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align=center><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4e6a,#383b40><bgcolor=#004e6a,#010101>


||||<bgcolor=#ffffff,#2d2f34><^|1>
||||<-2><table width=35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004e6a><tablebgcolor=#004e6a><width=100%>
||||<width=40%><colcolor=#ffffff>
개발 ||<colcolor=#000000><colbgcolor=#ffffff>


||||
생년월일 ||
1994년 11월 16일 (30세) ||||
유통 ||

miHoYo Network Technology
miHoYo Ltd. ||||
플랫폼 ||


|


|


|


|

[1] |

[2] |

[출시예정] ||||
ESD ||

[4] |


|


|


|


|

[출시예정] ||||
장르 ||
3인칭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
출시 ||


2020년 9월 28일
[6]

2020년 9월 28일


2021년 4월 28일


2021년 6월 9일 ||||
엔진 ||


|

[7] ||||
지원 언어 ||자막
[8], 음성
[9] ||||
심의 등급 ||

15세 이용가[10] ||||
해외 등급 ||
ESRB TPEGI 12 ||
== 개요 ==||<tablebordercolor=#004e6a,#000000><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ffffff,#dddddd>
||||<bgcolor=#004e6a,#010101> 메인 스토리 티바트편 PV - 「발자취」 ||||<color=#004e6a,#dddddd>
||
miHoYo에서 제작한 3D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게임.==
출시 전 정보 ==
== 서버 ===== 중국 서버 ===중국의 플랫폼인 탭탭을 통해 서비스되는 중국 모바일 서버. 여기도 더빙을 포함한 한국어를 지원한다.
=== 글로벌 서버 ===탭탭과는 별도로 운영되는 글로벌 서버. 북미, 유럽, 아시아, 대만·홍콩·마카오 서버 등으로 나뉜다.
일일 시작 시간은 각 서버시간으로 새벽 04시다. 글로벌 서버의 각 서버는 아래와 같은 시간대
[11]를 사용한다.||<rowbgcolor=#616161,#010101><rowcolor=#ffffff,#dddddd> 서버 || 시간대 |||| America || UTC-5 |||| Asia || UTC+8 |||| Europe || UTC+1 |||| TW, HK, MO || UTC+8 ||
== 요구 사양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394e,#010101><bgcolor=#000,#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height=50>
시스템 요구 사양 ||||<rowbgcolor=#004e6a>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3><bgcolor=#dddddd,#010101>
Windows ||||<width=25%><colbgcolor=#004e6a><colcolor=#ffffff,#dddddd>
운영체제 ||<-2>
윈도우 7/
8.1/
10 64bit[14] ||||
프로세서 ||Intel Core i5 ||Intel Core i7 ||||
RAM ||8GB ||16GB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 1030 ||NVIDIA GeForce GTX 1060 ||||
API ||DirectX 11 ||DirectX 12 ||||
필요 용량 ||128GB ||256GB ||||
저장 공간 ||<-2>30GB ||||<-3><bgcolor=#dddddd,#010101>
Android ||||
운영체제 ||Android 7.0 ||Android 8.1 ||||
프로세서 ||Snapdragon 821
Exynos 8890
Kirin 960 ||Snapdragon 845
Exynos 9810
Krin 970 ||||
RAM ||3GB ||6GB ||||
필요 용량 ||64GB ||128GB ||||
저장 공간 ||<-2>최소 10.00GB (캐시, 데이터 용량에 따라 더 필요할 수 있음)
[15] ||||
기종 ||
갤럭시 S7 이상
[16] ||
갤럭시 S10e 이상 ||||<-3><bgcolor=#dddddd,#010101>
iOS ||||
운영체제 ||
iOS 9.0 ||
iOS 13 ||||
프로세서 ||A10, A9X ||A11, A10X 이상 ||||
RAM ||3GB ||4GB ||||
기종 ||
iPhone 8 Plus 이상 ||
iPhone 12 이상
[17] ||||
저장 공간 ||<-2>11.21GB
[18] ||
===
Microsoft Windows ===모바일을 고려해 개발됐기 때문인지 PC 기준으론 최소 사양이 낮고, 최적화도 꽤 잘된 편에 속한다. 최소사양에 미달하는 노트북이나 PC에서도 옵션 타협 시 30프레임 고정으로 돌리는 것이 가능할 정도이다.
