 | == 경쟁력 == | |
15 | 2019년 기준으로 [[CJ ENM]]이 소유한 케이블 채널들([[tvN]], [[엠넷|Mnet]], [[OCN]], [[채널CGV]]) 정도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상파 PD의 유입과 여러 좋은 컨셉으로 지상파와의 경쟁력이 강해진 편이다.[* 다만, 2019년 기준으로는 tvN 정도만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OCN의 경우에는 2018년 프리스트 이후 지상파의 어설픈 장르물과 수준이 하향 평준화되었다는 악평을 듣고 있으며, Mnet의 경우에는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오디션 프로그램의 조작 의혹]]으로 인해 평판이 떨어진 상황이다.] | |
16 | ||
17 | 2020년부터 [[닐슨미디어코리아]]의 시청률 순위를 보면 [[연합뉴스TV]]와 [[YTN]]이 순위권에 안정적으로 진입하였다. CJ ENM 소유 채널 중 Mnet, OCN, 채널CGV는 TV 채널에서의 순위권에서 내려간 상태. | |
18 | ||
19 | == 관련 문서 == | |
20 | * [[기업 관련 정보]] | |
21 | * [[방송 관련 정보]] | |
22 | * [[스포츠 채널]] | |
23 | ||
24 | == 채널 == | |
25 | * [[유료방송채널/목록]] - 사업자별 분류는 [[채널 사용 사업자]] 항목에 따로 정리되어 있다. | |
26 | ||
27 | == 각 채널별 비판 및 논란 == | |
28 | [include(틀:케이블 방송에 대한 비판)] | |
29 | * [[채널A#s-9|채널A 사건사고]] | |
30 | * [[JTBC/논란 및 사건 사고]] | |
31 | * [[MBN/논란 및 사건 사고]] | |
32 | * [[TV CHOSUN/비판 및 논란]] | |
33 | ||
34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케이블 방송, version=531, uuid=3c58192e-65c4-4fbf-b845-889f8d21023d)] | |
35 | [[분류:케이블 방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