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영방송(
國營放送)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방송국 혹은 방송사, 방송 프로그램으로,
공영방송과는 다르다. 공익성향이 강하며, 주로 공공 안전(
재난방송)이나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의 항법이나 교통정보, 기상정보,
국가표준시 유지를 위한
표준주파수 방송이 주를 이루고 있다. 경우에 따라 교육, 계도나 정부 홍보 목적으로 운영되기도 하고, 군사 기관에서 공보정훈이나
심리전 목적으로 운영하는 방송도 국영방송에 포함된다. 다른 말로 관영방송이라고도 한다.
[1]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므로, 언론 독립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언론에 자신들이 불리한 소식을 싣지 말라고 압력을 가하고 보도지침을 내려서 언론의 자유를 심히 해칠 가능성도 크다. 따라서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국가에서는 공공 안전이나 항법, 교통, 기상, 표준주파수, 군사 및 심리전 방송 등 언론기관의 성격이 약하고, 국가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한 분야의 방송을 제외하면 국영방송
[2]을 운영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중국 중앙 텔레비전,
조선중앙방송,
만수대텔레비죤,
이란 방송, 구
소비에트 중앙텔레비전[3]을 예로, 한국에서는
대한뉴스 후예인
KTV 국민방송이나
국회방송을 대표 국영방송으로 예로 들 수 있다.
[4] 국방홍보원
KFN TV,
라디오와 한국도로교통공단
TBN 교통방송도 국영방송이다.
[5]KBS나
MBC,
EBS,
BBC,
NHK는
공영방송이다. 국내 공영방송은 과거 언론 독립을 위해 투쟁했던 역사를 반영하였다. KBS, MBC는 모두 공영방송이지만
[6] 국영방송마냥 정권에 종속되었던 과거에 프로그램 편성 및 보도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많은 방송 언론인들이 헌신했던 적이 있어서 지금도 KBS에 가서 모르고 "국영방송 KBS"라고 하면 관계자들에게는 좋지 않은 시선을 받는다고 한다. 2004년
물은 셀프 사건 때에도 그랬다.
비교적 엄격한 공영 체계를 가지고 있는 BBC와 NHK와 달리, KBS와 MBC, EBS는 오늘날에도 정부가 운영에 크게 관여한다(사장 인사에
대통령이 크게 관여한다
[7])는 점에서는 국영 시절이나 현재나 별 차이 없다는 말까지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KBS와 MBC에서 발생하는 친정부적 경영진과 소속 언론인 간 갈등에는 이러한 배경이 있다.
국영방송의 종류는 방송사의 임직원이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등으로 구성되어 국가의 직접 지배를 받는 경우, 표면적으로 민영방송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국가의 지배를 받는 경우, 공영방송을 표방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국가의 지배를 받는 경우 등 다양하다. 엄격하게는 직접적인 지배를 받는 경우만 국영방송이라고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