[19]따라서 원신을 플레이하려고 굳이 권장사양에 딱 맞게 컴퓨터를 맞출 필요는 없다.
i5 3세대 CPU와 8GB 램, GTX 960을 탑재한 구형 PC에서도 상옵 60fps는 거뜬하게 뽑아주고
[20],권장사양으로도 풀옵 60fps가 안정적으로 나온다.
인텔 10세대 CPU와 mx450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노트북에서도
[21]낮음 옵션 기준 50fps~60fps를 왔다갔다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인텔 i3 7세대 내장 그래픽으로도 하옵으로 30fps를 거뜬히 뽑아낸다.
인텔 i7 1세대 탑재 및 4GB 램이 탑재된 노트북에서도 20~30fps를 유지하며 끊김 없이 돌아가는 미친 최적화를 자랑한다.
초기 출시 버전인 1.0 기준으로 PC 버전 최소 사양에 미달하는 인텔 내장그래픽이 탑재된 PC에서 게임을 실행 시 마을 내 조명 그림자가 깨져 보이는 버그가 있으며 게임 실행 중 임의적으로 게임 화면이 멈춘 후 강제종료되는 현상이 계속해서 발생한다.
# #[22] 주로 노트북 유저들이 많이 호소하는 문제. 2020년 10월 기준, 유저가 이 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지만, 1.1 버전 업데이트 이후 그래픽 옵션이 세분화됨과 함께 강제종료되는 문제도 수정되었다.
PC판은
엑원패드나
듀얼쇼크 4를 완벽히 지원하며 메뉴 자체가 패드에 맞게 바뀌고, 조작 UI도 각 패드에 맞춰서 나온다.
[23] 키마로 플레이할 시 모바일판과 비슷한 UI 디자인으로 나오나, 패드로 플레이할 시 PS4판의 UI로 바뀐다. 초기엔 컨트롤러 설정이 저장되지 않아 매번 실행시마다 컨트롤러를 바꿔주어야 했지만, 1.2패치와 함께 컨트롤러 설정이 유지되게 바뀌었다. 다만 키마&패드 동시 지원은 여전히 불가능하다.
PC판에서도 30 fps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저사양컴의 경우 선택해 주자. 또한 옵션 중 렌더링은 그냥 소수점 달린 숫자만 덩그러니 있어서 혼동하기 좋은데, 이는 렌더링 배율을 뜻한다. 즉 모니터의 해상도가 1920x1080인데 옵션에서 1.5를 선택할 경우 2880x1620이 된다. 일반적으로 부하만 확 늘어나니 그냥 1.0을 권장한다.
MacOS에서는 원신을 지원하지 않는다. 2021년 2월 기준
M1 MacBook Air, 13형 MacBook Pro, Mac mini에서 iOS판 원신이 돌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24]. 그래픽도 상당히 좋은 편. (하지만 iOS 앱 플레이어가 있어야 하고, 해상도가 맞지 않을 수 있다.)
===
Android ===
긱벤치 5 기준으로 멀티코어 점수가 1000점 이상 넘으면 그래픽 설정 "매우 낮음"으로 간신히 돌리는 것은 가능하다.
[25][26] 최소사양 미만의 칩셋을 탑재한 기기의 경우 기기마다 편차가 약간씩은 있겠으나, 최하옵으로 24FPS유지조차 힘들어 사실상 정상적인 플레이는 불가능하다. 그래도 원활한 플레이를 원한다면 권장사양에 해당하는 기기로 플레이하자.
엑시노스 9810이 탑재된
갤럭시 S9+(FHD+)
[27]에서 "매우 낮음"으로 플레이할 경우 30FPS로 30분정도 플레이하면
스로틀링이 발생해 프레임드랍이 일어나고 그래픽이 깨지는 것을 볼 수 있다.
[28] S9또한 "중"과 "높음"옵션 (필드 상세/낮음, 프레임/60, 삼성 게임 플러그인/최대 프레임)설정 으로 플레이는 가능하지만 프레임 드랍이 번번하고 심하다. (또한 램 용량때문에 플레이 도중에 게임 플러그인이 리프레쉬되어 프레임이 급격히 낮아질때도 있다.)
또한 램 3GB를 탑재한 기기 중 일부 기본적으로 점유중인 램의 용량이 많은 시스템의 경우 그래픽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안드로이드는 최고 그래픽에서 60fps로 원활히 구동하는 건 불가능하며, 그래픽 설정을 타협하더라도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설정을 높게 잡을 경우 최신 플래그쉽들마저도 최초 몇 분이 지나면 쓰로틀링으로 인해 30FPS조차 방어가 안된다.
갤럭시는 S20+을 기준으로 기기 해상도를 WQHD로 하더라도 해상도가 1600x720로 강제로 제한된다.
[29] #S21U는 같은 매우 높음 옵션이더라도 아이폰 12 Pro 대비 그래픽이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자와 렌더링 해상도는 중간 이하로 맞춰 놓는 것이 좋으며, 다인모드에서의 캐릭터 스킬 이펙트는 사실상 반드시 꺼놓아야 한다.
대형 개발사의 최신게임이지만
Vulkan을 지원하지 않고 여전히
OpenGL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 스냅드래곤 기기들은 벤치마크 점수가 비슷할지라도 동급 스냅드래곤 기기들에 비해 전성비/프레임율이 눈에 띄게 밀리는 편이다.
안드로이드는 게임패드가 지원되지 않는다. 때문에 덱스 패드같이 큰 화면에서 플레이할 수가 없다.
안드로이드는 원신을 고사양으로 플레이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라고 보기 어렵다. 만약 고사양에서도 쾌적한 원신 플레이를 위해 기기 변경을 고려한다면 iOS를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iOS/
