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비교)

r10 vs r11
... ...
4 4
1950년 국무원고시 제7호 「국호및일부지방명과지도색에관한건」[* 국무원은 폐지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해당 고시는 2020년 현재도 유효하다.]에 따라 약칭은 '''[[대한]](大韓)''' 및 '''한국(韓國)'''으로 정해져 있으며 '[[조선]](朝鮮)'은 [[북한]]과 확연히 구별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약칭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영문 약칭 및 통칭으로는 '''Korea'''를 쓰며, 국가코드로는 KR, KOR이 사용된다. 대외적으로는 북한과의 구분을 위하여 'Republic of Korea'와 'South Korea'를 병용한다. 국가별 리스트를 일람할 때는 편의상 K를 앞으로 따 와서 'Korea, Republic of' 또는 'Korea, South'로 적기도 한다.
5 5
그러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로 줄임말인 '한국'보다 공식 국호인 '대한민국'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오늘날에는 생소하게 느끼겠지만 2002년 이전만 하더라도 '한국'보다 '대한민국'이라고 칭하는 게 도리어 어색했다. 법전이나 교과서 등의 공적 문서에서나 이따금 보이는 표현이었다. 그런데 월드컵 8강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대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경기부터 방송에서 '대한민국'이란 국호를 표기하기 시작했고, 점차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졌다. [[2002 부산 아시안 게임]]까지는 '한국'과 '대한민국' 두 개의 단어가 병용되다가, [[2004 아테네 올림픽]]부터는 '대한민국'이라는 국호가 자리잡았다.
6 6
대한민국 내에서 [[남북한관계]]를 언급할 땐 대한민국이라는 호칭 대신 [[남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남한의 의미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7
=== [[국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태극기)]||<-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47a0><tablebgcolor=#0047a0><bgcolor=#cd313a> {{{#fff {{{+1 '''태극기 (太極旗)'''}}}}}} ||||<-2><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5px -10px"[[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width=80> {{{#fff '''지위'''}}} ||<colbgcolor=#fff,#1f2023>공식 국기 ||||<width=90><colbgcolor=#0047a0> {{{#fff '''제정시기'''}}} ||[[조선]]{{{-2 ([[1883년]] [[3월 6일]])}}}[br][[대한민국 임시정부]] {{{-2 ([[1942년]] [[6월 29일]])}}}[br][[조선인민공화국]] {{{-2 ([[1945년]] [[9월 6일]])}}}[br]'''대한민국''' {{{-2 ([[1948년]] 7월 1일)}}}[* 제헌 [[대한민국 국회|국회]]에서 국기로 공식 지정되었으나, 현재와 같은 사괘의 배치가 확립된 것은 [[1949년]] [[10월 15일]] 문교부 고시 이후부터이다.] |||| {{{#fff '''근거 법령'''}}} ||<대한민국국기에관한규정> {{{-2 ([[1984년]]~[[2007년]])}}}[br]<대한민국국기법> {{{-2 ([[2007년]]~현재)[br]([[http://law.go.kr/lsInfoP.do?lsiSeq=77151&ancYd=20070126&ancNo=08272&efYd=20070727&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제정법령]], [[http://www.law.go.kr/법령/대한민국국기법|현행법령]])}}} |||| {{{#fff '''제작자'''}}} ||[[이응준(역관)|이응준]]{{{-2 (李應浚, 1832 - ?)}}}[* 대한민국 제7대 체신부 장관 [[이응준]]과는 동명이인이다.][br][[박영효]]{{{-2 (朴泳孝, 1861 - 1939)}}}[br][[고종(대한제국)|고종 이형]]{{{-2 (李㷩, 1852 - 1919)}}}[[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05515|#]][br]우리 국기 보양회{{{-2 (國旗普揚會, 1949)}}} ||
8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성을 나타내며, 태극 문양은 음({{{#0047a0 파랑}}})과 양({{{#cd313a 빨강}}})의 조화를 나타낸 것으로, [[https://www.google.com/search?client=opera&q=태극기+의미&sourceid=opera&ie=UTF-8&oe=UTF-8|우주 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표현해낸 것]]이다.
