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서버 (r1 Blame)

r1
r1
O:imnotmoron
1 [목차]
2 == 개요 =='''홈서버'''란, 가정 내에서 만들어져 운영되는 서버를 뜻합니다.
3 데이터 센터나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서버를 운영하는 것에 비해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단점이 많지만 학습 목적과 취미로서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구축되어 사용될 때가 많습니다.
4 일반적으로 모의 해킹, 토렌트, 파일 공유, 미디어 서버, 웹 서버 등의 컴퓨터를 장시간 켜 두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집에서 설치하고 사용하는 특성상 본격적인 서버용 하드웨어보다는 개발보드나 잔존가치가 떨어진 노트북, 저전력 x86-64 프로세서가 장착된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잔존 가치가 떨어진 노트북, 구형 PC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구축 비용이 적기에 비용이 부담되는 분들께 권장드립니다.
5 == 활용 방법 ==일반적으로 홈서버는 구축한 당사자가 원하는 활용 방식이 각각 다른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토렌트 클라이언트, 파일 공유 서비스, 웹 서버 같은 서비스들이 주로 사용됩니다. 물론 사용자가 원한다면 이곳에 서술되지 않았으나 본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얼마든지 구동할 수 있습니다.
6 === 토렌트 ===토렌트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인 데스크톱에서 장기간 실행할 경우, 소음과 전력 소모가 문제가 되며, 실행하는 동안 필연적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합니다. 만약 장기간 토렌트를 사용해야 하거나, 헤비 유저라면 이러한 문제를 대부분 해결해 줄 수 있는 홈서버가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 단, 홈 서버는 대부분의 경우 데스크톱 PC와 같은 회선을 사용하기에 네트워크 대역폭을 점유하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7 보통 크로스 플렛폼을 지원하고 리소스를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며, Web 인터페이스까지 사용 가능한 '트렌스미션' 프로그램이 자주 사용됩니다. === 웹서버 ===홈서버로 집에서 개인 웹사이트도 얼마든지 돌릴 수 있습니다. 물론 실시간 접속자가 100명을 넘어가면 제대로 된 서비스 제공은 힘들지만, 그 정도로 웹 페이지에 사람이 몰리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개인, 혹은 작은 단체가 홈페이지가 필요하다면 홈서버에서 운영하실 수 있습니다.
8 참고로, 웹서버로서 사용하는 홈 서버는 반드시 24시간 켜져 있어야 하는 특성 상 집에서 사용하는 홈서버의 경우 저소음으로 구성하거나 소음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공간에 설치 해두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9 이 위키도 홈서버로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10 === 프록시/VPN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가정 내부망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혹은 안전한 VPN을 사용하기 위해 홈서버에 VPN서비스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VPN 만을 위한 홈 서버를 구축할 경우 [[라즈베리 파이]] 같은 개발보드가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자주 사용되며, 보통 인터넷 검열을 회피하기 위해 VPN을 설치하는 경우 해외의 거주지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일 공유 ===파일 공유 서비스는 윈도우에서도 '공유 폴더' 기능을 통해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공유 폴더 기능을 위해 해당 PC는 계속 켜진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상당한 리소스를 사용합니다. 홈서버는 24시간 구동되며, 네트워크에 늘 연결되어 있기에 데스크톱에서 사용되는 공유 폴더 기능을 거의 완전히 대체할 수 있습니다.
11 홈 서버에서 파일 공유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FTP, SMB가 대표적이며 해당 프로토콜은 오래된 기기에서도 대부분 지원하기에 호환성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 파일들의 용량이 큰 경우 홈서버의 저장장치를 넉넉히 증설 해 두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12 == 하드웨어 ==홈서버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데스크톱 PC,노트북 부터 스마트폰이나 개발보드같은 다소 독특한 기기들까지 다양한 하드웨어로 구축이 가능하기에 모든 예시를 적기보다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우선적으로 서술합니다.
13 === 노트북 ===오래된 노트북은 홈 서버용으로 매우 적절한 하드웨어입니다. 일반적인 데스크탑 PC와 달리 저전력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훨씬 전력 소모가 적으며, 차지하는 공간과 소음도 큰 차이가 납니다. 이는 집에서 24시간 구동 해야 하는 홈서버 로서 매우 중요한 장점입니다. 만약 집에 남는 구형 노트북이 없더라도 중고 장터에서 배터리가 다 나간 구형 노트북은 매우 저렴하게 팔리기 때문에 그런 노트북을 구매해 홈서버를 구성하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단, 분해와 부품 추가가 어렵다는 점은 데스크톱 부품을 이용한 PC에 비해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14 만약 구형 노트북을 사용하시려 하신다면, 2.5인치 HDD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SSD로 교체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소음과 전력 소모도 줄어들고, 속도도 훨씬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15 === 개발보드 ===[[라즈베리 파이]],오드로이드 등의 다양한 개발보드들은 크기가 작고 소음이 매우 적거나 아예 없기에 집에서 24시간 사용하기에 매우 좋은 선택지입니다. 물론 개발자가 아닌 사람이 개발보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기에 새로 구매해야 할 수 있지만, 가격이 5만원부터 10만원 사이 정도이며, 대부분 저전력을 바탕으로[* 5W~15W 가량의 전력 소모가 일반적입니다.] 설계 되어 있기에 금전적인 부담은 덜한 편 입니다.
16 ARM 아키텍처의 CPU를 사용하는 개발보드가 많기에, 자신이 사용하려 하는 서비스를 개발보드 에서 지원하고, 사양이 부족하지 않은지 철저하게 검토 후 구성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또한 토렌트나 웹서버같이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중요한 서비스를 사용할 계획이신 경우,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개발 보드를 선택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라즈베리 파이'''는 특유의 가성비를 바탕으로 싱글 보드 컴퓨터 시장에서 점유율이 제일 높습니다. 그렇기에 특정한 기능이 필요하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 구글에 한 두번 검색하면 금방 자신에게 최적화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자료가 많으며, 사용자가 매우 많기에 범용성이 매우 높아 대부분의 서비스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17 비록 다른 하드웨어에 비해 다소 부족한 성능이나 필요한 부속[* 운영체제를 설치할 SD 카드, SD 카드 리더기, 전용 전원 공급 어댑터 등...]들이 많은 점은 아쉬울 수 있으나, 상술한 장점 덕에 초보자가 홈 서버를 구성 할 경우 늘 권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입니다.
18 == 소프트웨어 ==
19 === 운영체제 ===일반적으로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를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우분투, 데비안 같이 사용에 라이선스 문제가 없는 운영체제가 안정적일 뿐더러, 사용자 수가 워낙 많아 서버용 운영체제로 사용할 때 쓸만한 자료들이 매우 많기에 더욱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