iPadOS ===최소한 A10 Fusion 이상, RAM 3GB 이상이 앱 크래시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마지노선이다. 구동이 가능한 최저선은 A9. A10 Fusion 이상 탑재 기기라도 RAM 2GB 기기의 경우 기기 RAM 용량 부족으로 인해 간헐적으로 게임이 튕겨버리기 때문에 불편하다.
전반적으로 GPU의 평균 성능이 안드로이드보다 높기 때문에 렌더링 해상도가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구동할 때보다 높다. 그래픽을 같은 매우 높음으로 설정하더라도 iOS 쪽의 그래픽이 훨씬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호요의 사장 류웨이는 App Store 인터뷰에서 Apple과 협력하여 원신의 최적화를 진행했으며 iOS, iPadOS에서 원신이 미려하게 구동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언급한 바 있다.
60 fps 옵션의 경우
A12X Bionic을 탑재한
11형 iPad Pro,
12.9형 iPad Pro 3세대나
A13 Bionic을 탑재한
iPhone 11 시리즈 같은 기기의 경우에는 60 fps 옵션에서도 여타 그래픽 옵션을 낮추면 부하 레벨이 중간 정도로 나오며 발열이 좀 심하지만 버틸 만 하다.
[30] A12Z Bionic을 탑재한 iPad Pro 4세대부터는 발열이 심한 편이지만 중간 화면 밝기에서는 안정적으로 풀옵 60FPS를 유지한다.
A14 Bionic 칩은 최대 성능은 A13 Bionic 보다 높은 편이나, 쓰로틀링이 잘 걸려 실제 FPS가 A13보다 오히려 더 불안정한 편이다. 온도의 경우 모두 안드로이드보다는 양호한 수준이다.
2021년 4월 21일에 공개된
12.9형 iPad Pro 5세대,
11형 iPad Pro 3세대에서 iMac이나 MacBook Air,13형 MacBook Pro에 들어간 M1을 사용해서 높은 구동성능으로 기대를 받았으나, 원신에서 M1 대응 해상도 패치를 한 이후에는 역시 다른 AP와 마찬가지로 풀옵 60fps는 매우 높은 부하로 높은 발열과 쓰로틀링이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iOS/iPadOS 14 이상 기기의 경우 게임패드를 지원한다.
권장사양 이상의 AP를 탑재한 기기라면 저전력 모드를 켜고 플레이하는것을 추천한다. 프레임이 딱히 하락하지도 않으면서 발열과 배터리 소모는 체감될 정도로 줄어든다.
[31]===
PS4/
PS5 ===모바일을 고려해 개발되어서 최적화가 잘 되어있는데다
PS4 Pro 이상부터는 4K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옵션 타협 없이 게임을 돌리는데 거의 지장이 없다. 있다고 해도 종종 일어나는 버그 정도. 또한
PS5에도 출시를 했기 때문에 무료 업그레이드를 통한 플레이도 가능하다. 다만 PS4 구형/Slim의 경우에는 적들이 많아질 시엔 프레임 드롭과 렉이 꽤나 체감되는 편이다. 평소에 플레이스테이션 유저였거나 컨트롤러 조작이 편한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7월 21일에 진행 예정인 2.0 (또는 1.7) 업데이트를 통해 PS4/PS5에서도 이제는 미호요 계정 연동이 가능하다. PS4/PS5의 PSN계정과 미호요 계정을 연동해 모바일과 컴퓨터로 크로스 세이브를 통해 똑같은 계정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고 한다. (단, 당분간은 America, Europe 그리고 Asia 서버만 크로스 세이브 가능)
자세한 내용===
Nintendo Switch ===출시 전부터 닌텐도 스위치 판도 곧 나온다고 하였으나, 1년이 지나 2.0 업데이트 발표때까지도 여전히 출시 하고 있지 않다. 루머에 의하면 스위치의 기기 성능 때문에 지연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스위치의 게이밍 성능이 일반형 스마트폰보다 떨어지는 정도의 구린 기기는 아니기 때문에 성능보다는 스위치 특유의 갈라파고스 개발 환경 같은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신이 사용하는 유니티 엔진은 스위치에서 끔찍한 시너지로 악명이 높다.==
등장인물 ==
==
적 ==
|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원신/적 |
==
OST ==
==
설정 ==
|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원신/설정 |
==
시스템 ==
===
기원 ===
|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원신/기원 |
==
콘텐츠 ==
==
업데이트 ==대형 업데이트는 6주 간격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420px><table bordercolor=#333333,#010101><bgcolor=#333333,#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