9
=== [[국가(노래)|국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애국가)]||<-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47a0><tablebgcolor=#0047a0><bgcolor=#cd313a> {{{#fff {{{+1 '''애국가 (愛國歌)'''}}}}}} ||||<-2><bg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파일:external/www.korearoot.net/%EC%95%A0%EA%B5%AD%EA%B0%80.gif|width=100%]]}}} ||||<width=80> {{{#fff '''지위'''}}} ||<bgcolor=#fff,#1f2023>관습상 국가(國歌) ||||<bgcolor=#0047a0> {{{#fff '''제정시기'''}}} ||<bgcolor=#fff,#1f2023>[[대한민국 임시정부]] ([[1942년]] 10월 29일)[* 대한민국 입국 이후 임시정부에서 [[올드 랭 사인]] 곡조에 맞춘 애국가를 비공식 국가로 사용한 바 있고, [[http://www.hankookilbo.com/v/9d50231632024948a53d1a07b00ff4d1|지금과 같은 애국가가 1940년 12월 20일 처음 불린 바 있었지만]] 임시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국가로 명문화한 시점은 [[http://kcm.kr/dic_view.php?nid=39978|1942년이다.]]][br][[대한민국 정부]] ([[1948년]])[* 애국가가 당시 우리 민족에게 있어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하여 성문화하지 않았다.] |||| {{{#fff '''근거법령'''}}} ||<bgcolor=#fff,#1f2023>없음 |||| {{{#fff '''작사가'''}}} ||<bgcolor=#fff,#1f2023>미상[* [[애국가]]의 작사가에 대해서는 [[윤치호]]설, [[안창호]]설, [[윤치호]]와 [[최병헌]] 공동작사설 등으로 대립하고 있다.][* 작사는 되었지만 작곡은 1935년에 되었기 때문에 작곡이 되기 이전까지는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사인]]에 맞춰 불렀다.] ([[1900년대]] 초) |||| {{{#fff '''작곡가'''}}} ||<bgcolor=#fff,#1f2023>[[안익태]] ([[1935년]]) |||| {{{#fff '''저작권자'''}}} ||<bgcolor=#fff,#1f2023>안익태 ([[1935년]] ~ [[2005년]] 3월 15일)[br]대한민국 ([[2005년]] 3월 16일 현재,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237805&menuNo=200150|#]]) ||
7
=== [[국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태극기)]||<-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47a0><tablebgcolor=#0047a0><bgcolor=#cd313a> {{{#fff {{{+1 '''태극기 (太極旗)'''}}}}}} ||||<-2><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5px -10px"[[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width=80> {{{#fff '''지위'''}}} ||<colbgcolor=#fff,#1f2023>공식 국기 ||||<width=90><colbgcolor=#0047a0> {{{#fff '''제정시기'''}}} ||[[조선]]{{{-2 ([[1883년]] 3월 6일)}}}[br][[대한민국 임시정부]] {{{-2 ([[1942년]] 6월 29일)}}}[br][[조선인민공화국]] {{{-2 ([[1945년]] [[9월 6일]])}}}[br]'''대한민국''' {{{-2 ([[1948년]] 7월 1일)}}}[* 제헌 [[대한민국 국회|국회]]에서 국기로 공식 지정되었으나, 현재와 같은 사괘의 배치가 확립된 것은 [[1949년]] 10월 15일 문교부 고시 이후부터이다.] |||| {{{#fff '''근거 법령'''}}} ||<대한민국국기에관한규정> {{{-2 ([[1984년]]~[[2007년]])}}}[br]<대한민국국기법> {{{-2 ([[2007년]]~현재)[br]([[http://law.go.kr/lsInfoP.do?lsiSeq=77151&ancYd=20070126&ancNo=08272&efYd=20070727&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제정법령]], [[http://www.law.go.kr/법령/대한민국국기법|현행법령]])}}} |||| {{{#fff '''제작자'''}}} ||[[이응준(역관)|이응준]]{{{-2 (李應浚, 1832 - ?)}}}[* 대한민국 제7대 체신부 장관 [[이응준]]과는 동명이인이다.][br][[박영효]]{{{-2 (朴泳孝, 1861 - 1939)}}}[br][[고종(대한제국)|고종 이형]]{{{-2 (李㷩, 1852 - 1919)}}}[[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05515|#]][br]우리 국기 보양회{{{-2 (國旗普揚會, 1949)}}} ||