||||<width=25%><rowbgcolor=#333333,#010101>
플랫폼 ||<width=37.5%>
메타스코어 ||<width=37.5%>
유저 평점 ||||
|| || ||||
|| || ||||
|| || ||
|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원신/평가 |
== 흥행 ==글로벌 사전 예약자 수 2,000만 명 이상을 모집되었고 출시 나흘 만에 모바일에서만 1,700만 다운로드 및 5,00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분석된다.
# 출시 12일 만에 1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면서 개발비 전액을 회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매출의 50% 이상, 다운로드의 70% 이상이 중국 외 국가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글로벌 주요 지역에서 매출 TOP 5 안에 진입했다. 한국 3위, 미국 2위, 캐나다 1위, 일본 4위, 대만 4위, 싱가포르 1위, 홍콩 3위, 베트남 3위, 태국 3위, 영국 10위, 독일 2위, 프랑스 3위, 스페인 2위, 러시아 3위, 호주 2위 등(2020년 10월 구글 플레이 매출 순위 기준)
# #신규 IP임에도 불구하고, 서구권 최대 시장인 미국의 양대 마켓(Apple App Store, 구글 스토어)에서 포켓몬 GO를 제치고 매출 1위를 찍었다.
#그리고 마침내 2020년 10월 전 세계 모바일 게임 글로벌 매출 1위를 기록했다.
# 이는 모바일 게임 역사상 2위에 해당하는 역대급 출시 성적이라고 한다.
[32] 해당 통계는 모바일에서만 추정된 것이므로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원신의 특성상 PC 및 콘솔 결제까지 합치면 이보다 더 큰 수익을 이뤄낸 것으로 생각된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석 달 만에 매출 2조를 달성했다고 한다.
# 국내 3대 게임 기업이면서 높은 매출량
[33]을 갖고 있는 게임회사인
엔씨소프트의 2019년 매출보다 많다고 한다. 흥행에 크게 성공하면서 미호요는 게임 개발팀에 평균 16개월 어치의 상여금을 전체 지급하였고 직원들을 위한 새해 이벤트를 크게 진행했다.
#2021년에는 유튜브, SNS, 기타 홈페이지 등지에서도 당당히 광고가 게재되는 메이저 게임이 되었으며 단순 아트 스프라이트만 게재하는
기적의 검과 같은 게임과 달리 양질의 인게임 화면을 게재하는 긍정적 영향으로 계속 신규 유저들을 유치하고 있다. 유튜브는 캐릭터 설명 영상 등을 게재하여 더욱 매력적인 광고를 보여주고 있다.
최단 기간 모바일 매출 10억 달러(= 1조 1554억원)를 달성한 게임이 되었다.
[34] 모바일 시장 조사 업체인 Sensor tower에 따르면 전 세계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매출을 합산한 결과
[35], 6개월도 안 되는 기간에 10억 달러를 달성하였다고 한다.
한글 기사. 영문 기사. 소니가 공개한 바로는 PS 스토어 매출의 25%가 무료게임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발표했고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게임은 원신, 콜 오브 듀티: 워존, 포트나이트, 에이팩스 레전드, 로켓 리그라고 한다.
# 콘솔 매출도 매우 높은 편이고 소니에서 일본에 원신
붕어빵이벤트도 진행하고 있고 원신과 카페 콜라보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게임시장 조사업체인 뉴주(Newzoo)에 따르면 오픈월드 RPG 차트에서 2위를 했다.
#트위터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기준으로 글로벌 게임 키워드 순위로 1위를 했다. 국내에는 5위를 했다.
#== 미디어 믹스 == *
공식 프리퀄 만화 *
공식 4컷 만화==
논란 및 사건 사고 ==
== 기타 == * 중세게임 마이너 갤러리에서 해당 게임이 "
티바트(Teyvat)" 대륙을 소재로 한 게임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놀랍다는 반응이 여럿 나왔다.
링크 게임에 대해 논란이 많아져서 회사 측에서 티바트 설정을 바꿀 거라 예상한 사람이 많았지만,
2020년 정식 서비스를 앞두고도 여전히 변경되지 않았다.
기사 미호요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티바트 대륙을 모험한다"고 표현중이다. 다만 애시당초 중국은
티베트를 시짱(西藏)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중국어에서는 그다지 발음의 유사성을 찾기 힘들다. 게다가 레딧 등 서구쪽 커뮤니티에서는 관련된 언급이 전무하기 때문에 특별히 새로운 소식이 들리지 않는 한
2020년 기준으로는 한국 일부 커뮤니티의 설레발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애초에 프리 티베트라면 모를까, 그냥 티베트는 자기 나라 자치구 이름인데 금지어 취급할 이유가 없다. 발매 후에는 홍콩, 타이완, 티벳 등이 금지어로 설정된 게 밝혀졌다.
차이나조이 2019 때 미호요 부스에서 링크 코스프레를 하거나 야숨 패키지나 스위치를 들고 시위를 한 게이머들이 등장했다.
# 그 중 한 유저가 자신의
PS4 Pro를 가져와서 박살내는 퍼포먼스를 하는 등 사건이 크게 번지자 전 세계 게임 언론에 보도되었다.
## 이를 통해 원신에 대한 이슈가 서양 게이머들에게 간접적으로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고, 플레이스테이션 공식 채널에 올라온 트레일러 영상은 보도 이후를 기점으로 조회 수와 댓글
[36]이 급격히 상승했으며, 주요 게임언론에서 소개를 앞다투어 했기에 원신 자체는
노이즈 마케팅의 수혜를 보게 되었다.
일본어 음성이 공개되면서 언어에 따라 몇몇 고유명사가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몬드성의 핵심 세력인 페보니우스 기사단이 대표적. 일본어에서는 '세피로스' 기사단으로 칭한다.
각 캐릭터의 대사의 동작과 입모양 등이 중국어 음성에 맞춰져 있어서 중국어 외 더빙(한국어, 일본어, 영어)의 대사와 표시되는 텍스트, 연출 등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상당부분 존재한다. 텍스트와 더빙을 스킵하지 않고 즐기는 유저라면 신경 쓰이는 부분.
13가지 언어 텍스트(한국어, 영어, 중국어 간체, 중국어 번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인도네시아어, 태국어, 베트남어)와 4가지 언어 더빙(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을 지원한다. 설정에 들어가면 플레이하고 있는 서버가 어디든 상관없이 각 나라의 언어 텍스트와 더빙을 바꿔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후속 버전에는 정원, 스킨, 건설 등의 다채로운 시스템을 추가할 예정이며, 시즌 이벤트도 있을 것이라고 한다.
정식 오픈 이후 CBT때와는 다르게 검열된 것이 있다. 팬티가 사라지고 속바지로 대체되거나 팬티라인이 안보이도록 패치되고 피슬같은 경우 둔부를 가리는 검은 부분이 늘었다. 같은 개발사가 만든
붕괴3rd에서 검열하는 방식을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 일본, 중국의 성우진은 출시 당시 일찌감치 공개되었다. 하지만 미국은 성우 조합