8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성을 나타내며, 태극 문양은 음({{{#0047a0 파랑}}})과 양({{{#cd313a 빨강}}})의 조화를 나타낸 것으로, [[https://www.google.com/search?client=opera&q=태극기+의미&sourceid=opera&ie=UTF-8&oe=UTF-8|우주 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표현해낸 것]]이다.=== [[국가(노래)|국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애국가)]||<-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47a0><tablebgcolor=#0047a0><bgcolor=#cd313a> {{{#fff {{{+1 '''애국가 (愛國歌)'''}}}}}} ||||<-2><bg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파일:external/www.korearoot.net/%EC%95%A0%EA%B5%AD%EA%B0%80.gif|width=100%]]}}} ||||<width=80> {{{#fff '''지위'''}}} ||<bgcolor=#fff,#1f2023>관습상 국가(國歌) ||||<bgcolor=#0047a0> {{{#fff '''제정시기'''}}} ||<bgcolor=#fff,#1f2023>[[대한민국 임시정부]] ([[1942년]] 10월 29일)[* 대한민국 입국 이후 임시정부에서 [[올드 랭 사인]] 곡조에 맞춘 애국가를 비공식 국가로 사용한 바 있고, [[http://www.hankookilbo.com/v/9d50231632024948a53d1a07b00ff4d1|지금과 같은 애국가가 1940년 12월 20일 처음 불린 바 있었지만]] 임시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국가로 명문화한 시점은 [[http://kcm.kr/dic_view.php?nid=39978|1942년이다.]]][br][[대한민국 정부]] ([[1948년]])[* 애국가가 당시 우리 민족에게 있어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하여 성문화하지 않았다.] |||| {{{#fff '''근거법령'''}}} ||<bgcolor=#fff,#1f2023>없음 |||| {{{#fff '''작사가'''}}} ||<bgcolor=#fff,#1f2023>미상[* [[애국가]]의 작사가에 대해서는 [[윤치호]]설, [[안창호]]설, [[윤치호]]와 [[최병헌]] 공동작사설 등으로 대립하고 있다.][* 작사는 되었지만 작곡은 1935년에 되었기 때문에 작곡이 되기 이전까지는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사인]]에 맞춰 불렀다.] ([[1900년대]] 초) |||| {{{#fff '''작곡가'''}}} ||<bgcolor=#fff,#1f2023>[[안익태]] ([[1935년]]) |||| {{{#fff '''저작권자'''}}} ||<bgcolor=#fff,#1f2023>안익태 ([[1935년]] ~ [[2005년]] 3월 15일)[br]대한민국 ([[2005년]] 3월 16일 현재,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237805&menuNo=200150|#]]) ||
10 9
법률상 정해진 대한민국의 국가는 없지만, 국제적인 행사에서도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음악으로 애국가가 연주되는 등 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11 10
=== [[국화#s-2|국화]]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무궁화)]||<-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47a0><bgcolor=#cd313a> {{{#fff {{{+1 '''무궁화(無窮花)'''}}}}}} ||||<-2><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5px -10px"[[파일:무궁화.jpg|width=100%]]}}} ||||<width=80><bgcolor=#0047a0> {{{#fff '''지위'''}}} ||<bgcolor=#fff,#1f2023>관습상 국화 ||
12 11
[[무궁화]]를 국화로 인정하는 법률이 없지만,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대한민국의 국화라고 명시해두었고, [[1963년]] 제정된 나라문장에서 무궁화 형태가 반영되는 등 보편적으로 무궁화가 상징적인 꽃으로 인식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