SAG-AFTRA가 제시하는
불문율[37] 때문에 성우가 공개되지 않는다. 허나, 11월 초에 이러한 여론을 의식해서인지 성우가 공개되었다.
#원신의 UI에 사용되는 폰트는 언어별로 다른 폰트를 가져와 합친 폰트이다. 한글 문자는 "
나눔고딕 ExtraBold"
[38]에서 가져왔다. 일본
가나 문자 및 한자의
간체 및
번체 문자는 "HYWenHei-85W"
[39]에서 가져왔다.
라틴 및
키릴 알파벳과 숫자 및 기본
아스키 부호 등은 디자인이 되어 있으나, 어떤 폰트인지 확인이 되지 않아 자체 제작이거나 이전 문장에 언급한 중국어 폰트의 회사에서 추가로 제작해 준 것일 수도 있다. 기타 아랍 문자 등은 신경을 쓰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이사항으로는 원신 게임내에 많이 쓰이는
가운뎃점 ·(x00B7) 문자는
전각[40] 너비로 표시된다. 그리고
낫표 「」(x300C, x300D) 문자는
반각[41] 너비로 표시된다. 폰트에 따라 아래 또는 중간 높이에 배치되는
말줄임표 …(x2026) 문자는 중간에 위치한 것으로 표시된다.
유출정보가 그냥
찌라시 수준이 아니라 정보가 세세하고 양이 많으며, 정확성도 생각외로 높은 경우가 많다. 덕분에 미호요가 반응을 보려고 일부러 흘리는 거라던가, 유출정보를 원하는 유저들과 심리전을 벌이고 있다는 반쯤 농담으로 하는 말들이 많지만 실제로 미호요는 유출을 끔찍할 정도로 싫어한다. 중국 게임들은 대부분 러시아 같은 국가에서 프로그램을 뜯어서 보는 경우가 많은데, 유출 정보 대부분의 경우는 이러한 케이스라 안 잡혀서 그렇지 잡기 쉬운 테스트 서버 유출자에게 대응하는 방식만 봐도 알 수 있다.
[42] 미호요 측에선 테섭 유출자를 적발 시 곧바로 본계정도 정지시키고 법적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2월 20일, 미호요는 호두를 유출한 유저를 정지시키면서 추가로 50만 위안(=약 8500만원)의 배상 소송을 걸었다. 고소한다는 소식이 나오자 스크린샷 및 동영상이 포함된 테섭 정보는 거의 올라오지 않고, 간혹 유출되는 스크린샷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뭉개져있던 시절도 있었다.
[43] 유저들의 여론은 '대규모 업뎃 주기가 너무 길어서 컨텐츠도 없는데 떡밥마저 없애버렸다', '신캐릭터를 뽑으면 레벨 스케일링때문에 키워야 하는데, 레진문제때문에 재화도 부족한데 유출도 없이 어떻게 미리 준비하냐?', '유출은 없애면서 호두 유출 정보에 대한 반응은 좋아서 5성으로 조정이라고?' 등등으로 비판이 많다. 하필 저 당시 진행된 이벤트가 최악이라는 평을 받는 해등절이라 미호요를 부정적으로 보는 유저들이 늘어난 탓인 듯. 단 이러한 감정과는 별개로, 테스트 서버 유저 선정 시 비밀 유지 서약을 쓰는 이상 유출은 불법이 맞다. 정보가 유출되는 이상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없을리는 만무하기 때문. * 그런데 이렇게 다들 사리는 상황에서 호두의 인게임 모션이 유출되기 시작하더니, 1.4 패치를 앞두고선 1.5에 나올 신캐릭터인
유라,
연비 및 하우징 컨텐츠 등이 유출되었다. 이렇게까지 대놓고 유출하는 데도 여타 테섭 유저들과 달리 쉽게 잡히지 않는 이유는 빼돌린 클라이언트를 개인 서버로 돌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1.5는 테스트 서버가 시작되기도 전에 대부분의 내용이 유출되었다. 그리고 1.6에서는 심지어 버전 PV와 업데이트 특별 방송에서 주는 리딤코드마저 유출되면서, 미호요의 보안을 비난하는 의견이 많아졌다. 결국 1.6 업데이트도 되기 전에 이나즈마 모델링과 특산물, 새로운 적, 콘텐츠 등등이 전부 털려버렸다. 결국 '이미 털린 것 빨리 내놓자'며 1.6 업데이트 무렵에 이나즈마 캐릭터의 설정화를 내놓았다.
KFC 콜라보가 진행되었다. 콜라보레이션 메뉴에 동봉된 리딤코드를 입력하면 KFC 전용 날개를 받는다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콜라보레이션 메뉴를 주문하려면 점원에게 직접
"이세계에서 만나, 맛있는 것을 즐긴다(异世相遇, 尽享美味)." 라는 문구를 외쳐야 해서 소재거리가 되고 있다. 구호가 웃겨서 오덕들의 공개 능욕 이벤트냐는 반응이 있었지만 중국에서는 인기는 폭발적이었다고 한다.
# # 심지어 치킨을 다 먹고 그릇을 씻어서 거래 사이트에 5만원에 팔기도 하고, 그릇이 다 떨어져서 다른 콜라보 그릇으로 담아주기도 하고 사람들이 너무 모여서 코로나 수칙을 어겼거나
시위로 오해받는 바람에 점장이 끌려가서 가게 문을 닫기도 했다. 2.0 업데이트 방송에서, 류웨이 사장이 원신 게임 수명을 5년 이상으로 기대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45].=== 각종 팁 ===주로 입문자를 위하거나 알면 유용한데 모를 수도 있는 정보들을 정리한 부분이다.
낙사:
낙하 공격으로 만회할 수 있다. 스태미나가 부족하면 낙하 공격이 불가능하며, 너무 높은 곳에서 낙하공격을 하면 착지 시 데미지가 발생한다. 높은 곳에서 낙하 데미지 없이 떨어지려면 적당한 높이까지 떨어진 뒤 낙하 공격을 해주거나 지면에 닿기 직전에 바람의 날개를 펼치면 된다.
[46] 비경에서 떨어지게 되면 소량의 HP와
[47] 원소 게이지가 깎이고 입구나 재생의 문에서 다시 시작하게 된다.
익사: 워프 이동으로 만회할 수 있다. 스태미나가 부족하면 워프할 틈도 없이 즉시 익사하니 주의. 수영을 멈춘 상태에선 스태미나가 소모되지 않으므로 스태미나가 부족하다 싶으면 인벤토리에서 보충 음식을 먹으면 된다. 기초 스태미너로 헤엄쳐 지나가기 어려운 물가는 높은 고도에서 바람의 날개로 이동하거나 얼음 속성 캐릭터를 이용해 물 위를 얼려가며 지나가는 걸 추천한다.
대쉬: 스태미나를 생각보다 많이 잡아먹으니 조심하자. 평범하게 가면 도달할 거리도 생각 없이 대쉬로 이동하면 낙사/익사하기 딱 좋다. 암벽 등반 땐 위를 잘 보고, 필요 시엔 쉬어가면서 올라가는 게 좋다. 쉴 곳이 없으면 다른 곳으로 가자.
달리기, 암벽 등반 시에는 장신 남자 캐릭터가 제일 유리하고, 수영 시에는 장신 여자 캐릭터가 가장 유리하다. 키에 따라 이동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꼬마 여자아이 캐릭터들은 세 가지에 모두 불리해서 필드 탐방 때는 추천되지 않는다.
그러고보니 남자 어린이는 아예 없다[48]추천 육성 순서: 캐릭터 ▶ 무기 ▶ 특성 ▶ 성유물 메인 딜러 기준으로 캐릭터와 무기는 80레벨 이상, 성유물은 월드 레벨
45레벨 이상에 시작해
[49] 주옵 ▶ 보조옵 순서로 맞춘다. 모두 골고루 올리되 저 순서를 우선시하는게 가장 좋다.
추천 육성 캐릭터: 메인 딜러를 우선적으로 키우고, 서브 딜러와 서포터는 메인 딜러보다 낮은 선에서 적당히 멈추는 것이 좋다. 원신은 육성에 필요한 레진이 넉넉하게 제공되지 않으며, 레벨 간 격차가 확실한 만큼이나 레벨을 올리는 데 엄청난 자원을 소비하기 때문에,
[50] 육성이 웬만한 MMORPG 저리가라 수준으로 오래 걸린다. 즉 초반부에는 여러 캐릭터를 한꺼번에 키우기 어렵다.
마법 수정석: 매일 재생되며,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대장장이들이 알려주는 위치 외에도 많은 수정석 스팟이 있으니
[53] 외워두거나 맵핀을 꽂아두면 좋다.
파밍 도움 사이트: 게임 내에 존재하는 추적, 토벌 시스템은 같은 좌표만 로테이션으로 돌아가며 찍어주고, 알려주는 횟수도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하루에 리스폰되는 재료를 전부 파밍하지 못한다. 따라서 유저들이 제공하는
원신 좌표 지도나
원신 공식 지도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지맥꽃: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귀찮게 재도전하기 싫으면 제때제때 먹자.
[54]공월 축복: 5,900원짜리 월정액. 로그인만으로 30일 간 총 3000원석을 받을 수 있어서 효율이 좋다.
일일의뢰을 꼬박꼬박 한다면 한달 간 총 4500원석을 받을 수 있다.
진주 기행: 12,000원짜리 배틀패스 아이템. 시즌제(6주)로 운영된다. 시간이 필요하지만 꾸준히 플레이한다면 준수한 성능의 기행 무기와 육성 재화를 넉넉히 얻을 수 있다. 기간 안에 기행 최대 레벨을 찍을 자신이 없다면 나중에 결제해도 몰아서 보상을 수령받는 것이 가능하다. 캐릭터를 다양하게 육성하고 본격적으로 파고들기를 하겠다면 공월 축복과 함께 질러놓는 편이 추천된다.
기원: 기원에 사용하는 원석은 되도록이면
캐릭터 이벤트와
무기 이벤트의 기원 아이템인
뒤얽힌 인연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남의 인연을 사용하는 세상 여행 기원에서 나올 수 있는 5성 중에서는 성능이 애매한 캐릭터나 무기가 많고, 이를 임의껏 선택할 수도 없기 때문에 다른 기원에 비해 우선도가 떨어진다.
상점: 기원을 뽑는 것으로 얻을 수 있는 마일리지성 재화인 '주인 없는 스타라이트'와 '주인 없는 스타더스트'는 상점에서 다른 아이템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주인 없는 스타라이트의 경우 34개를 소모해 4성 캐릭터를 얻어 캐릭터 풀을 늘리거나 고돌파를 노리는 것, 혹은 5개를 지불해 인연 아이템 1개와 교환하는 것을 추천한다. 주인 없는 스타더스트는 월 5회 제한으로 개당 75개에 만남의 인연과 뒤얽힌 인연 5개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외에는 부족한 재료나 모라를 얻는데 사용해도 좋다.
필드 보스를 한 명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싶은데 딱히 리스폰 때까지 다른 곳을 돌아다니고 싶지 않으면 로그아웃을 하고 한 1~2분 가량 기다린 후 다시 로그인하면 된다. 무상의 바위처럼 가는 길 자체가 복잡한 보스들을 파밍할 때는 매우 유용하다. 주의할 점으로 보스의 리스폰 지점과 가까운 곳에서 로그아웃을 하면 로그인 즉시 보스가 전투를 시작하기 때문에 이를 원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떨어진 곳에서 로그아웃을 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활을 쓰는 캐릭터들은 조준 사격 모드를 이용한 평타 캔슬이 가능하다. 키보드의 경우 R를 빠르게 두 번 누르고 컨트롤러의 경우 조준 사격 모드의 키를 한 번 눌렀다 때면 된다. 대부분 약간의 딜레이가 발생하는 4타와 막타 사이나 막타 이후에 캔슬을 넣어주는 편이다.
크로스 플랫폼이지만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은 PC 및 모바일과 계정 연동이 되지 않는다. 이는 타 플랫폼에서 임의로 치팅이나 변조된 계정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침이다. 대신 친구 추가나 멀티 플레이 등의 게임 내적에서는 평범하게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플레이스테이션으로 플레이하는 유저들에게는 여행자 전용 옵션 한손검 및 바람의 날개를 추가로 제공한다. 하지만 2.0 업데이트에서 PS network 계정과 miHoYo 계정을 연동 가능하게 변경되면서 해당 문제는 신경 쓸 필요가 없어졌다. 대신 플레이스테이션으로 플레이 하다 PC로 플랫폼을 변경 할 경우, 플레이스테이션 특전 날개와 무기를 사용 할 수 없다.
[55]
| 포크 문서 | 위 문서의 원문은 나무위키의 원신(r2459 RAW)입니다. |